1 정재원,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종단적 건강문제 변화양상 분석"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12 (12): 53-60, 2006
2 김민영, "항암화학요법 시행 초기 암환자의 증상 및 삶의 질 변화 양상" 한국간호과학회 39 (39): 433-445, 2009
3 박영숙, "퇴원 후 전화상담중재가 부인암환자의 지각된 건강상태, 심리적 안녕과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4 (14): 294-304, 2008
4 이명선, "치료 중인 암 환자들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에 관한 포커스 그룹 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22 (22): 19-30, 2010
5 최소은,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자의 불안*" 대한종양간호학회 6 (6): 37-46, 2006
6 장옥점, "전화추후관리가 항암요법을 받는 암환자의 자가간호수행 및 가족원 역할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 13 (13): 50-59, 2006
7 서순 림.이원기, "재가 암 환자의 증상관리를 위한 심리교육 중재효과" 대한종양간호학회 3 (3): 56-65, 2003
8 김조자,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 대응능력 증진을 위한 심리사회적 중재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6 (36): 169-178, 2006
9 전수연, "유방암 환자에서의 디스트레스의 유병률 및 디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8 (18): 72-81, 2010
10 Zigmond AS,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67 : 361-370, 1983
1 정재원,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종단적 건강문제 변화양상 분석"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12 (12): 53-60, 2006
2 김민영, "항암화학요법 시행 초기 암환자의 증상 및 삶의 질 변화 양상" 한국간호과학회 39 (39): 433-445, 2009
3 박영숙, "퇴원 후 전화상담중재가 부인암환자의 지각된 건강상태, 심리적 안녕과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4 (14): 294-304, 2008
4 이명선, "치료 중인 암 환자들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에 관한 포커스 그룹 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22 (22): 19-30, 2010
5 최소은,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자의 불안*" 대한종양간호학회 6 (6): 37-46, 2006
6 장옥점, "전화추후관리가 항암요법을 받는 암환자의 자가간호수행 및 가족원 역할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 13 (13): 50-59, 2006
7 서순 림.이원기, "재가 암 환자의 증상관리를 위한 심리교육 중재효과" 대한종양간호학회 3 (3): 56-65, 2003
8 김조자,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 대응능력 증진을 위한 심리사회적 중재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6 (36): 169-178, 2006
9 전수연, "유방암 환자에서의 디스트레스의 유병률 및 디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8 (18): 72-81, 2010
10 Zigmond AS,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67 : 361-370, 1983
11 Miller WR, "Ten things that motivational interviewing is not" 37 : 129-140, 2009
12 Twomey C, "Telephone contacts with a cancer nurse specialist" 15 : 35-38, 2000
13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14 Sarna L, "Quality of life and health status of dyads of women with lung cancer and family members" 33 : 1109-1116, 2006
15 Galway K, "Psychosocial interventions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emotional wellbeing for recently diagnosed cancer patients" 11 : CD007064-, 2012
16 Grabsch B, "Psychological morbidity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advanced breast cancer: a cross-sectional survey" 4 : 47-56, 2006
17 Greer S, "Psychological intervention. The gap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41 : 238-243, 2002
18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NCC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oncology"
19 Byar KL, "Impact of adjuvant breast cancer chemotherapy on fatigue, other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33 : E18-E26, 2006
20 Lee HY, "Effect of Individualized teaching and telephone counseling on self-care behavior among patients with hematologic cancer" Yonsei Univ 2000
21 Knowles G, "Developing and piloting a nurse-led model of follow-up in the multidisciplinary management of colorectal cancer" 11 : 212-223, 2007
22 Berger AM, "Correlates of fatigue during and following adjuvant breast cancer chemotherapy: a pilot study" 27 : 1443-1448, 2000
23 National Cancer Institute,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 v.4.0"
24 Paraska K, "Cognitive dysfunction following adjuvant chemotherapy for breast cancer: two case studies" 30 : 473-478, 2003
25 Yarbro CH, "Cancer nursing:principles and practice" Jones and Bartlett 2000
26 Oh SM,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for Koreans: a comparison of normal, depressed and anxious groups" 38 : 289-296,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