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적기업의 지역경제 활성화에 관한 실증분석 = The Impact of Social Enterprises on Local Economy in Korean Municipa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60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회적경제의 대표적인 조직체인 사회적기업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분석을 위한 분석 단위는 우리나라의 기초지방자치단체 중 기초시이며 분석모형은 패널모형(2010년~2015년)을 활용하였다. 지역경제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는 사회적기업의 창업 목적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경제활동 참가율이며 주요 독립변수는 지방자치단체 내의 연도별 사회적기업의 수이다. 창업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누적 값을 기준으로 추정하였다. 그런데 사회적기업은 지방자치단체의 유형에 따라 경제적 효과에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이를 연구에서 분석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군집분석(K-평균)을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기초시를 유형화한 후 유형별로 패널모형을 추정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추정 결과, 주민 십만 명당 사회적 기업이 1개 증가할수록 경제활동 참여율이 2~3%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지역경제의 활성화 정도와 사회적기업의 활성화 정도가 모두 큰 기초시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회적경제의 대표적인 조직체인 사회적기업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분석을 위한 분석 단위는 우리나라의 기초지방자...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회적경제의 대표적인 조직체인 사회적기업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분석을 위한 분석 단위는 우리나라의 기초지방자치단체 중 기초시이며 분석모형은 패널모형(2010년~2015년)을 활용하였다. 지역경제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는 사회적기업의 창업 목적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경제활동 참가율이며 주요 독립변수는 지방자치단체 내의 연도별 사회적기업의 수이다. 창업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누적 값을 기준으로 추정하였다. 그런데 사회적기업은 지방자치단체의 유형에 따라 경제적 효과에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이를 연구에서 분석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군집분석(K-평균)을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기초시를 유형화한 후 유형별로 패널모형을 추정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추정 결과, 주민 십만 명당 사회적 기업이 1개 증가할수록 경제활동 참여율이 2~3%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지역경제의 활성화 정도와 사회적기업의 활성화 정도가 모두 큰 기초시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enterprises on local economic development, which is a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social economy in Korea. The unit of the analysis in the study is Korean local city government, and the analysis model is the panel model (2010~2016). The indicato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local economic development is the participation rate of economic activity that best reflects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social enterprise, and the major independent variable is the number of social enterprises by year in city governments. According to panel estimations, the number of social enterprises per 100,000 residents increased by 2~3%.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enterprises on local economic development, which is a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social economy in Korea. The unit of the analysis in the study is Korean local city govern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enterprises on local economic development, which is a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social economy in Korea. The unit of the analysis in the study is Korean local city government, and the analysis model is the panel model (2010~2016). The indicato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local economic development is the participation rate of economic activity that best reflects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social enterprise, and the major independent variable is the number of social enterprises by year in city governments. According to panel estimations, the number of social enterprises per 100,000 residents increased by 2~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윤호, "지역경제 성장의 영향요인 분석" 한국행정학회 42 (42): 365-381, 2008

      2 최희용, "지역 내 문화자본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경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행정연구원 25 (25): 109-138, 2016

      3 문병근, "지방교육재정지출 및 지역인적자본형성과 지역경제성장간의 동태적 관계분석 - 패널 VAR모형을 이용한 16개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 한국재정정책학회 14 (14): 103-123, 2012

      4 권기정, "인적자산투자가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내생적 성장모형의 검증" 한국국제회계학회 (20) : 275-294, 2007

      5 유광철, "유형별 외국인 주민의 유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6 (26): 71-92, 2014

      6 김광수, "애덤 스미스:사회적 평판의 경제심리, 수요 및 경제성장" 한국국제경제학회 14 (14): 195-222, 2008

      7 박지형, "시군 통합의 지역경제성장 효과" 한국정책학회 16 (16): 167-196, 2007

      8 전승훈, "선형패널자료 분석방법에 관한비교연구" 통계청 9 (9): 1-24, 2004

      9 류만희, "사회적기업의 지역개발 기능과 시장형성에 관한 연구 : 원주 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36) : 75-104, 2012

      10 이은선, "사회적경제의 개념과 발전, 제도화: 폴라니의 이중적 운동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8 (28): 109-138, 2017

      1 강윤호, "지역경제 성장의 영향요인 분석" 한국행정학회 42 (42): 365-381, 2008

      2 최희용, "지역 내 문화자본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경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행정연구원 25 (25): 109-138, 2016

      3 문병근, "지방교육재정지출 및 지역인적자본형성과 지역경제성장간의 동태적 관계분석 - 패널 VAR모형을 이용한 16개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 한국재정정책학회 14 (14): 103-123, 2012

      4 권기정, "인적자산투자가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내생적 성장모형의 검증" 한국국제회계학회 (20) : 275-294, 2007

      5 유광철, "유형별 외국인 주민의 유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6 (26): 71-92, 2014

      6 김광수, "애덤 스미스:사회적 평판의 경제심리, 수요 및 경제성장" 한국국제경제학회 14 (14): 195-222, 2008

      7 박지형, "시군 통합의 지역경제성장 효과" 한국정책학회 16 (16): 167-196, 2007

      8 전승훈, "선형패널자료 분석방법에 관한비교연구" 통계청 9 (9): 1-24, 2004

      9 류만희, "사회적기업의 지역개발 기능과 시장형성에 관한 연구 : 원주 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36) : 75-104, 2012

      10 이은선, "사회적경제의 개념과 발전, 제도화: 폴라니의 이중적 운동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8 (28): 109-138, 2017

      11 이상면, "사회적경제와 지역개발" 47 (47): 87-119, 2015

      12 김영철, "사회적 경제와 지역의 내발적 발전" 한국지역사회학회 19 (19): 25-49, 2011

      13 김경희, "사회적 경제를 통한 지역혁신의 가능성과 한계 - 마을기업과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한국공공사회학회 3 (3): 126-150, 2013

      14 최유진, "사회적 경제 증진 조례의 협동조합 활성화 효과: 공간회귀모형의 활용"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1 (31): 299-326, 2017

      15 심원섭, "사회적 경제 관점에서 본 내생적 지역관광발전의 과제와 정책적 함의" 한국관광학회 41 (41): 101-125, 2017

      16 이상호, "도시별 집적경제효과의 비교분석" 8 (8): 55-70, 1996

      17 문동진, "도시 규모와 입지에 따른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산업다양성의 영향력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9 (19): 125-152, 2015

      18 오세운, "기반산업육성정책의 효과가 지역경제고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교정부학회 17 (17): 119-144, 2013

      19 Szajnowska-Wysocka, A., "Theories of Regional and Local Development" 12 (12): 2009

      20 Fridell, G., "The Co-Operative and the Corporation: Competing Visions of the Future of Fair Trade" 86 : 81-95, 2009

      21 Salamon, L. M., "Social origins of civil society: An overview" The Johns Hopkins Center for Civil Society Studies 2000

      22 Sherri L. W., "Social entrepreneurship: The role of social purpose enterprises in facilitating community economic development" 4 (4): 153-174, 1999

      23 Weaver, R. L., "Social enterprise self-employment programs: A two-dimensional human capital investment strategy" 12 (12): 4-20, 2016

      24 Richards, A., "Social capital's role in the development of volunteer-led cooperatives" 11 (11): 4-23, 2015

      25 Dumitru, R., "Social Economy – A Solution to the Labor Market Inclusion" 22 (22): 53-60, 2013

      26 James, R. D, "Regional Income Convergence in Appalachia: Exploring the Factors of Regional Economic Growth in a Transitioning Economy" 55 (55): 164-192, 2015

      27 Lippens, R., "Re-visiting the informal economy: Introductory notes" 45 (45): 259-261, 2006

      28 Wennekers, S., "Linking enterpreneurship and economic growth" 13 (13): 27-55, 1999

      29 Henry, S., "Informal economic activity: Early thinking, conceptual shifts, continuing patterns and persistent issues – a Michigan study" 45 : 263-284, 2006

      30 Evans, M., "Generating Social Capital?: The Social Economy and Local Economic Development" 14 (14): 55-74, 2007

      31 Plummer, P., "Entrepreneurship and human capital: distilling models of local economic growth to inform policy" 11 (11): 427-439, 2004

      32 Mishra, S., "Endogenous Growth Theory and Role of Education" 3 (3): 74-78, 2016

      33 Tsoulfidis, L., "Economic theory in historical perspective" 10 (10): 102-124, 2017

      34 Nissan, E., "Drivers of non-profit activity: a cross-country analysis" 38 (38): 303-320, 2012

      35 Zhao, L., "Conceptualizing the Social Economy in China" 47 (47): 1083-1123, 2013

      36 Öner, E., "Comparative Interpretation of Classical and Keynesian Fiscal Policies (Assumptions, Principles and Primary Opinions)" 4 (4): 11-20, 2015

      37 Florida, R., "Cities and the Creative Class" Routledge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 1.372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