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국 추출물 0.5~10 g/kg을 투여한 급성독성 실험에서는 고용량인 10 g/kg 경구투여에서도 급성독성을 발생시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안전성이 높은 물질로 확인되었다. 만성독성 실험에서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47728
2016
Korean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797-804(8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감국 추출물 0.5~10 g/kg을 투여한 급성독성 실험에서는 고용량인 10 g/kg 경구투여에서도 급성독성을 발생시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안전성이 높은 물질로 확인되었다. 만성독성 실험에서도 ...
감국 추출물 0.5~10 g/kg을 투여한 급성독성 실험에서는 고용량인 10 g/kg 경구투여에서도 급성독성을 발생시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안전성이 높은 물질로 확인되었다. 만성독성 실험에서도 최대 2 g/kg까지 13주간 경구 투여하였으나 간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국 추출물을 2~4g/kg 투여한 그룹에서는 통풍의 염증 및 부종 억제 효과가 있었으나, 10 g/kg 투여군에서는 다소 염증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통풍억제 효과가 있으나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더 증가시키지 않는 4 g/kg의 농도 이하로 감국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이 적당한 농도라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감국 추출물은 고용량에서도 비교적 안전한 물질로 monosodium urate crystal에 의한 염증작용을 억제하므로 통풍예방물질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n acute toxicity test for Chrysanthemum indicum Linne, 0.5∼10 g/kg of Chrysanthemum indicum Linne extracts were administered. Chrysanthemum indicum Linne did not produce acute toxicity even at high doses of 10 g/kg, making it a highly safe mater...
In an acute toxicity test for Chrysanthemum indicum Linne, 0.5∼10 g/kg of Chrysanthemum indicum Linne extracts were administered. Chrysanthemum indicum Linne did not produce acute toxicity even at high doses of 10 g/kg, making it a highly safe material. In the chronic toxicity test, oral administration of Chrysanthemum indicum Linne up to 2 g/kg was carried out for 13 weeks, showing liver non-toxicity. The gout inhibitory effect of Chrysanthemum indicum Linne extracts was measured by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and foot thickness after 24 h of monosodium urate crystal (MSU) oral administration when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reached a maximum. The group administered 2∼4 g/kg of Chrysanthemum indicum Linne extract showed an inhibitory effect on gout inflammation and edema, whereas the 10 g/kg administered group showed an increase in inflammation. Therefore, the moderate concentration of Chrysanthemum indicum Linne extract for gout inhibitory effect was under 4 g/kg. Chrysanthemum indicum Linne extract showed an anti-inflammatory effect on MSU as a relatively safe material at high capac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rysanthemum indicum Linne extract is thought to be an excellent substance for gout preven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충실, "한국산 고구마잎과 고구마줄기 에탄올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369-377, 2013
2 이영호, "통풍의 진단과 치료" 대한가정의학회 23 (23): 261-266, 2002
3 이양숙, "자귀나무(A. julibrissin) 수피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79-86, 2011
4 지선옥, "상백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효과" 한국자원식물학회 22 (22): 145-151, 2009
5 조영제, "미세분쇄에 의한 감국(Chrysanthemum incidicum Linne)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10-117, 2014
6 서수정,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잎과 뿌리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123-130, 2010
7 이양숙,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 열수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4 (14): 170-176, 2007
8 Jeong CY., "The effect of phenobarbital on the dose-dependent pharmacokinetics of probenecid in r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2
9 Ren AN., "Study on bacteriostasis and antivirotic of flowers Chrysanthemum indicum" 6 : 241-244, 1999
10 Wortmann RL, "Recent advances in the management of gout and hyperuricemia" 17 : 319-324, 2005
1 곽충실, "한국산 고구마잎과 고구마줄기 에탄올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369-377, 2013
2 이영호, "통풍의 진단과 치료" 대한가정의학회 23 (23): 261-266, 2002
3 이양숙, "자귀나무(A. julibrissin) 수피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79-86, 2011
4 지선옥, "상백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효과" 한국자원식물학회 22 (22): 145-151, 2009
5 조영제, "미세분쇄에 의한 감국(Chrysanthemum incidicum Linne)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10-117, 2014
6 서수정,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잎과 뿌리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123-130, 2010
7 이양숙,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 열수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4 (14): 170-176, 2007
8 Jeong CY., "The effect of phenobarbital on the dose-dependent pharmacokinetics of probenecid in r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2
9 Ren AN., "Study on bacteriostasis and antivirotic of flowers Chrysanthemum indicum" 6 : 241-244, 1999
10 Wortmann RL, "Recent advances in the management of gout and hyperuricemia" 17 : 319-324, 2005
11 Simões CM., "Pharmacological investigations on Achyrocline satureioides(LAM. )DC., Compositae" 22 : 281-293, 1988
12 Mladenova K., "New sesquiterpenoids from Chrysanthemum indicum var. tuneful" 54 : 553-555, 1988
13 Matsuda H., "Medicinal flowers. Ⅵ. Absolute stereostructures of two new flavanone glycosides and a phenylbutanoid glycoside from the flowers of Chrysanthemum indicum L. : their inhibitory activities for rat lens aldose reductase" 50 : 972-975, 2002
14 Yoshikawa M., "Medicinal flowers. Ⅱ. Inhibitors of nitric oxide production and absolute stereostructures of five new germacrane-type sesquiterpenes, kikkanols D, D monoacetate, E, F, and F monoacetate from the flowers of Chrysanthemum indicum L" 48 : 651-656, 2000
15 Yoshikawa M., "Medicinal flowers. Ⅰ. Aldose reductase inhibitors and three new eudesmane-type sesquiterpenes, kikkanols A, B, and C, from the flowers of Chrysanthemum indicum L" 47 : 340-345, 1999
16 Heinrich PC., "Interleukin-6-type cytokine signalling through the gp130/Jak/STAT pathway" 334 : 297-314, 1988
17 Kong LD.,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by some Chinese medicinal plants used to treat gout" 73 : 199-207, 2000
18 Jung BS., "Hyangyak comprehensive dictionary" Younglimsa 1038-1039, 1989
19 Gilman AG.,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7th ed" Macmillan 712-, 1985
20 Sutaria S.,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for the treatment of acute and prevention of recurrent gout : a systematic review" 45 : 1422-1431, 2006
21 Uchio Y., "Constituents of the essential oils from three tetraploid species of Chrysanthemum" 20 : 2691-2693, 1981
22 Shunying Z.,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s of Chrysanthemum indicum" 96 : 151-158, 2005
23 Ryu SY., "Antitumor activity of some phenolic components in plants" 17 : 42-44, 1994
24 BuketCiciogluArldogan, "Antimicrobial 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ome Essential Oils" 대한약학회 25 (25): 860-864, 2002
25 Cheng W., "Anti-inflammatory an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the inflorescence of Chrysanthemum indicum Linné" 101 : 334-337, 2005
26 Lee MH., "A benefit-risk assessment of benzbromarone in the treatment of gout. Was its withdrawal from the market in the best interest of patients?" 31 : 643-665, 2008
27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0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559-578, 2011
흰쥐에서 수수추출물이 트랜스지방산이 함유된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흡수에 미치는 영향
고당식이로 유도된 비알코올성 지방간 마우스에서 기능성 잡곡의 지질 대사 개선 효과
알코올로 유도된 간 손상 동물모델에서 굴 추출물의 간 보호 효과
알코올성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발효울금의 간세포 보호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4-06-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4-04-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2 | 1.9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