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흰쥐에서 수수추출물이 트랜스지방산이 함유된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흡수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477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수수의 섭취가 대표적인 트랜스지방산인 elaidic acid, linoelaidic acid와 cholesterol의 소장흡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설계하였다. 소장의 지방흡수를 in vivo 상태에서 측정하기 위해 소장흡수율 측정모델을 이용하여 십이지장주입관과 림프채취관을 삽입하는 미세수술을 진행하였다. 실험동물의 십이지장으로 146.4 μ mol trielaidin, 36.8 μmol trilinoelaidin, 452.0 μmol triolein, 1.0 μCi <SUP>14</SUP>C-cholesterol, 20.7 μmol cholesterol, 396.0 μmol Na-taurocholate, PBS buffer(pH 6.4)가 포함된 지질유화액만 공급받는 동물군을 대조군, 수수추출물이 혼합된 지질유화액을 공급받는 동물군을 수수군으로 설계하였다. 지질유화액은 시간당 3 mL씩 8시간 동안 주입하면서 림프관으로 흡수되는 elaidic acid, linoelaidic acid와 각종 지방산 그리고 <SUP>14</SUP>C-cholesterol의 양을 분석하여 수수에 의한 영향을 비교하였다. 먼저 8시간 동안 분비된 림프액의 양은 대조군과 수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8시간 동안의 elaidic acid 흡수는 수수추출물의 공급으로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Linoelaidic acid 또한 마찬가지로 수수추출물 공급으로 유의적으로 그 흡수가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트랜스지방산을 비롯해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rachidonic acid, docosahexaenoic acid, <SUP>14</SUP>C-cholesterol 또한 대조군보다 수수군에서 흡수가 유의적으로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수수추출물이 트랜스지방산과 cholesterol의 소장 흡수를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수수 섭취가 트랜스 지방이나 cholesterol의 흡수를 농도 비례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지, 소화흡수 과정 중 정확히 어떤 과정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관한 연구가 앞으로 진행될 과제라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수수의 섭취가 대표적인 트랜스지방산인 elaidic acid, linoelaidic acid와 cholesterol의 소장흡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설계하였다. 소장의 지방흡수를 in vivo 상태에...

      본 연구는 수수의 섭취가 대표적인 트랜스지방산인 elaidic acid, linoelaidic acid와 cholesterol의 소장흡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설계하였다. 소장의 지방흡수를 in vivo 상태에서 측정하기 위해 소장흡수율 측정모델을 이용하여 십이지장주입관과 림프채취관을 삽입하는 미세수술을 진행하였다. 실험동물의 십이지장으로 146.4 μ mol trielaidin, 36.8 μmol trilinoelaidin, 452.0 μmol triolein, 1.0 μCi <SUP>14</SUP>C-cholesterol, 20.7 μmol cholesterol, 396.0 μmol Na-taurocholate, PBS buffer(pH 6.4)가 포함된 지질유화액만 공급받는 동물군을 대조군, 수수추출물이 혼합된 지질유화액을 공급받는 동물군을 수수군으로 설계하였다. 지질유화액은 시간당 3 mL씩 8시간 동안 주입하면서 림프관으로 흡수되는 elaidic acid, linoelaidic acid와 각종 지방산 그리고 <SUP>14</SUP>C-cholesterol의 양을 분석하여 수수에 의한 영향을 비교하였다. 먼저 8시간 동안 분비된 림프액의 양은 대조군과 수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8시간 동안의 elaidic acid 흡수는 수수추출물의 공급으로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Linoelaidic acid 또한 마찬가지로 수수추출물 공급으로 유의적으로 그 흡수가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트랜스지방산을 비롯해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rachidonic acid, docosahexaenoic acid, <SUP>14</SUP>C-cholesterol 또한 대조군보다 수수군에서 흡수가 유의적으로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수수추출물이 트랜스지방산과 cholesterol의 소장 흡수를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수수 섭취가 트랜스 지방이나 cholesterol의 흡수를 농도 비례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지, 소화흡수 과정 중 정확히 어떤 과정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관한 연구가 앞으로 진행될 과제라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cessive intake of trans fats i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s. Previously, we showed that green tea extract lowers intestinal absorption of cholesterol and elaidic acid in ra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 possible role for sorghum extract on lymphatic absorption of trans fat and cholesterol in rats. Adult male rats with lymph cannulae were infused at a rate of 3.0 mL/h for 8 h via a duodenal catheter with a lipid emulsion containing 146.4 μmol of trielaidin, 36.8 μmol of trilinoelaidin, 452.0 μmol of triolein, 1.0 μCi cholesterol labeled with <SUP>14</SUP>C (<SUP>14</SUP>C-cholesterol), 20.7 μmol of cholesterol, and 396.0 μmol of Na-taurocholate without or with 100.0 mg of sorghum extract in phosphate-buffered saline buffer (pH 6.4). Lymph was collected hourly for 8 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lymph flow. However, the lymphatic absorption of elaidic acid and linoelaidic acid for 8h was significantly lower in rats infused with sorghum extract than in those infused with no sorghum extract. Further, lymphatic absorption of <SUP>14</SUP>C-cholesterol was reduced by sorghum extract, which was observed previously. These data indicate that sorghum extract has an inhibitory effect on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trans fat and cholesterol. The mechanism(s) by which sorghum extract lowers intestinal absorption of trans fat warrants further study.
      번역하기

      Excessive intake of trans fats i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s. Previously, we showed that green tea extract lowers intestinal absorption of cholesterol and elaidic acid in ra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 possible role for...

      Excessive intake of trans fats i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s. Previously, we showed that green tea extract lowers intestinal absorption of cholesterol and elaidic acid in ra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 possible role for sorghum extract on lymphatic absorption of trans fat and cholesterol in rats. Adult male rats with lymph cannulae were infused at a rate of 3.0 mL/h for 8 h via a duodenal catheter with a lipid emulsion containing 146.4 μmol of trielaidin, 36.8 μmol of trilinoelaidin, 452.0 μmol of triolein, 1.0 μCi cholesterol labeled with <SUP>14</SUP>C (<SUP>14</SUP>C-cholesterol), 20.7 μmol of cholesterol, and 396.0 μmol of Na-taurocholate without or with 100.0 mg of sorghum extract in phosphate-buffered saline buffer (pH 6.4). Lymph was collected hourly for 8 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lymph flow. However, the lymphatic absorption of elaidic acid and linoelaidic acid for 8h was significantly lower in rats infused with sorghum extract than in those infused with no sorghum extract. Further, lymphatic absorption of <SUP>14</SUP>C-cholesterol was reduced by sorghum extract, which was observed previously. These data indicate that sorghum extract has an inhibitory effect on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trans fat and cholesterol. The mechanism(s) by which sorghum extract lowers intestinal absorption of trans fat warrants further stu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연, "흰쥐에서 녹차추출물의 트랜스 지방 소장 흡수 억제 작용"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73-78, 2012

      2 김현숙, "수수 추출물에 의한 마우스 비장세포 및 대식세포 활성의 항진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19 (19): 176-182, 2006

      3 서명철, "분쇄방법에 따른 조, 기장, 수수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790-797, 2011

      4 유연석, "보리가 혈당 변화와 지질 대사에 미치는 단기영향" 대한가정의학회 30 (30): 790-795, 2009

      5 Chavarro JE., "Trans-fatty acid levels in sperm are associated with sperm concentration among men from an infertility clinic" 95 : 1794-1797, 2011

      6 Grimm MO., "Trans fatty acids enhance amyloidogenic processing of the Alzheimer amyloid precursor protein(APP)" 23 : 1214-1223, 2012

      7 Semma M, "Trans fatty acids : properties, benefits and risks" 48 : 7-13, 2002

      8 Nestel P, "Trans fatty acids : are its cardiovascular risks fully appreciated?" 36 : 315-321, 2014

      9 Bray GA., "The influence of different fats and fatty acids on obesity, insulin resistance and inflammation" 132 : 2488-2491, 2002

      10 Bollman JL.,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of lymph from the liver, small intestine, or thoracic duct of the rat" 33 : 1349-1352, 1948

      1 김주연, "흰쥐에서 녹차추출물의 트랜스 지방 소장 흡수 억제 작용"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73-78, 2012

      2 김현숙, "수수 추출물에 의한 마우스 비장세포 및 대식세포 활성의 항진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19 (19): 176-182, 2006

      3 서명철, "분쇄방법에 따른 조, 기장, 수수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790-797, 2011

      4 유연석, "보리가 혈당 변화와 지질 대사에 미치는 단기영향" 대한가정의학회 30 (30): 790-795, 2009

      5 Chavarro JE., "Trans-fatty acid levels in sperm are associated with sperm concentration among men from an infertility clinic" 95 : 1794-1797, 2011

      6 Grimm MO., "Trans fatty acids enhance amyloidogenic processing of the Alzheimer amyloid precursor protein(APP)" 23 : 1214-1223, 2012

      7 Semma M, "Trans fatty acids : properties, benefits and risks" 48 : 7-13, 2002

      8 Nestel P, "Trans fatty acids : are its cardiovascular risks fully appreciated?" 36 : 315-321, 2014

      9 Bray GA., "The influence of different fats and fatty acids on obesity, insulin resistance and inflammation" 132 : 2488-2491, 2002

      10 Bollman JL.,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of lymph from the liver, small intestine, or thoracic duct of the rat" 33 : 1349-1352, 1948

      11 Ikeda I., "Tea catechins decrease micellar solubility and intestinal absorption of cholesterol in rats" 1127 : 141-146, 1992

      12 Slover HT., "Quantitative analysis of food fatty acids by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56 : 933-943, 1979

      13 Koo SI., "Phosphatidylcholine inhibits and lysophosphatidylcholine enhances the lymphatic absorption of α-tocopherol in adult rats" 131 : 717-722, 2001

      14 Reynier MO., "Intestinal cholesterol uptake : comparison between mixed micelles containing lecithin or lysolecithin" 20 : 145-150, 1985

      15 de Souza RJ., "Intake of saturated and trans unsaturated fatty acids and risk of all cause mortality, cardiovascular disease, and type 2 diabet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351 : h3978-, 2015

      16 Al-Mamary M., "In vivo effects of dietary sorghum tannins on rabbit digestive enzymes and mineral absorption" 21 : 1393-1401, 2001

      17 Cho SH., "In vitro and in vivo effects of prosomillet and sorghum on cholesterol metabolism" 12 : 485-490, 2003

      18 Juhel C., "Green tea extract(AR25)inhibits lipolysis of triglycerides in gastric and duodenal medium in vitro" 11 : 45-51, 2000

      19 Kim J., "Green tea extract markedly lowers the lymphatic absorption and increases the biliary secretion of 14C-benzo[a]pyrene in rats" 23 : 1007-1011, 2012

      20 Löest HB., "Green tea extract inhibits the lymphatic absorption of cholesterol and α-tocopherol in ovariectomized rats" 132 : 1282-1288, 2002

      21 Wang S., "Green tea catechins inhibit pancreatic phospholipase A2 and intestinal absorption of lipids in ovariectomized rats" 17 : 492-498, 2006

      22 Koo SI., "Green tea as inhibitor of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lipids : potential mechanism for its lipidlowering effect" 18 : 179-183, 2007

      23 Carr TP., "Grain sorghum lipid extract reduces cholesterol absorption and plasma non-HDL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hamsters" 135 : 2236-2240, 2005

      24 Tso P., "Formation and transport of chylomicrons by enterocytes to the lymphatics" 250 : G715-G726, 1986

      25 Żbikowska A, "Formation and properties of trans fatty acids-a review" 60 : 107-114, 2010

      26 Lindahl M., "Flavonoids as phospholipase A2 inhibitors : importance of their structure for selective inhibition of group Ⅱ phospholipase A2" 21 : 347-356, 1997

      27 Wang S., "Epigallocatechin gallate and caffeine differentially inhibit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cholesterol and fat in ovariectomized rats" 136 : 2791-2796, 2006

      28 Castaño G., "Effects of policosanol and lovastatin on lipid profile and lipid peroxidation in patients with dyslipidemia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22 : 89-99, 2002

      29 Waniska RD., "Effects of growth conditions on grain molding and phenols in sorghum caryopsis" 10 : 217-225, 1989

      30 Hu J., "Dietary transfatty acids and cancer risk" 20 : 530-538, 2011

      31 Lichtenstein AH, "Dietary trans fatty acid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 past and present" 16 : 433-, 2014

      32 Hammad S., "Current evidence supporting the link between dietary fatty acids and cardiovascular disease" 51 : 501-517, 2016

      33 Lopez-Garcia E., "Consumption of trans fatty acids is related to plasma biomarkers of inflammation and endothelial dysfunction" 135 : 562-566, 2005

      34 Klopfenstein CF.,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sorghum diet in guinea pigs" 24 : 621-627, 1981

      35 Folch J.,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es from animal tissues" 226 : 497-509, 195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