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퍼스 기반 한국어 문학 텍스트 일반 명사 어휘 선정 및 분석- 숙달도 단계 등급과 의미 범주를 중심으로 - = Selection and analysis of common nouns based on Korean literature corpus - Focused on vocabulary level and semantic categor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19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aspect of usage of high-frequency common nouns which appear in overall Korean literature corpus. As part of this study, first, this study constructs a Korean literature corpus with approximately 1.54 million word phrases. Second, as the subjects of analysis, 954 common nouns are extracted in accordance with their frequency which is more than 100. Next, these nouns are classified with their vocabulary level and semantic categories. The categories refer to the list of headwords registered in Korean Basic Dictionary b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with the level, basic level accounts for 52.41%(500 nouns), intermediate level represents 36.27%(346 nouns), advanced level shows 7.02%(67 nouns), and 4.30%(41 nouns), though they are registered in the dictionary, cannot be identified by their level. With regard to the result of semantic classification, 76% of nouns among 954 nouns, which are a total of 725 nouns are able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Korean Basic Dictionary. The rest of 229 nouns are classified with their own semantics as they are not included certain semantic category of the dictionary although they are registered headwords.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suggests the material which enables to identify the aspect of common nouns in Korean literature corpus. Furthermore, the results are able to be applied to develop learning material involved in literature and compile and revise Korean dictionaries.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aspect of usage of high-frequency common nouns which appear in overall Korean literature corpus. As part of this study, first, this study constructs a Korean literature corpus with approximately 1.54 million word phra...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aspect of usage of high-frequency common nouns which appear in overall Korean literature corpus. As part of this study, first, this study constructs a Korean literature corpus with approximately 1.54 million word phrases. Second, as the subjects of analysis, 954 common nouns are extracted in accordance with their frequency which is more than 100. Next, these nouns are classified with their vocabulary level and semantic categories. The categories refer to the list of headwords registered in Korean Basic Dictionary b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with the level, basic level accounts for 52.41%(500 nouns), intermediate level represents 36.27%(346 nouns), advanced level shows 7.02%(67 nouns), and 4.30%(41 nouns), though they are registered in the dictionary, cannot be identified by their level. With regard to the result of semantic classification, 76% of nouns among 954 nouns, which are a total of 725 nouns are able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Korean Basic Dictionary. The rest of 229 nouns are classified with their own semantics as they are not included certain semantic category of the dictionary although they are registered headwords.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suggests the material which enables to identify the aspect of common nouns in Korean literature corpus. Furthermore, the results are able to be applied to develop learning material involved in literature and compile and revise Korean dictionar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한국어 문학 텍스트에 출현하는 고빈도 일반 명사 어휘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약 154만 어절 규모의 한국어 문학 코퍼스를 구축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해당 코퍼스에서 출현 빈도 100회 이상의 일반 명사 어휘 954개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어휘를 대상으로 숙달도 단계 등급과 의미 범주에 따라 분류하였다. 분류는 국립국어원의 󰡔한국어기초사전󰡕 등재 표제어 목록을 참조하여 이루어졌다. 숙달도 단계 등급에 따른 분류 결과 초급 어휘 500개(52.41%), 중급 346개(36.27%), 고급 67개(7.02%), 등재 표제어지만 등급이 부여되지 않은 어휘 41개(4.30%)였다. 의미 범주에 따른 분류 결과 총 954개 일반 명사 어휘 중 725개(76%) 어휘는 󰡔한국어기초사전󰡕에서 의미 범주별로 분류되어 있었다. 229개(24%)는 등재 표제어지만 분류되어 있지 않아서 사전의 의미에 따라 분류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한 어휘 목록과 분석 결과는 한국어 문학 텍스트의 일반 명사 어휘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또한 문학 관련 학습 자료 개발과 사전 편찬 및 보완 과정에 활용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한국어 문학 텍스트에 출현하는 고빈도 일반 명사 어휘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약 154만 어절 규모의 한국어 문학 코퍼스를 구축하였다.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한국어 문학 텍스트에 출현하는 고빈도 일반 명사 어휘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약 154만 어절 규모의 한국어 문학 코퍼스를 구축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해당 코퍼스에서 출현 빈도 100회 이상의 일반 명사 어휘 954개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어휘를 대상으로 숙달도 단계 등급과 의미 범주에 따라 분류하였다. 분류는 국립국어원의 󰡔한국어기초사전󰡕 등재 표제어 목록을 참조하여 이루어졌다. 숙달도 단계 등급에 따른 분류 결과 초급 어휘 500개(52.41%), 중급 346개(36.27%), 고급 67개(7.02%), 등재 표제어지만 등급이 부여되지 않은 어휘 41개(4.30%)였다. 의미 범주에 따른 분류 결과 총 954개 일반 명사 어휘 중 725개(76%) 어휘는 󰡔한국어기초사전󰡕에서 의미 범주별로 분류되어 있었다. 229개(24%)는 등재 표제어지만 분류되어 있지 않아서 사전의 의미에 따라 분류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한 어휘 목록과 분석 결과는 한국어 문학 텍스트의 일반 명사 어휘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또한 문학 관련 학습 자료 개발과 사전 편찬 및 보완 과정에 활용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현화 ; 원미진, "한국어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기초사전 구축 방안 연구" 한국사전학회 (20) : 7-30, 2012

      2 국립국어원, "한국어기초사전"

      3 윤여탁 ; 유영미 ; 박은숙,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학 정전 목록 선정 연구 - 한국, 미국, 중국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34) : 359-388, 2014

      4 박현진 ; FRASCHININICOLA, "한국어 학습자의 문학 텍스트 이해 실패 요인 분석" 이중언어학회 (51) : 111-149, 2013

      5 한영균, "한국어 어휘 교육과 학습과 어휘 통계 정보"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249-272, 2007

      6 한영균, "한국어 어휘 교육·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계량적 분석의 한 방향" 한국어문학회 (94) : 119-146, 2006

      7 주재환, "한국어 수준별 읽기 교재 개발을 위한 문학 텍스트 어휘 분석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0 (10): 253-272, 2014

      8 박배식, "한국어 문학교육의 실행 방안" 현대문학이론학회 (37) : 311-336, 2009

      9 신윤경,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학 텍스트 연구 : 문학 텍스트 선정기준과 교수 방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10 장연분홍,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학 작품 선정 기준 연구 -코퍼스 분석에 기반한 명사의 어휘 난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116) : 107-132, 2021

      1 강현화 ; 원미진, "한국어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기초사전 구축 방안 연구" 한국사전학회 (20) : 7-30, 2012

      2 국립국어원, "한국어기초사전"

      3 윤여탁 ; 유영미 ; 박은숙,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학 정전 목록 선정 연구 - 한국, 미국, 중국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34) : 359-388, 2014

      4 박현진 ; FRASCHININICOLA, "한국어 학습자의 문학 텍스트 이해 실패 요인 분석" 이중언어학회 (51) : 111-149, 2013

      5 한영균, "한국어 어휘 교육과 학습과 어휘 통계 정보"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249-272, 2007

      6 한영균, "한국어 어휘 교육·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계량적 분석의 한 방향" 한국어문학회 (94) : 119-146, 2006

      7 주재환, "한국어 수준별 읽기 교재 개발을 위한 문학 텍스트 어휘 분석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0 (10): 253-272, 2014

      8 박배식, "한국어 문학교육의 실행 방안" 현대문학이론학회 (37) : 311-336, 2009

      9 신윤경,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학 텍스트 연구 : 문학 텍스트 선정기준과 교수 방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10 장연분홍,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학 작품 선정 기준 연구 -코퍼스 분석에 기반한 명사의 어휘 난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116) : 107-132, 2021

      11 이충우, "한국어 교육용 어휘 연구" 국학자료원 1994

      12 신윤경, "한국문학 읽기를 위한 어휘 주석 연구 -사회·문화적 배경지식 및 맥락 이해 추가 설명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1 (11): 43-62, 2014

      1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14 황인교, "외국어로서의 한국문학교육의 가능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526 : 409-434, 2001

      15 강현화 ; 원미진, "언어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기초사전』 편찬의 원리와 실제" 민족문화연구원 (67) : 39-63, 2015

      16 윤여탁, "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6 : 239-256, 1999

      17 "교보문고"

      18 박영미, "<소나기>를 활용한 단편소설 한국어 교재 개발" 인문예술학회 (7) : 127-147,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