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개인용 쉘터 설계기준 작성을 위한 뇌파분석 실험연구 = An EEG Experiment Research for Preparing Personal Shelter Design Criter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587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premise of a disaster shelter or personal healing space, an EEG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rive planning elements andguidelines for constructing the optimal space even in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minimum space. Through the experim...

      Based on the premise of a disaster shelter or personal healing space, an EEG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rive planning elements andguidelines for constructing the optimal space even in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minimum space. Through the experiment divided into fourtrials, the following interpretation could be derive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experiment space from theoutside, the beta wave, which means tension and concentration, increases and the alpha wave that expresses the state of relaxation and restdecreases in order to actively explore the spa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ase of installing a window that allows you to check theinterior at the entrance door reduces stress and has more positive factors for exploring the space than the case where it is not. Third, it wasconfirmed that placing a window on a wall in a narrow space to face nature reduces stress and acts as a positive factor for spaceexploration than otherwise.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case where the rounded corners are finished acts as a positive factor of spatialperception in all areas except stress than the case where the corners are processed with an angle map. Therefore, in order to organize theoptimal space of the smallest size,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design method as a guideline, such as install a window at the entrancedoor, plan a window to observe nature on the inner wall, and rounding the corn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재난용 쉘터 또는 개인용 치유공간 구상을 전제로 최소 공간의 물리적 조건 속에서도 최적의 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계획 요소와 지침을 도출하고자 뇌파분석(EEG) 실험을 진행하였다. 네 개...

      재난용 쉘터 또는 개인용 치유공간 구상을 전제로 최소 공간의 물리적 조건 속에서도 최적의 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계획 요소와 지침을 도출하고자 뇌파분석(EEG) 실험을 진행하였다. 네 개의 Trial로 나뉘어 진행된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해석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외부로부터 실험공간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공간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긴장과 집중을 의미하는 베타파가 증가함과 동시에 이완과 휴식의 상태를 표현하는 알파파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출입문에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창문을 설치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스트레스는 줄이고 공간을 탐색하기 위한 긍정적인 요인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좁은 공간에서 벽에 창문을 두어 자연과 마주하게 하는 것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공간 탐색을 위한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모서리를 둥글게 마감한 경우가 모서리 면이 각이 지도로 처리한 경우보다 스트레스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공간인지의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최소 크기의 최적공간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출입문에는 창을 설치하고, 내부 벽에도 자연을 관찰할 수 있는 창문을 계획하며, 모서리는 부각되지 않도록 둥글게 처리하는 등의 설계방법을 지침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동준, "치유공간 색채환경 연구를 위한 선행 EEG 실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2 (12): 167-178, 2017

      2 서보람, "촉지적 공간에서의 감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2 (22): 162-170, 2013

      3 문정인, "재해·재난에 따른 임시주거 유형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141-148, 2006

      4 김사라, "재난 이후 임시주거의 공간특성 연구 - 아시아지역에서 발생한 자연재난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4 (24): 108-116, 2015

      5 문덕홍, "음향진동장치에 의한 인체의 스트레스 저감 효과" 한국동력기계공학회 11 (11): 32-37, 2007

      6 송영학, "유닛 모듈러 설계를 이용한 임시주거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9 (29): 155-162, 2013

      7 김태환, "실내공간의 시뮬레이션 구성과 뇌파측정에 의한 공간인지 분석 - 공공건물 내 경로인지를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36 : 128-135, 2003

      8 김영진, "선행 EEG 실험연구 분석을 통한 공간의 조명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3 (13): 107-118, 2018

      9 김미경, "사용자의 거주성을 고려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현황 분석과 계획적 시사점"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5 (25): 23-31, 2016

      10 주은연, "뇌파의 연령별 스펙트럼 및 비선형적 분석"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3 (3): 31-36, 2001

      1 신동준, "치유공간 색채환경 연구를 위한 선행 EEG 실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2 (12): 167-178, 2017

      2 서보람, "촉지적 공간에서의 감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2 (22): 162-170, 2013

      3 문정인, "재해·재난에 따른 임시주거 유형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141-148, 2006

      4 김사라, "재난 이후 임시주거의 공간특성 연구 - 아시아지역에서 발생한 자연재난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4 (24): 108-116, 2015

      5 문덕홍, "음향진동장치에 의한 인체의 스트레스 저감 효과" 한국동력기계공학회 11 (11): 32-37, 2007

      6 송영학, "유닛 모듈러 설계를 이용한 임시주거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9 (29): 155-162, 2013

      7 김태환, "실내공간의 시뮬레이션 구성과 뇌파측정에 의한 공간인지 분석 - 공공건물 내 경로인지를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36 : 128-135, 2003

      8 김영진, "선행 EEG 실험연구 분석을 통한 공간의 조명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3 (13): 107-118, 2018

      9 김미경, "사용자의 거주성을 고려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현황 분석과 계획적 시사점"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5 (25): 23-31, 2016

      10 주은연, "뇌파의 연령별 스펙트럼 및 비선형적 분석"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3 (3): 31-36, 2001

      11 송복섭, "뇌파분석을 통한 단위공간 지각특성 비교연구"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1 (21): 87-101, 2018

      12 김상희, "건축·공간디자인 분야 EEG 실험연구의 통합적 경향 분석" 대한건축학회 36 (36): 41-52, 2020

      13 김선욱, "가상현실을 활용한 공간에서의 뇌파 측정과 스트레스 변화량 분석" 대한건축학회 35 (35): 73-79, 2019

      14 명지연, "가상현실 기반 3차원 공간에 대한 감정적 반응" 대한건축학회 35 (35): 55-64, 2019

      15 Ulrich, R. S., "View Through a Window May Influence Recovery from Surgery" 224 : 420-421, 1984

      16 Shelter Cluster Palestine, "Shelter Minimum Standards Guidance"

      17 Malkin, J., "Hospital Interior Architecture" Van Nostrand Reinhold 36-37, 1992

      18 Sanchez, M., "From presence to consciousness through virtual reality" 6 : 332-339, 2005

      19 Choi, Y., "Development of Planning Guide for Temporary Shelter Considering Disaster Victims’ Habitability" 19 (19): 63-68,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4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