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도교사에서 점복의 기능과 위상 : 조선 시대의 도교 점복을 중심으로 = Function and Status of Divin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Taois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 도교사에 등장하는 도교 점복의 기능과 위상을 분석한 것이다. 고대의 점복은 다양하게 행해졌던 것으로 보이지만,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고대 한국선가와 점복의 관련성을 말하기는 어렵다. 고려시대에 빈번하게 행해졌던 풍수도참 등의 점복은 도교와는 관련이 없고, 오히려 불교나 유교와의 관련 속에서 행해졌다고 말할 수 있다. 조선 중기 이후에는 도교가 방외인(方外人)이나 소외 계층에서 퍼져나갔고, 점복도 성행했다. 도교 수행자들은 점복을 빌려 왜란 호란을 위시해서 안팎으로 고난에 시달리던 민중들을 도와주는 기능을 했으니, 그 본질은 수행의 계제에 따른 법안(法眼)의 도력(道力)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한국 도교사에 보이는 점복은 민중들에게 권선(勸善)의 수단으로 이용되었고 나아가 전도(傳道)나 구도(求道)의 방편으로 사용되었다. 이렇게 중국과 비교해볼 때 조선시대의 도교사에서 점복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도 한국 도교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관성제군(關聖帝君) 영첨(靈籤)이란 점복은 조선 말에서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매우 성행했고, 지금까지도 민족종교계통에서 구도의 방법으로 계승되고 있어서, 중국이나 일본 등의 도관에서 행해지고 있는 기복적인 영첨류와는 다른 한국 도교 점복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한국 도교사에 등장하는 도교 점복의 기능과 위상을 분석한 것이다. 고대의 점복은 다양하게 행해졌던 것으로 보이지만,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고대 한국선가와 점복의 관련성을 ...

      본 논문은 한국 도교사에 등장하는 도교 점복의 기능과 위상을 분석한 것이다. 고대의 점복은 다양하게 행해졌던 것으로 보이지만,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고대 한국선가와 점복의 관련성을 말하기는 어렵다. 고려시대에 빈번하게 행해졌던 풍수도참 등의 점복은 도교와는 관련이 없고, 오히려 불교나 유교와의 관련 속에서 행해졌다고 말할 수 있다. 조선 중기 이후에는 도교가 방외인(方外人)이나 소외 계층에서 퍼져나갔고, 점복도 성행했다. 도교 수행자들은 점복을 빌려 왜란 호란을 위시해서 안팎으로 고난에 시달리던 민중들을 도와주는 기능을 했으니, 그 본질은 수행의 계제에 따른 법안(法眼)의 도력(道力)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한국 도교사에 보이는 점복은 민중들에게 권선(勸善)의 수단으로 이용되었고 나아가 전도(傳道)나 구도(求道)의 방편으로 사용되었다. 이렇게 중국과 비교해볼 때 조선시대의 도교사에서 점복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도 한국 도교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관성제군(關聖帝君) 영첨(靈籤)이란 점복은 조선 말에서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매우 성행했고, 지금까지도 민족종교계통에서 구도의 방법으로 계승되고 있어서, 중국이나 일본 등의 도관에서 행해지고 있는 기복적인 영첨류와는 다른 한국 도교 점복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nalyzes the function and status of Taoist divin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Taoism. Although it appears that divination was executed in diverse form in ancient times, it is difficult to address the relevance between divination and the ancient Korean Zen sect due to a lack of data. However, it can be stated that divination, such as the Pungsu-docham, that was practi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is not related to Taoism, but rather related to Buddhism or Confucianism. Since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Taoism has been spread to outsiders or the alienated classes, with divination often being practiced. Although Taoist disciples attempted to assist the general public with divination during challenging times such as Japanese invasion and the Manchurian war, the power of spiritual enlightenment in accordance with the phases of asceticism can be deemed to be the essences of Taoism. Accordingly, the divination described in the history of Korean Taoism was used as a means of soliciting contributions for religious purposes, and, furthermore, as a way of salvation. Accordingly, compared to China, the important role played by divination in the history of Taoism during the Joseon Dynasty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aoism. In particular, the style of divination referred to as Gwangseongjegun Yeongcheom was very prevalent through the period of Japanese military occupation of Korea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it continues to this day as a means to enlightenment in the national religious sector. This differentiat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aoist divination from other branches of yeongcheom, also called “praying for good fortune,” as practiced in Taoist temples in China or Japan.
      번역하기

      This thesis analyzes the function and status of Taoist divin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Taoism. Although it appears that divination was executed in diverse form in ancient times, it is difficult to address the relevance between divination and the a...

      This thesis analyzes the function and status of Taoist divin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Taoism. Although it appears that divination was executed in diverse form in ancient times, it is difficult to address the relevance between divination and the ancient Korean Zen sect due to a lack of data. However, it can be stated that divination, such as the Pungsu-docham, that was practi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is not related to Taoism, but rather related to Buddhism or Confucianism. Since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Taoism has been spread to outsiders or the alienated classes, with divination often being practiced. Although Taoist disciples attempted to assist the general public with divination during challenging times such as Japanese invasion and the Manchurian war, the power of spiritual enlightenment in accordance with the phases of asceticism can be deemed to be the essences of Taoism. Accordingly, the divination described in the history of Korean Taoism was used as a means of soliciting contributions for religious purposes, and, furthermore, as a way of salvation. Accordingly, compared to China, the important role played by divination in the history of Taoism during the Joseon Dynasty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aoism. In particular, the style of divination referred to as Gwangseongjegun Yeongcheom was very prevalent through the period of Japanese military occupation of Korea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it continues to this day as a means to enlightenment in the national religious sector. This differentiat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aoist divination from other branches of yeongcheom, also called “praying for good fortune,” as practiced in Taoist temples in China or Jap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고대의 점복과 도교의 관계 문제 3. 조선 도교에서의 점복의 문제 4. 한국 도교에서 점복의 기능과 위상 5. 결론
      • 1. 서론 2. 고대의 점복과 도교의 관계 문제 3. 조선 도교에서의 점복의 문제 4. 한국 도교에서 점복의 기능과 위상 5.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만종, "홍만종전집 상" 태학사

      2 이종은, "해동전도록 청학집" 보성문화사 1996

      3 이석호, "한국종교사상사Ⅰ" 연대출판부 1991

      4 최운식, "한국의 점복" 민속원 1995

      5 백승종, "한국의 예언 문화사" 푸른역사 2006

      6 임채우, "한국의 신선 : 그 계보와 전기" 소명출판사 2018

      7 차주환, "한국의 도교사상" 동화출판공사 1984

      8 김탁, "한국의 관제신앙" 선학사 2006

      9 이병도, "한국사 고대편" 진단학회 1971

      10 박계홍, "한국민속대관 3"

      1 홍만종, "홍만종전집 상" 태학사

      2 이종은, "해동전도록 청학집" 보성문화사 1996

      3 이석호, "한국종교사상사Ⅰ" 연대출판부 1991

      4 최운식, "한국의 점복" 민속원 1995

      5 백승종, "한국의 예언 문화사" 푸른역사 2006

      6 임채우, "한국의 신선 : 그 계보와 전기" 소명출판사 2018

      7 차주환, "한국의 도교사상" 동화출판공사 1984

      8 김탁, "한국의 관제신앙" 선학사 2006

      9 이병도, "한국사 고대편" 진단학회 1971

      10 박계홍, "한국민속대관 3"

      11 이상환, "한국 신종교의 삼성제군 역할 연구 : 금강대도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12 임채우, "최치원과 도교의 관계문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고유선도와 중국도교의 관계를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0 : 31-59, 2011

      13 최영진, "주역의 筮法과 점의 세계" 우리마당 터 2003

      14 장석만, "종교읽기의 자유" 청년사 1999

      15 이능화, "조선도교사" 보성문화사 2000

      16 박현숙, "제64회 성재 강의록" 금강대도 총본원 2016

      17 정병석, "점에서 철학으로 : 점서역학의 해체와 주역의 철학적 해석의 길" 동과서 2014

      18 박종천, "임진왜란시 도교 술법(術法)의 수용 양상 - 정탁의 <<약포선조유묵>>을 중심으로" 종교문제연구소 (31) : 81-122, 2016

      19 김윤경, "이광현의 『백문결』과 도교의 불사" 한국의철학회 25 : 27-49, 2018

      20 김성환, "운학선생사적-역주, 교감 청학집-" 경인문화사 2010

      21 백승종, "예언가 우리 역사를 말하다" 푸른역사 2007

      22 김학권, "역학철학사1" 소명출판 2012

      23 홍만종, "순오지" 신원문화사 2014

      24 임채우, "동아시아와 문명 : 지역공동체 지평의 인문실크로드" 동과서 2020

      25 김지현, "도교와 술수: 분류체계의 변천과 4~6세기 도경을 중심으로" 철학사상연구소 (53) : 55-99, 2014

      26 김지현, "도교에 있어서 점복의 자리" 종교문화비평학회 36 (36): 134-181, 2019

      27 "관성제군영첨 옥황영첨"

      28 김낙필, "고운 최치원의 철학 종교사상" 도서출판문사철 2009

      29 이병도, "고려시대의 연구–특히 도참사상의 발전을 중심으로" 아세아문화사 1980

      30 김선희, "고려시대 국가 차원의 占卜" 21 : 2013

      31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강좌 한국철학" 예문서원 1999

      32 김윤수, "高宗時代의 鸞壇道敎" 한국동양철학회 (30) : 57-101, 2008

      33 徐珽, "關聖帝君聖蹟圖誌續集 顯聖殿"

      34 詹石窗, "道敎風水學" 文津出版社 1994

      35 李養正, "道敎槪說" 中華書局 1996

      36 王卡, "道敎三百題" 上海古籍出版社 2000

      37 이봉호, "渤海人 李光玄의 鍊丹理論 -『주역참동계』 연단론의 전개-" 한국도교문화학회 (32) : 195-217, 2010

      38 村山智順, "朝鮮の占卜と豫言" 朝鮮總督府 1933

      39 朱伯崑, "易學哲學史 上冊" 北京大學出版社 1986

      40 백현숙, "崔瑆煥의 人物과 著作物" 103 : 1984

      41 王玠, "太上老君說常清靜妙經纂圖解註" 文物出版社、上海書店、天津古籍出版社 1988

      42 천병돈, "周易에서의 占의 意義" 한국동양철학회 (26) : 157-182, 2006

      43 "中國方術大辭典" 中山大學出版社 1991

      44 임채우, "『난중일기』에 보이는 주역점의 문제" (17) : 2012

      45 차차석, "『관세음보살묘응시현제중감로』에 나타난 법화사상" 보조사상연구원 (43) : 115-151, 2015

      46 강동석, "『靑鶴集』內 漢詩의 두 局面" 국제어문학회 (73) : 291-311, 2017

      47 이갑봉, "『觀世音菩薩妙應示現濟衆甘露』에 나타난 佛教思想 硏究" 東方文化大學院大學校 2015

      48 최영진, "‘元亨利貞’, 점과 철학의 이중성" 우리마당 터 2003

      49 박소연, "19세기 후반 서울지역 신앙 결사의 활동과 특징-불교ㆍ도교 결사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대학원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8-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태동고전연구 제24집 -> 태동고전연구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6 1.75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