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도덕지능의 초등 도덕교육적 함의 = Moral Intelligence and Its Implications for Moral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053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ethical background of moral intelligence and its meanings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Moral intelligence is the conception that introduced to argue against single and multiple intelligence theories. This conception is focused on moral psychology and the traditions of virtue ethics. In other words, It is focused on the cognitive, emotional, practical spheres in morality.
      Moral intelligence is gradually developed through moral imagination. And Stories from directive experiences in real lives as well as stories from the movies, from literature, are resources to can stir and provoke moral imagination.
      Th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should be moral model, cultivate the moral imagination of students by providing them with appropriately various resources at the stages of moral development, give the chances of community service for students to have wisdom, which they shall live with oth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ethical background of moral intelligence and its meanings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Moral intelligence is the conception that introduced to argue against single and multiple intelligenc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ethical background of moral intelligence and its meanings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Moral intelligence is the conception that introduced to argue against single and multiple intelligence theories. This conception is focused on moral psychology and the traditions of virtue ethics. In other words, It is focused on the cognitive, emotional, practical spheres in morality.
      Moral intelligence is gradually developed through moral imagination. And Stories from directive experiences in real lives as well as stories from the movies, from literature, are resources to can stir and provoke moral imagination.
      Th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should be moral model, cultivate the moral imagination of students by providing them with appropriately various resources at the stages of moral development, give the chances of community service for students to have wisdom, which they shall live with oth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의 목적은 도덕지능의 심리학적, 윤리학적 배경과 그 초등도덕교육적 함의를 탐구하는 것이다. 도덕지능은 기존의 단일지능이론이나 다중지능이론을 비판하며 등장한 개념으로 심리학적, 윤리학적 기초 하에 도덕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도덕지능은 유아기, 아동기, 청년기를 거치는 동안 도덕적 상상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계발되는데 영화나 소설 속의 이야기, 실제 생활에서 직접 경험한 이야기들이 도덕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자원들이다.따라서 초등학교 교사들은 아동학생들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다양한 자원들을 제공하여 도덕적 상상력을 키우고, 남과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를 갖도록 봉사활동학습의 기회를 부여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연구의 목적은 도덕지능의 심리학적, 윤리학적 배경과 그 초등도덕교육적 함의를 탐구하는 것이다. 도덕지능은 기존의 단일지능이론이나 다중지능이론을 비판하며 등장한 개념으로 심리학...

      연구의 목적은 도덕지능의 심리학적, 윤리학적 배경과 그 초등도덕교육적 함의를 탐구하는 것이다. 도덕지능은 기존의 단일지능이론이나 다중지능이론을 비판하며 등장한 개념으로 심리학적, 윤리학적 기초 하에 도덕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도덕지능은 유아기, 아동기, 청년기를 거치는 동안 도덕적 상상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계발되는데 영화나 소설 속의 이야기, 실제 생활에서 직접 경험한 이야기들이 도덕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자원들이다.따라서 초등학교 교사들은 아동학생들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다양한 자원들을 제공하여 도덕적 상상력을 키우고, 남과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를 갖도록 봉사활동학습의 기회를 부여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타고난 지능 만들어진 지능" 서울: 궁리 2001

      2 "칸트의 도덕형이상학과 형식주의 한국칸트학회 칸트와 윤리학" 서울: 민음사 1996

      3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1999

      4 "중용의 덕과 합리성" 서울: 청계출판사 2004

      5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서울: 서광사 1996

      6 "도덕적 상상력 함양을 위한 교육-초등학교 도덕교육을 중심으로" 제19집 : 2003

      7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서울: 학지사 2004

      8 "도덕교육의 이해" 서울: 백의 1999

      9 "덕과 규범 -도덕교육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1996

      10 "다중지능-인간지능의 새로운 이해" 서울: 김영사 1999

      1 "타고난 지능 만들어진 지능" 서울: 궁리 2001

      2 "칸트의 도덕형이상학과 형식주의 한국칸트학회 칸트와 윤리학" 서울: 민음사 1996

      3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1999

      4 "중용의 덕과 합리성" 서울: 청계출판사 2004

      5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서울: 서광사 1996

      6 "도덕적 상상력 함양을 위한 교육-초등학교 도덕교육을 중심으로" 제19집 : 2003

      7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서울: 학지사 2004

      8 "도덕교육의 이해" 서울: 백의 1999

      9 "덕과 규범 -도덕교육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1996

      10 "다중지능-인간지능의 새로운 이해" 서울: 김영사 1999

      11 "니코마코스 윤리학" 1984

      12 "건강한 사회인, 존경받는 리더로 키우는 도덕지능" 서울: 한언 2004

      13 "The Moral Judgement of the Child" 1932

      14 "The Moral Intelligence of Children" New York: Randomhouse 1997

      15 "The Fabric of Character Aristotle's Theory of Virtue"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16 "The Autonomy of Moral Intelligence" 44-4, 1994

      17 "Philosophy of Moral Development" 1971

      18 "Journal of Moral Education" 10-2, 1981

      19 "In a Different Voic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2

      20 "Ethics: A Contemporary Introduction" New York: Routledge 1998

      21 "Ethics and the Limits of Philosophy" Harvard University Press 1985

      22 "Educating for Character" 1991

      23 "21세기 국민윤리교육의 방향과 전망"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1.393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