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주의 관점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학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와 학년에 따라 우주관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초등학교 학생들의 우주관은 하나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599538
2002
Korean
375.05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89-108(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주의 관점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학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와 학년에 따라 우주관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초등학교 학생들의 우주관은 하나의 ...
본 연구는 우주의 관점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학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와 학년에 따라 우주관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초등학교 학생들의 우주관은 하나의 범주로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으며, 여러 우주관들의 개념중 일부가 함께 공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의 우주관은 태양중심적, 종교적, 은하계적, 점성술적 및 지구중심적 우주관 순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그 중에서 점성술적, 종교적 및 지구중심적 우주관에 대해서 초등학교 학생들의 반응률은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학년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태양중심적 우주관과 은하계적 우주관은 학년에 따라 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사회과 지리 영역 교육과정 구성의 문제점과 그 대안적 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