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사회경제지표를 반영한 거시적 교통사고 분석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Macroscopic Traffic Accident Models with Socio - Economic Indica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278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local level safety policy, of which autonomous communities take charge, is playing the most essential role in the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national level traffic safety policy programs. However, in case of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made by the nation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it is too much concentrated on the analysis of regional aspects, such as black spots or dangerous zones, so there remains a difficulty with the establishment and assessment of autonomous - community - centered traffic safety planning with such a microscopic analysis.
      For the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local level safety measures, there needs to be the development of macroscopic accident analysis models that reflect the conditions and nature of the whole society rather than microscopic analysis through the existing primary factors.
      Thus,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n fatal crashes by collecting the indicators that represen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226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nation, and selecting the indicators that seem to have association with traffic accidents.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the truncated negative binomial model was selected as the most suitable one, and among the total of ten independent variables, sales volumes of oil, investment costs related to traffic accidents,foreign population, total length of roads, the proportion of highways, internal traffic volumes, and the ratio of women drivers were found to have correlation with the occurrence of fatal accidents.
      As a result, it is judged that there might be a difficulty in developing a model using the currently established statistical data; thus, for more developed research lat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search with panel analysis that makes it possible to make a simultaneous analysis of cross-section data and time - series data together with the collection of new indicators.
      번역하기

      The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local level safety policy, of which autonomous communities take charge, is playing the most essential role in the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national level traffic safety policy programs. However, in case of ...

      The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local level safety policy, of which autonomous communities take charge, is playing the most essential role in the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national level traffic safety policy programs. However, in case of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made by the nation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it is too much concentrated on the analysis of regional aspects, such as black spots or dangerous zones, so there remains a difficulty with the establishment and assessment of autonomous - community - centered traffic safety planning with such a microscopic analysis.
      For the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local level safety measures, there needs to be the development of macroscopic accident analysis models that reflect the conditions and nature of the whole society rather than microscopic analysis through the existing primary factors.
      Thus,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n fatal crashes by collecting the indicators that represen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226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nation, and selecting the indicators that seem to have association with traffic accidents.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the truncated negative binomial model was selected as the most suitable one, and among the total of ten independent variables, sales volumes of oil, investment costs related to traffic accidents,foreign population, total length of roads, the proportion of highways, internal traffic volumes, and the ratio of women drivers were found to have correlation with the occurrence of fatal accidents.
      As a result, it is judged that there might be a difficulty in developing a model using the currently established statistical data; thus, for more developed research lat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search with panel analysis that makes it possible to make a simultaneous analysis of cross-section data and time - series data together with the collection of new indicat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방자치단체에서 담당하고 있는 지역단위의 안전정책의 수립 및 시행은 국가 전체적인 교통안전정책 사업의 수립 및 시행에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국가 및 지자체에서 실시하는 교통사고 분석의 경우 사고 잦은 지점 또는 위험지구 선정 등 국지적 측면의 분석에 치우쳐 있으며, 이러한 미시적 관점의 분석을 통해서는 지자체 중심의 교통안전 계획의 수립 및 평가에 어려움이 있다. 지자체 중심의 안전대책의 수립 및 시행을 위해서는 기존의 1차적 요인만을 통한 미시적인 분석이 아닌 사회 전체의 여건 및 특성을 반영한 거시적인 사고분석 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226개의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해당 지역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를 수집하고, 교통사고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지표를 선정하여 사망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절단 음이항 모형이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선정되었으며, 총 10개의 독립변수 중 유류 판매량, 교통사고관련 투자비용, 외국인 인구, 도로연장, 고속도로 구성비, 내부통행량, 여성운전자 비율이 사망사고의 발생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현재 국내에 구축되어 있는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을 발전시키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보다 발전된 연구를 위해서는 새로운 지표의 수집과 함께 횡단면자료와 시계열자료를 함께 분석할 수 있는 패널 분석을 통한 연구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지방자치단체에서 담당하고 있는 지역단위의 안전정책의 수립 및 시행은 국가 전체적인 교통안전정책 사업의 수립 및 시행에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국가 및 지자체에서 ...

      지방자치단체에서 담당하고 있는 지역단위의 안전정책의 수립 및 시행은 국가 전체적인 교통안전정책 사업의 수립 및 시행에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국가 및 지자체에서 실시하는 교통사고 분석의 경우 사고 잦은 지점 또는 위험지구 선정 등 국지적 측면의 분석에 치우쳐 있으며, 이러한 미시적 관점의 분석을 통해서는 지자체 중심의 교통안전 계획의 수립 및 평가에 어려움이 있다. 지자체 중심의 안전대책의 수립 및 시행을 위해서는 기존의 1차적 요인만을 통한 미시적인 분석이 아닌 사회 전체의 여건 및 특성을 반영한 거시적인 사고분석 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226개의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해당 지역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를 수집하고, 교통사고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지표를 선정하여 사망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절단 음이항 모형이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선정되었으며, 총 10개의 독립변수 중 유류 판매량, 교통사고관련 투자비용, 외국인 인구, 도로연장, 고속도로 구성비, 내부통행량, 여성운전자 비율이 사망사고의 발생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현재 국내에 구축되어 있는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을 발전시키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보다 발전된 연구를 위해서는 새로운 지표의 수집과 함께 횡단면자료와 시계열자료를 함께 분석할 수 있는 패널 분석을 통한 연구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기초자치단체, 2009

      2 도로교통공단, "여성운전자 교통사고 특성분석 및 안전교육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교통과학연구원 2007

      3 임현정, "부산시 교통사고 예측모형의 개발" 1992

      4 김호덕, "도로환경특성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01

      5 김성환, "도로선형관련 교통사고특성 및 사고예측모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2004

      6 김홍상, "교통사고의 기술방안에 관한 연구" 칼스루에 공과대학 1987

      7 경찰청, "교통사고 통계분석"

      8 Smeed, R, J., "Some Statistical Aspects of Safety Research" 112 : 6-, 1949

      9 Adams, R. G., "Smeed's Law : some Further Thoughts" 28 (28): 70-73, 1987

      10 Kim, D., "Multivariate analysis of accident related outcomes with respect to contemporaneous correlation and endogeneity : Application of simultaneous estimation approaches" University of Arizona 2006

      1 기초자치단체, 2009

      2 도로교통공단, "여성운전자 교통사고 특성분석 및 안전교육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교통과학연구원 2007

      3 임현정, "부산시 교통사고 예측모형의 개발" 1992

      4 김호덕, "도로환경특성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01

      5 김성환, "도로선형관련 교통사고특성 및 사고예측모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2004

      6 김홍상, "교통사고의 기술방안에 관한 연구" 칼스루에 공과대학 1987

      7 경찰청, "교통사고 통계분석"

      8 Smeed, R, J., "Some Statistical Aspects of Safety Research" 112 : 6-, 1949

      9 Adams, R. G., "Smeed's Law : some Further Thoughts" 28 (28): 70-73, 1987

      10 Kim, D., "Multivariate analysis of accident related outcomes with respect to contemporaneous correlation and endogeneity : Application of simultaneous estimation approaches" University of Arizona 2006

      11 Grogger, J. T., "Models for Truncated Counts" 6 : 225-238, 1991

      12 Kim, D., "Modeling Crash Outcomes: New Insights into the Effects of Covariates on Crashes at Rural Intersections" 132 (132): 282-292, 2006

      13 Maddala, G. S., "Limited-Dependent and Qualitative Variables in Econometr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14 Trichopoulos, D., "Factors Related to Mortality from Motor Vehicle Accidents in European Countries In 1970" 7 (7): 9-13,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2 0.798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