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항일 무장 독립 투쟁사 학습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과 교수 방향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th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history class and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descriptions was examined. And I sought directions to teach this subject. Students recognized the learning ...

      In this paper, th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history class and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descriptions was examined. And I sought directions to teach this subject. Students recognized the learning importance of this subject. However, due to the numerous organizations and events involved in this subject, students are feeling a burden of learning. Among the questions raised by the students, noteworthy is that all classes and textbook descriptions only deal with the victory of the independence army. The contents of movies and dramas dealing with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is affecting students’ perception of history. In order to reconsider the historical and educational value of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it is necessary to highlight the trials and concrete life of the independence army. The process of closely reviewing the various data left by the independence army and experiencing their lives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face the truth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s well as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The students’ perception of learning about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history makes us look back on the reality of Korean history education, which emphasizes the pride of Korean history that resisted Japanese imperialism by presenting some monumental examples of victory and many independence arm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序言
      • 2. 학생들의 인식
      • 3. 교수 방향
      • 4. 結語
      • 참고문헌
      • 1. 序言
      • 2. 학생들의 인식
      • 3. 교수 방향
      • 4. 結語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도시환, "한일강제병합 100년의 역사와 과제" 동북아역사재단 2013

      2 이태진, "한국병합의 불법성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3 이태진, "한국병합과 현대 : 역사적 국제법적 재검토" 태학사 2009

      4 이태진, "한국병합, 성립하지 않았다 : 일본 최고 지성지 『세카이(世界)』, 3년간의논쟁" 태학사 2001

      5 양호환, "한국 역사교육의 연구동향" 책과함께 2011

      6 김기봉,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학" 푸른역사 2002

      7 장세윤, "중국동북지역 민족운동과 한국현대사" 명지사 2005

      8 이태진, "조약으로 본 한국 병합 : 불법성의 증거들" 동북아역사재단 2010

      9 정운현, "조선의 딸, 총을 들다" 인문서원 2016

      10 이영림, "제7차교육과정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항일무장투쟁 서술과 개선방안"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 도시환, "한일강제병합 100년의 역사와 과제" 동북아역사재단 2013

      2 이태진, "한국병합의 불법성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3 이태진, "한국병합과 현대 : 역사적 국제법적 재검토" 태학사 2009

      4 이태진, "한국병합, 성립하지 않았다 : 일본 최고 지성지 『세카이(世界)』, 3년간의논쟁" 태학사 2001

      5 양호환, "한국 역사교육의 연구동향" 책과함께 2011

      6 김기봉,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학" 푸른역사 2002

      7 장세윤, "중국동북지역 민족운동과 한국현대사" 명지사 2005

      8 이태진, "조약으로 본 한국 병합 : 불법성의 증거들" 동북아역사재단 2010

      9 정운현, "조선의 딸, 총을 들다" 인문서원 2016

      10 이영림, "제7차교육과정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항일무장투쟁 서술과 개선방안"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1 이태진, "일본의 한국병합 강제 연구 : 조약 강제와 저항의 역사" 지식산업사 2016

      12 김태웅, "우리 역사, 어떻게 읽고 생각할까" 아카넷 2014

      13 신영화, "여성사 교육, 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81 : 2002

      14 맹희수, "알려지지 않은 역사적 인물을 활용한 여성독립운동가 특강 방안 연구" 서강대학교 2020

      15 박창욱, "봉오동전투와 청산리전투 연구" 111 : 2000

      16 윤대원, "데라우치 마사다케 통감의 강제 병합 공작과 '한국병합'의 불법성" 소명출판 2011

      17 장세윤, "남·북한의 항일무장투쟁에 대한 역사인식" 17 : 2001

      18 한철호, "고등학교 한국사" 미래엔 2020

      19 최준채, "고등학교 한국사" 금성출판사 2020

      20 최병택, "고등학교 한국사" 천재교육 2020

      21 전덕재, "고등학교 한국사" 씨마스 2020

      22 송호정, "고등학교 한국사" 지학사 2020

      23 박중현, "고등학교 한국사" 해냄에듀 2020

      24 노대환, "고등학교 한국사" 동아출판 2020

      25 도면회, "고등학교 한국사" 비상교육 2020

      26 문교부, "고등학교 국사" 1979

      27 이방원,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에 서술된 ‘한국여성독립운동’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여성사학회 (22) : 161-200, 2015

      28 정광필, "검정 한국사 교과서를 둘러싼 ‘편향성’ 논쟁의 딜레마" 한국역사교육학회 (35) : 115-152, 2019

      29 황민호,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만주지역 독립운동사에 대한 서술체계와 내용" 숭실사학회 (29) : 243-274, 2012

      30 이태진, "[단행본] 일본의 대한제국 강점" 까치 1995

      31 조한나, "7차 교육과정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자유시 참변 서술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2 우지민, "2015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의 1920~1930년대 독립운동사 서술 경향과 특성–내용 구성과 학생 활동을 중심으로-" 2020

      33 신효승, "2015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무장 독립운동사 서술 경향과 특징" 2020

      34 윤병석, "1910년대 항일운동 : 만주·러시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35 윤대원, "1910년 병합 「칙유」의 文書上의 결함과 불법성"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3) : 125-152,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6 1.598 0.5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