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택생명연금모형의 설계 및 도입 가능성에 관한 연구 = Designing the Housing Life Annuity Model and its Possibility of Introdu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452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nalysis, as a new annuity product using housing assets, we designed the housing life annuity model focus on its actuarial structure for calculating the monthly payment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introduction. The housing life annuity is a new type of product that allows pensioners to live as permanent tenants while paying rent for living in the same house, receiving a monthly pension benefit calculated based on the sale price after selling their homes to the guarantor. The current housing pension is designed to pay the difference (residual home equity) to the heirs if the house price at the end of the contract is greater than the loan balance and it also includes a non-recourse option as well. Differently, because the pensioner of the housing life annuity could convert the entire housing equity into cash at the time of signing the contract, it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level of monthly payments compared to the current housing pen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t appeared that if we use housing life annuity instead of current housing pension, by the passage of time, age 60 could receive a 27%∼41% increased, age 70 could receive a 29%∼63% increased, and age 80 could receive a 47%∼85% increased monthly payments. Therefore, the housing life annuity is expected to provide the opportunity to receive a relatively satisfying level of payments compared to the current housing pension for the elderly who do not want to bequeath their home to their child as well as for the elderly with low priced housing. Therefore, it is judged that active efforts and policy support in the market for the introduction of the housing life annuity are needed.
      번역하기

      In this analysis, as a new annuity product using housing assets, we designed the housing life annuity model focus on its actuarial structure for calculating the monthly payment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introduction. The housing life annuity is...

      In this analysis, as a new annuity product using housing assets, we designed the housing life annuity model focus on its actuarial structure for calculating the monthly payment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introduction. The housing life annuity is a new type of product that allows pensioners to live as permanent tenants while paying rent for living in the same house, receiving a monthly pension benefit calculated based on the sale price after selling their homes to the guarantor. The current housing pension is designed to pay the difference (residual home equity) to the heirs if the house price at the end of the contract is greater than the loan balance and it also includes a non-recourse option as well. Differently, because the pensioner of the housing life annuity could convert the entire housing equity into cash at the time of signing the contract, it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level of monthly payments compared to the current housing pen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t appeared that if we use housing life annuity instead of current housing pension, by the passage of time, age 60 could receive a 27%∼41% increased, age 70 could receive a 29%∼63% increased, and age 80 could receive a 47%∼85% increased monthly payments. Therefore, the housing life annuity is expected to provide the opportunity to receive a relatively satisfying level of payments compared to the current housing pension for the elderly who do not want to bequeath their home to their child as well as for the elderly with low priced housing. Therefore, it is judged that active efforts and policy support in the market for the introduction of the housing life annuity are nee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주택자산을 이용한 새로운 연금상품으로서 주택생명연금의 상품모형 및 월지급액 산정에 필요한 계리적 구조를 설계하고 동 상품의 도입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주택생명연금은 가입자가 소유주택을 보증기관에 매각한 후 매각대금을 기초로 산정한 연금액을 매월 종신토록 받으면서 동시에 동일 주택에 종신토록 임차료를 부담하면서 영구 세입자로서 거주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새로운 형태의 연금 상품이다. 주택생명연금의 계약자는 계약체결 시 주택지분 전체를 현금화하기 때문에 비소구 옵션이 포함되어 있고 아울러 계약종료시점에 평가된 주택가격이 대출잔액보다 큰 경우 그 차액(잔여 주택지분)을 상속인에게 지급하도록 설계된 현행 주택연금에 비해 월지급액 수준을 현저하게 증액시켜 줄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주택생명연금을 이용하는 경우 현행 주택연금에 비해 경과시점에 따라 60세의 경우 27%∼41%, 70세의 경우 29%∼63%, 80세의 경우 47%∼85% 월지급액이 증액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택생명연금은 저가주택을 소유하고 있음으로 인해 현행 주택연금모형의 구조 하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월지급액을 수급할 수 밖에 없는 상대적 취약계층과 보유주택을 자녀에게 물려줄 의향이 없는 노인 주택소유자들에게는 주택지분 전체를 현금화 할 수 있게 하여 현행 주택연금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월지급액을 수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주택생명연금제도의 도입에 대한 시장에서의 적극적인 노력과 정책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주택자산을 이용한 새로운 연금상품으로서 주택생명연금의 상품모형 및 월지급액 산정에 필요한 계리적 구조를 설계하고 동 상품의 도입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주택생명연금은 ...

      본 연구는 주택자산을 이용한 새로운 연금상품으로서 주택생명연금의 상품모형 및 월지급액 산정에 필요한 계리적 구조를 설계하고 동 상품의 도입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주택생명연금은 가입자가 소유주택을 보증기관에 매각한 후 매각대금을 기초로 산정한 연금액을 매월 종신토록 받으면서 동시에 동일 주택에 종신토록 임차료를 부담하면서 영구 세입자로서 거주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새로운 형태의 연금 상품이다. 주택생명연금의 계약자는 계약체결 시 주택지분 전체를 현금화하기 때문에 비소구 옵션이 포함되어 있고 아울러 계약종료시점에 평가된 주택가격이 대출잔액보다 큰 경우 그 차액(잔여 주택지분)을 상속인에게 지급하도록 설계된 현행 주택연금에 비해 월지급액 수준을 현저하게 증액시켜 줄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주택생명연금을 이용하는 경우 현행 주택연금에 비해 경과시점에 따라 60세의 경우 27%∼41%, 70세의 경우 29%∼63%, 80세의 경우 47%∼85% 월지급액이 증액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택생명연금은 저가주택을 소유하고 있음으로 인해 현행 주택연금모형의 구조 하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월지급액을 수급할 수 밖에 없는 상대적 취약계층과 보유주택을 자녀에게 물려줄 의향이 없는 노인 주택소유자들에게는 주택지분 전체를 현금화 할 수 있게 하여 현행 주택연금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월지급액을 수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주택생명연금제도의 도입에 대한 시장에서의 적극적인 노력과 정책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