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 사용하는 '고악보'라는 용어는 거문고나 가야금을 연주하기 위하여 편찬, 필사된 악보집을 말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악보(금보, 가야금보)에 수록된 시가문학 작품을 조사, 정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 사용하는 '고악보'라는 용어는 거문고나 가야금을 연주하기 위하여 편찬, 필사된 악보집을 말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악보(금보, 가야금보)에 수록된 시가문학 작품을 조사, 정리...
본고에서 사용하는 '고악보'라는 용어는 거문고나 가야금을 연주하기 위하여 편찬, 필사된 악보집을 말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악보(금보, 가야금보)에 수록된 시가문학 작품을 조사, 정리, 체계화하면서 작품의 문학적 특성을 음악 및 당대의 시가문학 연행 특성과 연계하여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악보는 악장, 가곡, 시조, 가사, 잡가 형식의 형성과 완성, 시가문학과 음악과의 상관성, 그리고 내용 면에서 시가작품의 시대적 변화를 밝히는 데 긴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들 민찬 중심의 고악보들은 국악연구를 위한 소중한 자료가 됨은 물론, 조선조의 악관을 포함하여 시가문학의 주요 문화층과 다기화 현상, 악조의 분화에 따른 가곡 혹은 시조 노랫말의 변화와 내용의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고악보에 수록된 시가 작품 연구는 가집이나 문집 중심의 시조(가곡)문학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시가문학연구를 위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것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국문 초록 (Abstract)
머리말 = 3 제1부. 연구편 17-18세기 고악보 소재 가곡문학 = 13 1. 서론 = 13 2. 17-18세기 고악보 소재 가곡 = 14 3. 문학적 특성 = 21 4. 음악적 특성 - 문학과 연계하여 = 45 5. 결론 = 51 19세기 고악보 소...
머리말 = 3
제1부. 연구편
17-18세기 고악보 소재 가곡문학 = 13
1. 서론 = 13
2. 17-18세기 고악보 소재 가곡 = 14
3. 문학적 특성 = 21
4. 음악적 특성 - 문학과 연계하여 = 45
5. 결론 = 51
19세기 고악보 소재 시조문학 = 55
1. 서론 = 55
2. 시조창이 유형과 변화 = 58
3. 시조사설의 주제별 유형과 의미 = 66
4. 결론 = 75
19세기 고악보 소재 가곡문학 = 79
1. 서론 = 79
2. 가곡창의 전개와 특징 = 82
3. 주제적 특성 = 93
4. 가곡 연희 담당인 = 96
5. 결론 = 99
19세기 고악보 소재 민요문학 = 105
1. 서론 = 105
2. 고악보의 편찬 의도와 민요 수록 = 107
3. 통속민요의 형성과정 = 110
4. 결론 = 121
참고문헌 = 125
제2부. 자료편
고악보 해제 = 133
1. 한국음학자료총서 목차 = 133
2. 시가문학자료 수록 고악보 목차 = 135
3. 고악보의 편찬순차별 도해 = 137
고악보 소재 시가작품 존재양상 = 141
1. 가곡사설의 존재양상 = 141
2. 시조사설의 존재양상 = 181
3. 민요(잡가)·가사·단가 사설의 존재양상 = 189
4. 감군은, 분전사설의 존재양상 = 302
고악보 소재 곡조 도해 = 207
1. 平調의 존재양상 = 207
2. 羽調의 존재양상 = 212
3. 界面調의 종재양상 = 217
4. 기타(평우조/평계면/우계면/계면우조 등) = 222
고악보 소재 서·발문 원문 및 번역문 = 227
1. 서·발문 수록 고악보 목차 = 227
2. 서·발문 원문 및 번역문 = 228
찾아보기 = 281
<출처:RISS
http://www.riss.kr/link?id=M8664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