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 근대 초기 西學 번역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531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y investigating the translations of the Western Learning in the early modern China, with the focus on the formation process of translation system, my dissertation probes into the buildings of 'modern translation' and the prototype of the modern discourse in the 'space of modern language.' Especially, in the Chinese contexts after the Opium War, I investigate the linguistic/cultural conflicts and the building of the modern hegemony. The detailed sources I refer to are the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e for translation, Tongwenguan (同文館 ; the Imperial College of Languages), established by the Qing dynasty, and the translated examples excerpted from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one of the representatives of the Western Learning at that time. My thesis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I want to prove why the reexamination of the translation of the Western Learning in the early modern China is needed, and I suggest the hypothetical presumptions and methodologies in order to process the reexamination.
      In the second chapter, I try to explore the translation before the mid-19th century in the premodern linguistic space. In particular, as the preliminary preparation stage to form the modern translation protocol, the Western Christian missionary's sporadic participation is noted. In the space of the premodern language, the classical language (classical Chinese) played as the meta-language and shared-language transcending each people's native tongues and dialects, and the translation between each people's characters did as a secondary role.
      In the third chapter, the main idea is dealt with through the translation system and protocol, the formation process of modern hegemony, right before the Tianjin(天津) Treatment in the wake of the Second Opium War. China's hegemony was turned over to the West with the conclusion of the Tianjin Treatment.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es for translation is in line with the perceptional changes made by the upper class intellectuals, which further greatly influences on the activities of the Western missionary such as Mohaishuguan (墨海書館) and Guangxuehui (廣學會) along with the flourishing of the Western Learning translation with the translation system and protocol formation. Through the translation of the Western Learning, there were made the translation words and meaning changes in the existing vocabulary, which resulted in the 'break' in the existing linguistic systems and discourse order. In this sense, the modern translation can be evaluated as the new verification of hegemony in the modern discourse.
      The fourth chapter goes into the detailed translation examples in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translated by William Martin who engaged as a missionary, delegate, and Tongwenguan teacher. By the examples of the practical translation, I try to look into the hybridity in the hegemony formation of the Western discourse along with the traditional discourse. The Western modern international law resulted from the Euro-centrism, and Orientalism replaced the East Asian traditional discourse order through the translation of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In the final chapter, I reexamine the double values contained in the 19th century Western Learning in translation, and I discuss the out-of-modern prospects and possibilities amongst the forces of centripetal and centrifugal. Following the continuous changes of language, translation also changes along with the historical meaning changes in the texts. Translation establishes the linguistic hegemony but it continuously breaks down the existing hegemony. Plus, translation disregards two different elements, which sheds the possibility to go beyond the binary oppositions, like "Huzangqize(互藏其宅 ; mutual hiding of its dwelling), " the concept from the Book of Changes.
      번역하기

      By investigating the translations of the Western Learning in the early modern China, with the focus on the formation process of translation system, my dissertation probes into the buildings of 'modern translation' and the prototype of the modern disco...

      By investigating the translations of the Western Learning in the early modern China, with the focus on the formation process of translation system, my dissertation probes into the buildings of 'modern translation' and the prototype of the modern discourse in the 'space of modern language.' Especially, in the Chinese contexts after the Opium War, I investigate the linguistic/cultural conflicts and the building of the modern hegemony. The detailed sources I refer to are the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e for translation, Tongwenguan (同文館 ; the Imperial College of Languages), established by the Qing dynasty, and the translated examples excerpted from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one of the representatives of the Western Learning at that time. My thesis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I want to prove why the reexamination of the translation of the Western Learning in the early modern China is needed, and I suggest the hypothetical presumptions and methodologies in order to process the reexamination.
      In the second chapter, I try to explore the translation before the mid-19th century in the premodern linguistic space. In particular, as the preliminary preparation stage to form the modern translation protocol, the Western Christian missionary's sporadic participation is noted. In the space of the premodern language, the classical language (classical Chinese) played as the meta-language and shared-language transcending each people's native tongues and dialects, and the translation between each people's characters did as a secondary role.
      In the third chapter, the main idea is dealt with through the translation system and protocol, the formation process of modern hegemony, right before the Tianjin(天津) Treatment in the wake of the Second Opium War. China's hegemony was turned over to the West with the conclusion of the Tianjin Treatment.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es for translation is in line with the perceptional changes made by the upper class intellectuals, which further greatly influences on the activities of the Western missionary such as Mohaishuguan (墨海書館) and Guangxuehui (廣學會) along with the flourishing of the Western Learning translation with the translation system and protocol formation. Through the translation of the Western Learning, there were made the translation words and meaning changes in the existing vocabulary, which resulted in the 'break' in the existing linguistic systems and discourse order. In this sense, the modern translation can be evaluated as the new verification of hegemony in the modern discourse.
      The fourth chapter goes into the detailed translation examples in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translated by William Martin who engaged as a missionary, delegate, and Tongwenguan teacher. By the examples of the practical translation, I try to look into the hybridity in the hegemony formation of the Western discourse along with the traditional discourse. The Western modern international law resulted from the Euro-centrism, and Orientalism replaced the East Asian traditional discourse order through the translation of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In the final chapter, I reexamine the double values contained in the 19th century Western Learning in translation, and I discuss the out-of-modern prospects and possibilities amongst the forces of centripetal and centrifugal. Following the continuous changes of language, translation also changes along with the historical meaning changes in the texts. Translation establishes the linguistic hegemony but it continuously breaks down the existing hegemony. Plus, translation disregards two different elements, which sheds the possibility to go beyond the binary oppositions, like "Huzangqize(互藏其宅 ; mutual hiding of its dwelling), " the concept from the Book of Chang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西學 번역 시스템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19세기 후반 중국에서의 근대 초기 西學 번역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근대 번역’과 근대 담론의 원형 및 ‘근대 언어 공간’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2차 아편전쟁 직후 淸 왕조에 의해 설립된 관립 번역 교육 기구인 同文館과 당시의 대표적인 西學書 가운데 하나인 『萬國公法』의 번역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중·서 간의 언어·문화적 갈등과 근대적 헤게모니의 형성 과정을 고찰해보았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 1장에서는 19세기 후반, 근대 초기 중국에서의 西學 번역에 대한 재조명의 필요성을 되짚어보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가설적 전제 및 방법론에 대한 모색을 진행하였다. 근대 초기 인 19세기 중엽부터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던 西學 번역을 총체적으로 바라보기 위하여, "언어 공간"이라는 개념과 함께 양가론적 시각과 혼종화라는 가설적 개념을 통해, 당시 西學 번역 속에 내재해있던 서구라는 언어·문화적 헤게모니 중심을 향한 구심력과 이에 대하여 서구라는 헤게모니 중심으로부터 이탈하고 미끄러지는 원심력 사이의 갈등과 모순을 분석할 것임을 제시하였다.
      제 2장에서는 19세기 중엽 이전까지의 전근대 언어 공간에 있어서 번역에 관하여 살펴보고, 19세기 전반기 동안의 서양인 신교 선교사들에 의해 산발적으로 진행되었던 근대 번역 프로토콜의 형성을 위한 사전 준비 과정을 고찰해보았다. 전근대 언어 공간 속에서 경전언어는 각 민족의 구어, 혹은 지방어를 초월하는 메타언어이자 보편언어로서 역할 하였으며, 상대적으로 각 민족의 문자 간의 번역은 부차적인 의미를 지닌 것이었다 할 수 있다.
      제 3장에서는 19세기 중엽 2차 아편전쟁 시기에 天津條約을 맺게 된 이후로 점차 나타나게 되는 전근대적 번역으로부터 ‘근대적 번역’으로의 이행 과정을 번역 시스템과 프로토콜이라는 근대적 헤게모니 기제의 형성과정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중국의 언어·문화적 헤게모니가 天津條約을 계기로 점차 상실되면서, 서구로 그 주도권이 넘어가게 된다. 淸 왕조에 의한 관립 번역 교육 기구의 설립과 西學의 번역에 대한 지배계층의 인식의 변화 역시 이 같은 변화의 연장선 위에 있으며, 이는 墨海書館이나 廣學會와 같은 민간 서양인 선교사들의 활동과 함께 19세기 후반의 西學 번역 활성화와 번역 시스템 및 프로토콜의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西學 번역을 통해 번역어가 새롭게 만들어지거나 기존 어휘에 의미 변화가 일어나게 되면서 기존의 언어 체계와 담론 질서에 균열이 일어나게 되고, 점차 서구의 언어·담론이 헤게모니를 장악하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근대 번역은 근대 담론의 헤게모니 기제로서 새롭게 ‘발견’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제 4장에서는 선교사이자 외교관, 그리고 同文館 敎習으로서 활동하였던 미국인 선교사 윌리엄 마틴(William A.P. Martin)에 의해 번역된 『萬國公法』이라는 번역 텍스트의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그 안에 내재된 서구 담론의 헤게모니 형성과 전통 담론과의 혼종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유럽 중심주의와 오리엔탈리즘의 산물이라 할 수 있는 서구의 근대 국제법 질서 담론이 『萬國公法』의 번역에 의해 동아시아의 전통적 질서 담론을 대체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萬國公法』의 번역 과정과 그 속에
      번역하기

      본 논문은 西學 번역 시스템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19세기 후반 중국에서의 근대 초기 西學 번역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근대 번역’과 근대 담론의 원형 및 ‘근대 언어 공간’이 형성되...

      본 논문은 西學 번역 시스템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19세기 후반 중국에서의 근대 초기 西學 번역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근대 번역’과 근대 담론의 원형 및 ‘근대 언어 공간’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2차 아편전쟁 직후 淸 왕조에 의해 설립된 관립 번역 교육 기구인 同文館과 당시의 대표적인 西學書 가운데 하나인 『萬國公法』의 번역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중·서 간의 언어·문화적 갈등과 근대적 헤게모니의 형성 과정을 고찰해보았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 1장에서는 19세기 후반, 근대 초기 중국에서의 西學 번역에 대한 재조명의 필요성을 되짚어보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가설적 전제 및 방법론에 대한 모색을 진행하였다. 근대 초기 인 19세기 중엽부터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던 西學 번역을 총체적으로 바라보기 위하여, "언어 공간"이라는 개념과 함께 양가론적 시각과 혼종화라는 가설적 개념을 통해, 당시 西學 번역 속에 내재해있던 서구라는 언어·문화적 헤게모니 중심을 향한 구심력과 이에 대하여 서구라는 헤게모니 중심으로부터 이탈하고 미끄러지는 원심력 사이의 갈등과 모순을 분석할 것임을 제시하였다.
      제 2장에서는 19세기 중엽 이전까지의 전근대 언어 공간에 있어서 번역에 관하여 살펴보고, 19세기 전반기 동안의 서양인 신교 선교사들에 의해 산발적으로 진행되었던 근대 번역 프로토콜의 형성을 위한 사전 준비 과정을 고찰해보았다. 전근대 언어 공간 속에서 경전언어는 각 민족의 구어, 혹은 지방어를 초월하는 메타언어이자 보편언어로서 역할 하였으며, 상대적으로 각 민족의 문자 간의 번역은 부차적인 의미를 지닌 것이었다 할 수 있다.
      제 3장에서는 19세기 중엽 2차 아편전쟁 시기에 天津條約을 맺게 된 이후로 점차 나타나게 되는 전근대적 번역으로부터 ‘근대적 번역’으로의 이행 과정을 번역 시스템과 프로토콜이라는 근대적 헤게모니 기제의 형성과정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중국의 언어·문화적 헤게모니가 天津條約을 계기로 점차 상실되면서, 서구로 그 주도권이 넘어가게 된다. 淸 왕조에 의한 관립 번역 교육 기구의 설립과 西學의 번역에 대한 지배계층의 인식의 변화 역시 이 같은 변화의 연장선 위에 있으며, 이는 墨海書館이나 廣學會와 같은 민간 서양인 선교사들의 활동과 함께 19세기 후반의 西學 번역 활성화와 번역 시스템 및 프로토콜의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西學 번역을 통해 번역어가 새롭게 만들어지거나 기존 어휘에 의미 변화가 일어나게 되면서 기존의 언어 체계와 담론 질서에 균열이 일어나게 되고, 점차 서구의 언어·담론이 헤게모니를 장악하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근대 번역은 근대 담론의 헤게모니 기제로서 새롭게 ‘발견’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제 4장에서는 선교사이자 외교관, 그리고 同文館 敎習으로서 활동하였던 미국인 선교사 윌리엄 마틴(William A.P. Martin)에 의해 번역된 『萬國公法』이라는 번역 텍스트의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그 안에 내재된 서구 담론의 헤게모니 형성과 전통 담론과의 혼종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유럽 중심주의와 오리엔탈리즘의 산물이라 할 수 있는 서구의 근대 국제법 질서 담론이 『萬國公法』의 번역에 의해 동아시아의 전통적 질서 담론을 대체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萬國公法』의 번역 과정과 그 속에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