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영적 안녕, 우울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기독교 집단과 무교 집단의 비교 = Influence of spiritual well-being and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comparison between Christian and Non-Christian grou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83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suicidal ide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hus provide valid materials for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programs and counseling. A total of 310university students were used as subjects to verify the influence of spiritual well–being and depression on their suicidal ideation, followed by examining differences whe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Cristian and non–Christian group.The findings first revealed that Cristian group had lower level of suicidal ideation than non–Christian group, but it doesn’t have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 Second, Analyzing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individually revealed that religious well–being has an influence on suicidal ideation in the Cristian group only while existential well–being does in both groups. Third, when religious well–being, existential well–being, and depression were analyzed altogether, only existential well–being has an influence on suicidal ideation in both groups. Fourth, the direct effect of existential well–being is higher than that of depression in both group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went on to offer discussion and suggestion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suicidal ide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hus provide valid materials for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programs and counseling. A total of 310university students were used as subj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suicidal ide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hus provide valid materials for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programs and counseling. A total of 310university students were used as subjects to verify the influence of spiritual well–being and depression on their suicidal ideation, followed by examining differences whe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Cristian and non–Christian group.The findings first revealed that Cristian group had lower level of suicidal ideation than non–Christian group, but it doesn’t have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 Second, Analyzing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individually revealed that religious well–being has an influence on suicidal ideation in the Cristian group only while existential well–being does in both groups. Third, when religious well–being, existential well–being, and depression were analyzed altogether, only existential well–being has an influence on suicidal ideation in both groups. Fourth, the direct effect of existential well–being is higher than that of depression in both group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went on to offer discussion and sugges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은실, "청소년의 자살의도, 우울, 영적 안녕과의 관계" 13 (13): 190-199, 2004

      2 박병금, "청소년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6 (16): 505-522, 2007

      3 김보영,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4 송동호, "청소년 자살기도의 정신의학적 특성" 35 (35): 1366-1375, 1996

      5 유영권, "종교계에서 보는 자살과 대처방안. 자살의 이해와 예방" 학지사 2007

      6 한국자살예방협회, "자살의 이해와 예방" 학지사 2007

      7 오강섭, "자살 및 정신과적 질환과 자살의 정신사회적 위험요인"

      8 강연정, "영적 안녕과 전인건강 증진을 위한 기독교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13 : 13-43, 2007

      9 서경현, "영적 안녕, 생활 스트레스 및 대처"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333-350, 2004

      10 "연합뉴스. 2011. 4. 11"

      1 강은실, "청소년의 자살의도, 우울, 영적 안녕과의 관계" 13 (13): 190-199, 2004

      2 박병금, "청소년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6 (16): 505-522, 2007

      3 김보영,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4 송동호, "청소년 자살기도의 정신의학적 특성" 35 (35): 1366-1375, 1996

      5 유영권, "종교계에서 보는 자살과 대처방안. 자살의 이해와 예방" 학지사 2007

      6 한국자살예방협회, "자살의 이해와 예방" 학지사 2007

      7 오강섭, "자살 및 정신과적 질환과 자살의 정신사회적 위험요인"

      8 강연정, "영적 안녕과 전인건강 증진을 위한 기독교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13 : 13-43, 2007

      9 서경현, "영적 안녕, 생활 스트레스 및 대처"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333-350, 2004

      10 "연합뉴스. 2011. 4. 11"

      11 조하,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1011-1026, 2009

      12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결과" 2010

      13 김정진, "대학생의 자살예방과 개입 그리고 협력체제" 10 : 71-105, 2008

      14 손정남, "대학생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에 대한 판별분석" 정신간호학회 16 (16): 267-275, 2007

      15 김정진, "대학생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연구: 자살시도경험, 정신건강, 심리사회적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2) : 413-437, 2009

      16 서경현, "대학생의 영적 안녕과생활 스트레스, 우울, 및 자아존중감"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1077-1095, 2005

      17 이승연, "대학생의 스트레스, 부적응적 완벽주의, 자살사고의 관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애착유형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5 (5): 119-136, 2008

      18 하정희, "대학생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스트레스, 대처방식, 완벽주의, 우울, 충동성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1149-1171, 2008

      19 노명선, "대학생들의 자살관련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6 (46): 35-40, 2007

      20 노명선, "대학생들의 우울장애에 관현 연구 : 유병율, 위험요인, 자살행동 및 기능장애"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5 (45): 432-437, 2006

      21 이현지, "대학생 자아정체감과 무망감, 우울이 자살사고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4 (14): 243-264, 2007

      22 최명식, "대학 내 자살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28 : 2008

      23 김현순, "노인과 청소년의 자살생각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회 28 (28): 325-343, 2008

      24 Bonner, R. L., "Toward a predictive model of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 Some preliminary data in college students" 17 : 50-63, 1987

      25 White, J. L., "The troubled adolescent" Pergamon Press 1989

      26 Stoll, R. I., "The essence of spirituality, In Spiritual dimensions of nursing practice" W. B. Saunders 4-23, 1989

      27 Fremouw, W. J., "Suicide risk assessment and response guidelines" Pergamon Press 1990

      28 Kandel, 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 Depression, substance abuse and other risk factors" 20 : 289-310, 1991

      29 Harwood, D., "Suicidal behavior among the elderly, In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suicide and attempted suicide" Jhon Wiley & Sons. Ltd 2000

      30 Morberg, D. O., "Subjective measures of spiritual well–being" 25 (25): 351-364, 1984

      31 Goddard, N., "Spirituality as integrative energy: A philosophical analysis as requisite precursor" 22 : 808-815, 1995

      32 Ellison, C. W., "Spiritual well–being: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11 (11): 330-340, 1983

      33 Westgate, C. E., "Spiritual wellness & depression" 75 (75): 26-35, 1996

      34 Johnson, P. E., "Psychology of religion" Abingdon–Cokesbury 1945

      35 Bonner, R. L., "Negative life stress, social problem solving self–appraisal and hopelessness: Implication for suicide research" 12 (12): 549-557, 1988

      36 Rainer, J. D., "Genetic factors in depression and suicide" 1984

      3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revised)"

      38 Marschean, A., "Developing a plan and strategy for suicide prevention in the commonwealth" joint Commission on Behavioral Health Care 2002

      39 Sherer, M.,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57 : 1061-1062, 1985

      40 Shafranske, E. P., "Clinical psychologists’ religious and spiritual orientations and their practice of psychotherapy" 27 : 72-78, 1990

      41 O’carroll, P., "Beyond the Tower of Babel: A nonmenclature for suicidology" 26 : 237-252, 1996

      42 Stanard, P. S., "Assessment of spirituality in counseling" 78 (78): 204-210, 2000

      43 Rudd, M. D., "An integrative model suicide ideation" 20 : 16-30,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ristian Counseling & Psychotherapy -> Korean Association of Christian Counseling & Psycholog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2 0.5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