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Kohut의 자기심리학과 Hoekema의 인간 이해 = Kohut's self psychology and Hoekema's Chrstian human understand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83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y a dialogue between Kohut’s self psychology as a personality theory and Hoekema’s Christian human understanding, to examin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m, to find out self’s psychology’s contribution and limitation to a Christian view, and to present an integration approach for a Christian counseling setting. Self psychology is based on the human context from a perspective of a psycho–social being but Christian human understanding is based on the human–divine context for a perspective of a spiritual being. Kohut gives a more concrete explanation about how healthy self–love is forme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but neglects an aspect of object–love. Hoekema provides wider perspectives about threefold relationship with God, other people and about creation–corruption–redemption and emphasizes Jesus’self–sacrificial love. When self psychology is applied to a Christian counseling setting, Christian counselors should get well aware of the contribution and limitation of self psychology based on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m. Therefore, the role of Christian counselors is considered importa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y a dialogue between Kohut’s self psychology as a personality theory and Hoekema’s Christian human understanding, to examin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m, to find out self’s psychology’s contrib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y a dialogue between Kohut’s self psychology as a personality theory and Hoekema’s Christian human understanding, to examin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m, to find out self’s psychology’s contribution and limitation to a Christian view, and to present an integration approach for a Christian counseling setting. Self psychology is based on the human context from a perspective of a psycho–social being but Christian human understanding is based on the human–divine context for a perspective of a spiritual being. Kohut gives a more concrete explanation about how healthy self–love is forme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but neglects an aspect of object–love. Hoekema provides wider perspectives about threefold relationship with God, other people and about creation–corruption–redemption and emphasizes Jesus’self–sacrificial love. When self psychology is applied to a Christian counseling setting, Christian counselors should get well aware of the contribution and limitation of self psychology based on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m. Therefore, the role of Christian counselors is considered importa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관직, "현대심리치료와 기독교적 평가" 대서출판사 2009

      2 홍이화, "한국문화 안에서 목회상담가의 자기대상(selfobject) 기능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 이론의 한국적 적용" 한국기독교학회 (62) : 315-335, 2009

      3 김홍근, "하인즈 코헛의 자기대상 개념과 성령과의 합일감정" 23 : 175-200, 2007

      4 권명수, "하인즈 코헛과 자기 심리학"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5 박완선, "하인즈 코핫(Heinz kohut)의 공감(Empathy)을 통한 십자가 신학의 목회적 연구 : 하인즈 코핫의 자기대상을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0

      6 김용태, "통합적 관점에서 본 기독교 상담학: 배경, 내용 그리고 모델들" 학지사 2006

      7 정석환, "코헛의 자기심리학과 목회상담" 27 : 319-348, 1999

      8 홍이화, "중독: 자기애성 행동장애" 624 : 265-279, 2010

      9 Kohut, H., "정신분석은 어떻게 치료하는가?" 한국심리치료학회 2007

      10 Kohut, H., "자기의 회복" 한국심리치료학회 2006

      1 이관직, "현대심리치료와 기독교적 평가" 대서출판사 2009

      2 홍이화, "한국문화 안에서 목회상담가의 자기대상(selfobject) 기능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 이론의 한국적 적용" 한국기독교학회 (62) : 315-335, 2009

      3 김홍근, "하인즈 코헛의 자기대상 개념과 성령과의 합일감정" 23 : 175-200, 2007

      4 권명수, "하인즈 코헛과 자기 심리학"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5 박완선, "하인즈 코핫(Heinz kohut)의 공감(Empathy)을 통한 십자가 신학의 목회적 연구 : 하인즈 코핫의 자기대상을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0

      6 김용태, "통합적 관점에서 본 기독교 상담학: 배경, 내용 그리고 모델들" 학지사 2006

      7 정석환, "코헛의 자기심리학과 목회상담" 27 : 319-348, 1999

      8 홍이화, "중독: 자기애성 행동장애" 624 : 265-279, 2010

      9 Kohut, H., "정신분석은 어떻게 치료하는가?" 한국심리치료학회 2007

      10 Kohut, H., "자기의 회복" 한국심리치료학회 2006

      11 홍이화, "자기의 치료: 공감" 626 : 252-261, 2011

      12 Kohut, H., "자기의 분석" 한국심리치료학회 1999

      13 홍이화, "자기의 결핍: 자기애성 성격장애" 623 : 236-248, 2010

      14 홍이화, "자기애성 성격장애와 그 목회상담적 함축 - 자기심리학(self psychology)의 관점을 중심으로 -" 한국실천신학회 (23) : 341-370, 2010

      15 박상희, "자기대상 경험을 통한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변화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6 정서영, "안토니 후크마의 신학 사상에 대한 비평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09

      17 홍이화, "섭식장애와 목회적 돌봄 - 자기의 결핍(deficits in the self)의 관점에서 -" 한국실천신학회 (28) : 543-579, 2011

      18 Erickson, M. J., "복음주의 조직신학"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0

      19 권수영, "기독상담에서의 공감: 성육신의 목회신학적 성찰" 10 : 107-140, 2005

      20 Nouwen, H., "긍휼" IVP 2002

      21 김완신, "그리스도 몸으로서의 敎會 硏究: 바울 서신을 중심으로" 總神大學校 神學大學院 1989

      22 Hoekema, A. A., "개혁주의 인간론" 기독교문서선교회 2004

      23 Spykman, G. J., "개혁주의 신학" 기독교문서회 2002

      24 김홍근, "‘관계’에 대한 Martin Buber의 관계신학과 대상관계이론 및 영성신학적인 조명" 한국신학연구소 (138) : 247-278, 2007

      25 김병훈, "‘Heinz Kohut’의 정신분석학 입장에서 본 삼위일체론" 11 : 158-177, 2002

      26 Miller, W. R., "What is human nature? Reflections from Judeo–Christian perspectives, In Judeo–Christian perspectives on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1-29, 2005

      27 Clinton, T., "The popular encyclopedia of Christian counseling" Harvest House Publishers 2011

      28 Kohut, H., "The analysis of the self"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71

      29 Browning, D. S., "Religious thought and the modern psychologies" Fortress Press 1987

      30 채옥현, "Kohut의 자기심리학의 기독교 상담에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9

      31 원일상, "Calvin의 인간론을 통해 본 Hoekema의 인간론 연구"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2004

      32 김홍근, "'강박적인 삶과 긍휼의 삶'에 대한 영성 신학적, 대상관계이론적인 조명"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11 : 94-114,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ristian Counseling & Psychotherapy -> Korean Association of Christian Counseling & Psycholog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2 0.5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