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혁신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산학연협력모델 제안 연구: 대전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Model for Revitalizing Innovation Clusters: Focusing on the Case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367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술혁신 패러다임이 융합 및 협력을 통한 신산업 창출로 변화되는 등 산학연협력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중앙부처 및 지자체별 산학연협력 추진 동력확보를 위해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대전지역은 정부산하의 혁신주체가 밀집되어 있는 지역으로서, 정부정책 기반의 예산이 대규모로 투자되는 등 산학연협력을 위한 기반이 잘 갖추어진 지역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수한 자원능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네트워킹, 산학협력의 보완을 통해 혁신주체간 연계 강화 및 융합생태계를 활성화하여, 대전형 산학연협력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전지역의 산학협력과 관련된 거버넌스 현황, 정책현황, 혁신주체별 협력현황, 혁신역량 수준, 투자현황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대전의 산학연협력 주요특징과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책적 시사점은 혁신주체간 연계 강화 및 융합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대전형 산학연협력모델 도출 및 협력기반 조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기술혁신 패러다임이 융합 및 협력을 통한 신산업 창출로 변화되는 등 산학연협력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중앙부처 및 지자체별 산학연협력 추진 동력확보를 위해 정책을 ...

      기술혁신 패러다임이 융합 및 협력을 통한 신산업 창출로 변화되는 등 산학연협력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중앙부처 및 지자체별 산학연협력 추진 동력확보를 위해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대전지역은 정부산하의 혁신주체가 밀집되어 있는 지역으로서, 정부정책 기반의 예산이 대규모로 투자되는 등 산학연협력을 위한 기반이 잘 갖추어진 지역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수한 자원능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네트워킹, 산학협력의 보완을 통해 혁신주체간 연계 강화 및 융합생태계를 활성화하여, 대전형 산학연협력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전지역의 산학협력과 관련된 거버넌스 현황, 정책현황, 혁신주체별 협력현황, 혁신역량 수준, 투자현황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대전의 산학연협력 주요특징과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책적 시사점은 혁신주체간 연계 강화 및 융합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대전형 산학연협력모델 도출 및 협력기반 조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혜란, "혁신플랫폼 기반의 과학도시 대전 재도약 방향과 과제" 대전세종연구원 2020

      2 최종인, "혁신클러스터 성공요인 :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1 (1): 67-90, 2008

      3 홍은영, "트리플헬릭스가 해체될 때 산학협력 지속가능성의 조직생태학적 접근: 산학협력센터의 존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36 (36): 191-214, 2021

      4 홍은영 ; 최종인, "지역특화 전략에 기반한 산학협력에 관한 연구: 충청권 연구마을 특성화 연계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2 (12): 105-115, 2017

      5 이원철 ; 최종인, "지역연계 대학창업교육 방향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12 (12): 89-98, 2017

      6 한국연구재단, "지난 10년간 산학협력정책 추진성과와 향후 발전방향" 2013

      7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 R&D 지원체계 혁신방안"

      8 관계부처합동, "제7차(’20∼’22)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 2020

      9 산업통상자원부, "제7차 산업기술혁신계획(2019~2023)" 2019

      10 중소벤처기업부, "제4차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계획(2019∼2023)(안)" 2019

      1 황혜란, "혁신플랫폼 기반의 과학도시 대전 재도약 방향과 과제" 대전세종연구원 2020

      2 최종인, "혁신클러스터 성공요인 :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1 (1): 67-90, 2008

      3 홍은영, "트리플헬릭스가 해체될 때 산학협력 지속가능성의 조직생태학적 접근: 산학협력센터의 존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36 (36): 191-214, 2021

      4 홍은영 ; 최종인, "지역특화 전략에 기반한 산학협력에 관한 연구: 충청권 연구마을 특성화 연계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2 (12): 105-115, 2017

      5 이원철 ; 최종인, "지역연계 대학창업교육 방향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12 (12): 89-98, 2017

      6 한국연구재단, "지난 10년간 산학협력정책 추진성과와 향후 발전방향" 2013

      7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 R&D 지원체계 혁신방안"

      8 관계부처합동, "제7차(’20∼’22)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 2020

      9 산업통상자원부, "제7차 산업기술혁신계획(2019~2023)" 2019

      10 중소벤처기업부, "제4차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계획(2019∼2023)(안)" 2019

      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4차 연구개발특구 육성종합계획(안)" 2021

      12 관계부처합동, "제1차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 기본계획(’19~’23)" 2020

      13 홍은영 ; 최종인, "산학협력의 장애요인 및 극복방안에 관한 연구: POB(Positive Organization Behavior) 관점에서" 한국벤처창업학회 10 (10): 185-196, 2015

      14 홍은영 ; 최종인 ; 권기환, "산학협력센터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연구: 미국 NSF의 I/UCRCs와 한국 중소기업산학협력센터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32 (32): 79-100, 2017

      15 홍은영 ; 최종인, "산학협력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산학협력관계강도와 장애의 극복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410-422, 2018

      16 배재대학교,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5차년도 수정사업계획서"

      17 최종인, "사회가치경영을 위한 대학의 역할 : 앙트러프러너 대학"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1 (21): 229-248, 2018

      18 최종인 ; 백강, "대전지역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벤처 자금생태계 개선방안" 한국벤처창업학회 13 (13): 39-48, 2018

      19 연합뉴스, "대전시 정무부시장 대신 과학부시장…"조례 개정 추진""

      20 박범수, "기업관점에서의 출연(연) 중소기업 기술사업화지원"

      21 최종인, "기술사업화: 죽음의 계곡을 건너다" 한경사 2016

      22 최종인, "계획된 혁신클러스터의 성공요인 : 리서치 트라이앵글(RTP)60년 시사점" 10 (10): 52-88, 2019

      23 Etzkowitz, H., "The dynamics of innovation:From national systems and “mode 2” to a triple helix of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relations" 29 (29): 109-123, 2000

      24 Florida, R.,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Basic Books 2002

      25 Santoro, M. D., "Success breeds success: The linkage between relationship intensity and tangible outcomes in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ve ventures" 11 (11): 255-273, 2000

      26 성을현, "R&D투자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산학연 연계 활성화 방안"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2017

      27 Choi, J. I., "Creating a corporate entrepreneurial ecosystem: The cas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RTP" 5 (5): 62-76, 2019

      28 정세은, "4차 산업혁명 선도국가의 산업혁신전략과 정책적 시사점" 국회기획재정위원회 2020

      29 대전권 대학연합 산학협력협의체, "2021년도 제1회 정기총회 회의자료"

      30 대전광역시, "2021년도 대전광역시 지역산업진흥계획" 2020

      31 기획재정부, "2021 블룸버그 혁신지수: 한국 세계 1위"

      32 대전테크노파크, "2021 대전광역시 기업지원사업 안내"

      33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1 IMD 세계경쟁력 분석" 2021

      34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보고서" 2021

      35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년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평가" 2020

      36 김우승, "2019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제언"

      37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7년도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 산학연 Collabo R&D사업" 2018

      38 대전광역시, "2017년 대전지역산업진흥계획"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