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특구는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성과 확산과 국가균형발전이라는 제도화된 정책수단이지만, 현재까지 특구의 성장과 지역의 발전이 상호 공존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개발특구는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성과 확산과 국가균형발전이라는 제도화된 정책수단이지만, 현재까지 특구의 성장과 지역의 발전이 상호 공존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연구개발특구는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성과 확산과 국가균형발전이라는 제도화된 정책수단이지만, 현재까지 특구의 성장과 지역의 발전이 상호 공존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전북연구개발특구는 정부 출연(연) 지역조직이 중심으로 구성된 혁신클러스터로 국가혁신체계와 지역혁신체계가 복합적으로 작동되면서 시스템 지체를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북연구개발특구 내 정부 출연(연) 지역조직의 기술경영적 시스템 지체와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지역연계형 특구내 지역조직은 혁신투입과 혁신과정에서는 비교적 상호작용이 작동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지역연계형 지역조직의 기술사업화 및 기술이전은 낮게 나타나 산출 분야에서의 시스템 지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으로 국가와 지역이 협력하여 혁신산출을 수용할 수 있는 지역기업의 혁신역량 제고, 지역조직과 지역기업의 공동연구과제 기획 등을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황두희 ; 정영철 ; 정선양, "혁신클러스터의 진화 :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21 (21): 1207-1236, 2018
2 성을현 ; 염명배 ; 이종효, "혁신클러스터에서 혁신주체에 대한 기업의 신뢰가 클러스터몰입과 기업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덕연구개발특구 중심"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8 (18): 77-103, 2015
3 박후근 ; 배관표,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요인에 대한 정책공급자와 수요자의 인식차이 분석: 대덕연구개발특구 사례에 대한 AHP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6 (16): 105-119, 2021
4 임덕순, "혁신클러스터 연구 및 정책분야에 관한 연구" 9 (9): 98-110, 2019
5 이선제 ; 정선양, "혁신클러스터 내에서의 혁신주체들간 상호작용의 변화: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17 (17): 820-844, 2014
6 이장재, "한국형 국가기술혁신체계 진단 및 구축방안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
7 안지혜 ; 이승현 ; 이미화 ; 오세홍, "한국 지역대학 혁신정책의 주제 변화 분석과 지역대학 역할 기능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학회 29 (29): 31-56, 2021
8 신동호, "테크노폴의 성장과 지역혁신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의 대덕연구개발특구와 독일의 도르트문트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접근" 국토연구원 104 : 79-97, 2020
9 조승철, "출연(연)지역조직의 효율화 및 지역과의 전략적 연계 방안 연구" 날리지웍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0
10 정대현, "지역혁신 체계 분석 및 출연(연)기여 전략 연구 – 강원지역" 강원연구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19
1 황두희 ; 정영철 ; 정선양, "혁신클러스터의 진화 :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21 (21): 1207-1236, 2018
2 성을현 ; 염명배 ; 이종효, "혁신클러스터에서 혁신주체에 대한 기업의 신뢰가 클러스터몰입과 기업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덕연구개발특구 중심"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8 (18): 77-103, 2015
3 박후근 ; 배관표,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요인에 대한 정책공급자와 수요자의 인식차이 분석: 대덕연구개발특구 사례에 대한 AHP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6 (16): 105-119, 2021
4 임덕순, "혁신클러스터 연구 및 정책분야에 관한 연구" 9 (9): 98-110, 2019
5 이선제 ; 정선양, "혁신클러스터 내에서의 혁신주체들간 상호작용의 변화: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17 (17): 820-844, 2014
6 이장재, "한국형 국가기술혁신체계 진단 및 구축방안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
7 안지혜 ; 이승현 ; 이미화 ; 오세홍, "한국 지역대학 혁신정책의 주제 변화 분석과 지역대학 역할 기능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학회 29 (29): 31-56, 2021
8 신동호, "테크노폴의 성장과 지역혁신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의 대덕연구개발특구와 독일의 도르트문트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접근" 국토연구원 104 : 79-97, 2020
9 조승철, "출연(연)지역조직의 효율화 및 지역과의 전략적 연계 방안 연구" 날리지웍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0
10 정대현, "지역혁신 체계 분석 및 출연(연)기여 전략 연구 – 강원지역" 강원연구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19
11 이지훈, "지역혁신 체계 분석 및 출연(연) 기여 전략 연구– 전북지역" 전북연구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0
12 고영주, "지역주도 포용적 혁신성장을 위한 출연(연)지역조직 발전 방안"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19
13 임종빈 ; 김학균 ; 정승용, "지역의 혁신클러스터 정책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혁신클러스터학회 11 (11): 41-59, 2021
14 황혜란, "지역기반 과학기반기업의 기술혁신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4 (4): 179-202, 2009
15 홍재근 ; 정선양, "지역 연구 공용장비 운영체계 개선을 위한 특성 분류 연구: 경기도 지역에 대한 탐색적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14 (14): 833-859, 2011
16 김진우 ; 정유한 ; 최재경 ; 정진용, "정부 출연연구기관의 지역조직 운영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카노모형을 활용한 연구개발서비스품질 향상 관점에서" 한국기술혁신학회 20 (20): 406-429, 2017
17 진성만, "연구회 소관연구기관 본원 외 조직 설치·운영 개선 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2
18 임진호, "연구소기업의 혁신과 성장에 관한 연구 : 전북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2 : 267-311, 2020
19 최종인 ; 홍길표 ; 장승권 ; 배용국, "연구소 기업의 기술사업화: 한국원자력연구원의 헤모힘을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7 (7): 129-140, 2012
20 심동녘 ; 오승환, "연구개발특구가 입주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혁신학회 13 (13): 169-192, 2018
21 임진호, "연구개발특구 연구소기업 설립 활성화를 위한 기술이전․기술사업화 정책요인에 관한 연구 - 전북지역 정부 출연(연) 공공기술 활용을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33 (33): 179-198, 2019
22 송위진 ; 성지은, "시스템 전환론에 입각한 지역혁신론의 탐색 : 개념화와 적용" 한국기술혁신학회 22 (22): 1004-1029, 2019
23 최영훈 ; 백종윤, "대학의 인력양성 및 연구개발이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과학기술분야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6 (26): 53-73, 2012
24 김상광,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시스템 지체분석에 따른 국가혁신체제와 지역혁신체제의 융합방안 연구" 3 (3): 127-157, 2020
25 황혜란 ; 정재용,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시스템 전환 가능성에 관한 연구" 비판사회학회 (104) : 300-334, 2014
26 황경연 ; 성을현, "대덕연구개발특구 정부출연연연구기관 연구자의 산연협력 혁신성과 결정요인 분석: 퍼지집합 질적 비교분석 접근" 한국융합학회 12 (12): 221-233, 2021
27 최인호, "대덕연구개발특구 관련 법제에 대한 공법적 고찰- 특구와 지역의 상생발전방안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0 (30): 11-54, 2019
28 김명진 ; 이지훈, "기초지자체 과학기술역량분석의 지도화를 통한 정책적 해결방안: 경기도 G-COSTII지표를 중심으로" 한국지도학회 15 (15): 69-83, 2015
29 황경연 ; 성을현, "기술의 특성, 기술사업화성과 및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 대덕연구개발특구 정부출연 연구기관에서 이전된 기술을 중심으로-" 한국생산성학회 28 (28): 25-49, 2014
30 김찬규, "과학기술분야 출연(연)지역조직 성과평가체계 고도화를 위한 정책연구" 이지엠티엔씨,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19
31 고명철, "과학기술분야 출연(연)지역조직 국가 및 지역혁신 기여 방안" 한국정책학회,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16
32 Charles, D., "Universities as Key Knowledge Infrastructures in Regional Innovation Systems" 19 (19): 117-130, 2006
33 Cooke, P., "Regional innovation systems, clusters, and the knowledge economy" 10 (10): 945-974, 2001
34 Porter, P., "Regional Innovation System" 2-25, 1998
35 신진교 ; 조정일, "R&D 혁신역량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 : 대구지역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 비교분석" 대한경영정보학회 30 (30): 211-235, 2011
36 안지혜, "2020년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평가와 시사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
혁신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산학연협력모델 제안 연구: 대전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연구개발특구 관련 국내 주요 정책과 연구경향의 비교분석에 대한 탐색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