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반응으로 생성된 탄산칼슘을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주입장비와 유사하게 제작하여 모래지반 에 주입함으로 지반조건에 따른 주입범위 및 주입효과를 확인하고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06310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276-4283(8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반응으로 생성된 탄산칼슘을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주입장비와 유사하게 제작하여 모래지반 에 주입함으로 지반조건에 따른 주입범위 및 주입효과를 확인하고자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반응으로 생성된 탄산칼슘을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주입장비와 유사하게 제작하여 모래지반 에 주입함으로 지반조건에 따른 주입범위 및 주입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종류의 단층토(SP, SW)를 D 150mm X H 300mm의 모형토조에 상대다짐도 80, 85, 90, 95%로 제작하여 주입실험을 수행하였다. 주입 후 강도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일축압축강도를 측정하였고, 주입노즐 주변의 구근형성을 통해 주입범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SW시료는 상대다짐도 85% 이상에서 주입률이 10% 이하로 나타났으며, 지반의 상대다짐도에 따라 Bio-grouting의 주입률 및 고결범위 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injection with soil conditions by injecting CaCO₃(created by microorganism reaction), which was recreated with equipment in similar situ condition. To analyze our research, we made 2 c...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injection with soil conditions by injecting CaCO₃(created by microorganism reaction), which was recreated with equipment in similar situ condition. To analyze our research, we made 2 cases of single-layer (SP, SW) in D 150mm X H 300mm. Layers were made by RC 70, 80, 85, 90, 95% of soil condition. We measured uniaxial compression strength with cone penetrometer and watched injection range by checking a bulb formation around the injection nozzle. As a result, the relative compaction(RC) in more 85% were not injected in SW, we could identify the effect of bio-grouting technology on ground in relative compaction(RC) of injection ratio and cementation rang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대현, "친환경 바이오그라우팅을 이용한 모래지반 개량 공법" 한국철도학회 16 (16): 473-481, 2013
2 김대현, "미생물 처리 방법이 바이오그라우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반환경공학회 13 (13): 51-57, 2012
3 L. A. Paassen, "Scale Up of Biogrout" 2328-, 2009
4 V. S. Whiffin, "Microbial Carbonate Precipitation as a Soil Improvement Technique" 24 : 1-7, 2007
5 D. H. Kim, "Injection Effect of Bio-Grout Soft Ground" 19 : 468-472, 2013
6 Ng Wei Soon, "Improvements in Engineering Properties of Soils through Microbial-Induced Calcite Precipitation" 대한토목학회 17 (17): 718-728, 2013
7 D. H. Kim, "Effects of Ground Conditions on Microbial Cementation in Soils" 7 : 14-156, 2014
8 S. J. Jeon, "Effectiveness of Strength of Soil Created with Microbial Reaction" Chosun University 2013
9 K. H. Park, "Effect of Strength Enhancement of Soil Treated with Environment-Friendly Calcium Carbonate Powder" 2014 : 1-11, 2014
10 J. K. Mitchell, "Biological Consideration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131 (131): 1222-1233, 2005
1 김대현, "친환경 바이오그라우팅을 이용한 모래지반 개량 공법" 한국철도학회 16 (16): 473-481, 2013
2 김대현, "미생물 처리 방법이 바이오그라우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반환경공학회 13 (13): 51-57, 2012
3 L. A. Paassen, "Scale Up of Biogrout" 2328-, 2009
4 V. S. Whiffin, "Microbial Carbonate Precipitation as a Soil Improvement Technique" 24 : 1-7, 2007
5 D. H. Kim, "Injection Effect of Bio-Grout Soft Ground" 19 : 468-472, 2013
6 Ng Wei Soon, "Improvements in Engineering Properties of Soils through Microbial-Induced Calcite Precipitation" 대한토목학회 17 (17): 718-728, 2013
7 D. H. Kim, "Effects of Ground Conditions on Microbial Cementation in Soils" 7 : 14-156, 2014
8 S. J. Jeon, "Effectiveness of Strength of Soil Created with Microbial Reaction" Chosun University 2013
9 K. H. Park, "Effect of Strength Enhancement of Soil Treated with Environment-Friendly Calcium Carbonate Powder" 2014 : 1-11, 2014
10 J. K. Mitchell, "Biological Consideration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131 (131): 1222-1233, 2005
11 J. T. Dejon, "Bio-medium Soil Improvement" 36 : 197-210, 2010
12 박경호, "Bacteria를 이용한 실트와 모래의 고결화에 따른 탄산칼슘 확인" 한국지반공학회 28 (28): 53-61, 2012
13 박경호, "Bacteria로 처리된 모래지반의 강도 및 주입효과" 한국지반공학회 29 (29): 65-73, 2013
14 Daehyeon Kim, "A Novel Approach to Induce Cementation of Loose Soils" American Scientific Publishers 9 (9): 545-550, 2012
청각 및 후각자극에 의한 뇌파(EEG)와 진동이미지기술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7-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 ![]() |
2017-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8-28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7-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1 | 0.842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