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담수련과정에서 상담자들의 교육분석 경험에 대한 변화과정 =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cess of counselors’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618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counselors’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As for this, in-depth interview aimed at 8 present counsellors, who have licenses related to counseling and experiences of educational analysis of more tha...

      This study is about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counselors’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As for this, in-depth interview aimed at 8 present counsellors, who have licenses related to counseling and experiences of educational analysis of more than 10 times, was implemen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Strauss and Corbin’s(1988/2003) ground theory approach. As a result, 72 concepts, 23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were derived. The central phenomenon in the process of counselors’ educational analysis turned out to be ‘confused and struggled.’ Causal condition were ‘awkwardness in the relationship with an analyst’ and ‘recognition of problem which they have avoided and suppressed’, the context condition was ‘the necessity of personal and professional changes.’ For this, ‘consolation and support from the analyst’, ‘analyst’s expertise’ turned out be the intervening condition and ‘resistance', 'rely on religion', ’dealing with problems except on the time of education analysis’, 'dealing with problems during the education analysis time’ appeared to be action and interaction response. The consequence revealed ‘the perspective changes of seeing themselves,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being a professional counselor, educational analysis itself’. The results included the process of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nd the core category by selective coding was ‘a process of growing as an expertise through making the new relationships with their analyst by overcoming their confusion and struggle.’ Process analysis related to the core phenomena were four stages: phase of confusing, phase of resistance, phase of new experiences again, phase of changing and grow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related follow-up research proposals have been presen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수련과정에서 상담자들의 교육분석 경험에 대한 변화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상담수련과정에 있으며 상담관련 자격증을 소지하고 교육분...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수련과정에서 상담자들의 교육분석 경험에 대한 변화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상담수련과정에 있으며 상담관련 자격증을 소지하고 교육분석 경험이 10회 이상인 상담자 8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Strauss와 Corbin(1998/2003)이 제시한 근거이론 접근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72개의 개념과 23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상담자들의 교육분석 경험에 대한 중심현상은 ‘혼란스럽고 힘겨움’으로 나타났다. 인과적 조건으로는 ‘억압하고 회피했던 문제의 자각’과 ‘분석가와의 관계가 불편함’이었으며, ‘개인적⋅전문적 변화의 필요성’이 맥락적 조건으로 작용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가의 위로와 지지’, ‘분석가의 전문성’이 중재적 조건으로 ‘저항하기’, ‘종교에 의지하기’, ‘교육분석 시간 외에 문제다루기’, ‘교육분석 시간 중에 문제다루기’가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개인내적 변화, 타인관계의 변화, 상담전문가로서의 변화, 교육분석에 대한 관점의 확장’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과정분석을 포함하였으며, 선택코딩에 의한 핵심 범주는 ‘혼란스럽고 힘겨운 분석과정에서 분석가와의 새로운 관계경험을 통해 힘겨움을 이겨내고 전문상담자로서 성장해 나감’으로 도출되었다. 중심현상과 관련된 과정 단계는 혼란의 단계, 저항단계, 재경험단계, 수용단계 등 4단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상담자들의 교육분석 경험에 대한 변화과정의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일, "학교상담컨설테이션" 학지사 2008

      2 Yalom, I. D., "치료의 선물" 시그마프레스 2005

      3 이은진, "초심상담자의 자기문제 이해 및 극복과정" 한국상담학회 16 (16): 1-24, 2015

      4 김수만, "초보상담자의 원가족 경험의 자기자각에 따른 상담성과의 차이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09

      5 최신영, "초보상담자의 어려움과 작업동맹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4

      6 이은진,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을 통한 변화과정 : 근거이론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7 박진희, "수퍼바이지의 성인애착이 놀이치료 수퍼비전 과정에서 자기개방에 미치는 영향:작업동맹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2 (12): 129-142, 2011

      8 박성희, "상담효과를 가져오는 상담 관계의 특성" 14 (14): 167-180, 2000

      9 황채운, "상담전공 대학원 석사과정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1359-1382, 2009

      10 김창대, "상담전공 내담자가 지각한 효과적인 상담자 요인" 한국상담학회 10 (10): 83-107, 2009

      1 김동일, "학교상담컨설테이션" 학지사 2008

      2 Yalom, I. D., "치료의 선물" 시그마프레스 2005

      3 이은진, "초심상담자의 자기문제 이해 및 극복과정" 한국상담학회 16 (16): 1-24, 2015

      4 김수만, "초보상담자의 원가족 경험의 자기자각에 따른 상담성과의 차이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09

      5 최신영, "초보상담자의 어려움과 작업동맹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4

      6 이은진,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을 통한 변화과정 : 근거이론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7 박진희, "수퍼바이지의 성인애착이 놀이치료 수퍼비전 과정에서 자기개방에 미치는 영향:작업동맹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2 (12): 129-142, 2011

      8 박성희, "상담효과를 가져오는 상담 관계의 특성" 14 (14): 167-180, 2000

      9 황채운, "상담전공 대학원 석사과정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1359-1382, 2009

      10 김창대, "상담전공 내담자가 지각한 효과적인 상담자 요인" 한국상담학회 10 (10): 83-107, 2009

      11 심흥섭, "상담자의 교육분석" 12 : 59-63, 1991

      12 강나리, "상담자의 교육 분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전북대학교 2015

      13 임고운, "상담자 발달수준 및 역전이 활용과 상담성과" 한국상담학회 9 (9): 987-1006, 2008

      14 이상리, "상담자 발달과 원가족 경험, 자기자각,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 아주대학교 2015

      15 유성경, "상담자 교육분석 경험 및 태도 분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8 (18): 17-35, 2010

      16 최해림, "상담자 교육과 수퍼비전의 현재" 17 : 1-18, 1999

      17 Gilbert, M., "상담심리치료 수퍼비전" 학지사 2005

      18 Strauss, A., "근거이론의 단계" 현문사 2003

      19 김민정, "교육수준, 실무, 수퍼비전 경험과 교육 분석 경험에 따른 상담자 발달수준 비교연구" 한국상담학회 16 (16): 67-84, 2015

      20 유성경, "교육분석가(상담자의 상담자)의 특성과 선택" 한국상담학회 11 (11): 1411-1431, 2010

      21 이문희, "교육분석 효과척도 개발 타당화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 (20): 315-333, 2012

      22 유성경, "교육분석 효과척도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한 예비연구"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1 (31): 193-209, 2010

      23 이원재, "개인 상담을 통한 상담자의 인간적 자질 변화에 대한 연구 : 질적분석" 가톨릭대학교 2016

      24 Wheeler, S., "What shall we do with the wounded healer? The supervisor's dilemma" 13 (13): 245-256, 2007

      25 Olinsky, D. E., "Toward an empirically grounded model of psychotherapy training: Four thousand therapists rate influences on their development" 36 : 1-10, 2001

      26 Linley, P. A., "Therapy work and therapists' positive and negative well-being" 26 : 385-403, 2007

      27 Pope, K. S., "Therapists as patients : a national survey of psychologists'experiences, Problems, and beliefs" 25 : 247-258, 1994

      28 Skovholt, T. M.,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70 (70): 505-515, 1992

      29 Habl, S., "The role of personal therapy in psychiatric residency training : a survey of psychiatry training directors" 34 (34): 21-26, 2010

      30 Taubner, S., "The relationship of introject affiliation and personal therapy to trainee self-efficacy : a longitudinal study among psychotherapy trainees" 50 (50): 167-177, 2013

      31 Norcross, J. C., "The psychotherapists' own psychotherapy : educating and developing psychologists" 60 : 840-850, 2005

      32 Norcross, J. C., "The psychotherapist's own psychotherapy: Patient and clinician perspectiv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213, 2005

      33 Norcross, J. C., "The psychotherapist's own psychotherapy" Oxford University Press 165-176, 2005

      34 Orlinsky, D. E., "The psychotherapist's own psychotherapy" Oxford University Press 177-191, 2005

      35 Norcross, J. C., "The processes and outcomes of psychotherapists' personal treatment experiences" 25 (25): 36-43, 1988

      36 Henry, W. E, "The fifth profession; Becoming a psychotherapists" Jossey-Bass 1971

      37 Diener, E., "The experience of emotional well-being" Guilford Press 1993

      38 Skovholt, T. M., "The evolving professional self: Stages and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John Wiley & Sons 1995

      39 Lyn, S. C., "The effect of specific versus generalized supervisory feedback on counseling self-efficacy of counselor-in-training" The University of Tennessee 2005

      40 Glaser, B. G.,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Aldine 1967

      41 Ryan, R. M., "Self-dete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55 : 68-78, 2000

      42 Wimberly, E. P., "Recalling our own stories: Spiritual renewal for religious caregivers" Jossey-Bass Publishers 1997

      43 Holloway, I., "Qualitative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care" Blackwell Publishing 2012

      44 Bae, S. H., "Psychotherapists in South Korea: professional and practice characteristics" 40 (40): 302-316, 2003

      45 Bike, D. H., "Processes and outcome of psychotherapists' personal therapy: replication and extension 20 years later" 46 (46): 19-31, 2009

      46 Boylan, J. C., "Practicum internship: Textbook and resource guide fo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Routledge 2009

      47 Hayes, J. A., "Playing with fire : Counter transference and clinical epistemology" 32 (32): 93-100, 2002

      48 Rizp, R., "Personal therapy in psychotherapeutic training : current research and future directions" 41 : 175-185, 2011

      49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tage Pulications 1985

      50 Macran, S., "How does personal therapy affect therapists' practice?" 46 : 419-431, 1999

      51 Grimmer, A., "Counselling psychologists' perceptions of the impact of mandatory personal therapy on professional development-an exploratory study" 14 (14): 287-301, 2001

      52 Norcross, J. C., "British clinical psychologists and personal therapy: III. what's good for the goose?" 44 : 29-33, 1992

      53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s 1998

      54 Murphy, D., "A qualitative study into the experience of mandatory personal therapy during training" 5 (5): 27-32,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