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 본 안데스 파타고니아와 아타카마의 지형경관 = Morphological Landscape of Patagonia and Atacama in the Andes based on Geotour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885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2012년 11월 14일부터 25일까지 10일간 남미대륙의 파타고니아와 아타카마 지역을 중심으로 한 안데스 산지를 답사한 후 그곳에서 관찰된 지형경관에 대해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 고찰...

      본고는 2012년 11월 14일부터 25일까지 10일간 남미대륙의 파타고니아와 아타카마 지역을 중심으로 한 안데스 산지를 답사한 후 그곳에서 관찰된 지형경관에 대해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파타고니아 지형경관은 칠레의 토레스델파이네 국립공원과 아르헨티나의 로스 빙하국립공원에서, 그리고 아타카마 지형경관은 칠레의 산페드로데아타카마를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파타고니아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융기율을 나타내고 있는 곳 중의 한 곳으로 위의 두 개 국립공원에는 반건조지형과 융기지형 그리고 빙식지형이 매우 잘 발달되어 있다. 특히, 파이네와 피츠로이 암봉군은 관입에 의한 화강암 빙식지형의 백미를 보여주고 있어 두 곳 모두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록된 곳이기도 하다. 한편, 아타카마 사막은 악지와 염호, 간헐천 등 사막과 화산경관이 공존해 있는 독특한 지형경관이 발달된 곳이다. 그 이유는 아타카마 사막이 산페드로데아타카마 동쪽의 화산호(弧)와 해성층의 융기로 형성된 대륙붕단 사이의 전호분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응결응회암 완사면, 선상지면 등으로 형성된 페디플레인이 곳곳의 페디멘트와 어우러져 건조지형의 전형을 잘 나타내 주고 있기도 하다. 파타고니아와 아타카마는 남미판과 태평양판의 충돌로 인해 형성된 안데스 산지가 만든 매우 다양한 지형경관이 발달된 최적의 지리여행지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was made on the basis of geotourism to expla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tagonia and Atacama region in the Andes through 10-day fieldwork. The Patagonian landscape was focused on the Torres del Paine National Park, Chile and the Lo...

      This paper was made on the basis of geotourism to expla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tagonia and Atacama region in the Andes through 10-day fieldwork. The Patagonian landscape was focused on the Torres del Paine National Park, Chile and the Los Glacier National Park, Argentina; on the other hand, the Atacama morphological landscape was investigated around the San Pedro de Atacama. Many geo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uplift, semiarid and glacier landscapes can be found in Patagonia, so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have an opportunity to enjoy these landforms by geotourism. Massive intrusive rock bodies of granite can be shown in those two National Parks declared a Biosphere Reserve by UNESCO. And, the Atacama Desert located on the forearc depression in the Andes, Chile has also many geomorphological destinations of arid and volcanic landforms; badland, pediplain, pediment, salt lake and geyser. Especially, huge pediplain is one of the greatest view points in the Atacama Desert. Patagonia and Atacama are the best geographical tourism sites to know diverse tectonic landforms made by the conflict between South American and Pacific plat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콩기상대"

      2 박종관, "한국지리여행"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2

      3 전영권, "한국의 지오투어리즘" 한국지형학회 17 (17): 53-69, 2010

      4 정강환, "지질관광대상지 활성화를 위한 관광객 시장분석과 관광 프로그램 및 이벤트 개발에 관한 연구" 24 : 281-296, 2000

      5 "지오투어리즘포털"

      6 정필모, "지오투어리즘(Geo-tourism)을 위한 주왕산국립공원의 자연관찰로 분석" 한국지형학회 17 (17): 77-86, 2010

      7 권동희,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 본 일본 산인해안(山陰海岸) 지오파크" 한국지형학회 20 (20): 103-116, 2013

      8 "유엔환경계획"

      9 "유네스코"

      10 "아르젠여행"

      1 "홍콩기상대"

      2 박종관, "한국지리여행"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2

      3 전영권, "한국의 지오투어리즘" 한국지형학회 17 (17): 53-69, 2010

      4 정강환, "지질관광대상지 활성화를 위한 관광객 시장분석과 관광 프로그램 및 이벤트 개발에 관한 연구" 24 : 281-296, 2000

      5 "지오투어리즘포털"

      6 정필모, "지오투어리즘(Geo-tourism)을 위한 주왕산국립공원의 자연관찰로 분석" 한국지형학회 17 (17): 77-86, 2010

      7 권동희,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 본 일본 산인해안(山陰海岸) 지오파크" 한국지형학회 20 (20): 103-116, 2013

      8 "유엔환경계획"

      9 "유네스코"

      10 "아르젠여행"

      11 박종관, "박종관 교수의 LET’S GO 지리여행" 지오북 2005

      12 "론뉘렌베르그"

      13 "데빌화인더이미지"

      14 "노르웨이기상연구소"

      15 "구글지도"

      16 박경, "강원도 양구, 화천 일원의 분지 지형과 지오투어리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 19 (19): 97-108, 2012

      17 Kathryn M, "Uplift history of the central and northern Andes: A review" 112 : 1091-1105, 2000

      18 Fernandez J.L, "The hot spring and geyser sinters of El Tatio, Northern Chile" 180 (180): 125-147, 2005

      19 Glennon J.A, "The extraordinary thermal activity of El Tatio geyser field, Antofagasta region, Chile" The GOSA Transactions 31-78, 2003

      20 Paruelo J. M, "The climate of Patagonia: general patterns and controls on biotic processes" 8 : 85-101, 1998

      21 Ramos V.A, "The birth of southern South America" 77 : 444-450, 1989

      22 Moreno T, "The Geology of Chile" The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2007

      23 Cordani, U, "Tectonic evolution of South America" 2000

      24 Carmala N. G, "Rise of the Andes" 320 : 1304-1307, 2008

      25 Vincent R, "Renewed uplift of the Central Andes Forearc revealed by coastal evolution during the Quaternary"

      26 Dietrich, R, "Rapid crustal uplift in Patagonia due to enhanced ice loss" 289 (289): 22-29, 2009

      27 Pankhurst R. J, "Mesozoic-Cenozoic evolution of the North Patagonian Batholith in Aysen, southern Chile" 156 (156): 673-694, 1999

      28 Adrian J.H, "Late Pliocene age for the Atacama Desert: Implications for the desertification of western South America" 30 (30): 43-46, 2002

      29 Rodrigo R, "Late Cenozoic geomorphological signal of Andean forearc deformation and tilting associated with the uplift and climate changes of the Southern Atacama Desert(26°S-28°S)" 86 (86): 283-306, 2007

      30 Stuefer M, "Investigations on mass balance and dynamics of Moreno glacier based on field measurements and satellite imagery, Dissertation zur Erlangung des akademischen Grades eines Doktors der Naturwissenschaften an der Leopold-Franzens-Universitat Innsbruck" 166-, 1999

      31 Ota Y, "Fast Holocene uplift rates at the Andes of Chiloe, southern Chile" 20 (20): 15-23, 1993

      32 Lee B, "Chemical and physical weathering in south Patagonian rivers: A combined Sr-U-Be isotope approach" 101 : 173-190, 2013

      33 Adrian J.H, "150 million years of climatic stability: evidence from the Atacama Desert, northern Chile" 162 : 421-424,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71 0.769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