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滄洲 李昌鎭의 생애와 우언작품 연구 = A Study of Changjin Lee, the Pseudonym of Changju's Biography and His Allegorical Wo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303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滄洲 李昌鎭(1619~1684)의 생애와 우언작품을 살펴보았다. 창주 집안은 조부 李鄧林(1535~1594)과 아버지 浣亭 李彦英(1568~1639)이 寒岡 鄭逑(1543~1620)의 문인이 되면서 영남학파의 일원으로 ...

      본고는 滄洲 李昌鎭(1619~1684)의 생애와 우언작품을 살펴보았다. 창주 집안은 조부 李鄧林(1535~1594)과 아버지 浣亭 李彦英(1568~1639)이 寒岡 鄭逑(1543~1620)의 문인이 되면서 영남학파의 일원으로 성장하여 퇴계학문의 자장권에 있으면서 문학적 가풍을 형성하였다. 창주는 특별한 스승 없이 아버지 이언영에게 수학했고, 32세 때 과거시험을 포기하고 고향으로 돌아온 뒤로 평생 浣石亭에서 독서하며 지낸 처사형 인물이다. 교유한 인물은 조부와 아버지가 모두 한강의 문인이었던 만큼 주로 한강계열의 문인과 근기남인들이다. 蠹窩 崔興璧(1739~1812)은 창주 산문에 대해 '敍述과 比興이 잘 갖추어져 있고, 세상에 경각심을 일으키고 풍속을 후하게 할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 그는 관념적인 이기론과 번쇄한 예설에 치중했던 당대 영남남인들에 비해 비교적 문학적 취향이 높았는데, 바로 이런 성향이 우언작품을 지을 수 있었던 토대가 되었을 것이다. 창주의 우언작품은 <放啄木鳥說>과 <逐冷虎文>이다. <방탁목조설>은 滄洲子라는 가상의 인물과 啄木鳥라는 새가 논쟁을 벌이는 허구적 상황에 가탁하여 부조리한 현실을 우회적으로 풍간하였고, <축냉호문>은 창주자와 '冷虎'라는 호랑이가 논쟁을 벌이는 허구적 상황에 가탁하여 자신의 지조 있는 삶을 해학적으로 표현하면서 부조리한 현실 세태를 은근히 비판하였다. 특히 <축냉호문>은 악행을 저지르는 위정자의 내면 심리ㆍ권력ㆍ부의 무상함에 천착하여 은유적인 방법으로 현실을 비판함으로써 좀 더 세련된 현실비판 의식을 보여준다. 창주의 우언작품은 지조 있는 삶에 대한 자신의 높은 자부심과 부조리한 현실을 비판하려는 뚜렷한 목적의식 아래 문답이라는 중요한 허구적 장치를 활용하면서 창주자, 탁목조, 냉호를 등장시켜 그들의 입에 가탁하여 의론을 전개하는 전형적인 우언작품이다. 그의 우언작품 속에는 창주 산문의 특징인 敍述과 比興이 내포되어 있다. 시인의 뜻과 정서를 직설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다른 사물을 빗대어 표현하는 비흥의 작법은 우언의 특징인 직설적으로 말하지 않고 '다른 것[外]'에 빗대어서 말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시 창작의 표현 방법인 비흥을 산문적 서술 방법으로 활용한 것이다. 서술적 특징은 역사적 실존 인물의 특징과 행위를 간명하면서도 엄정하게 敍述하되 단순 반복적 나열에서 오는 지루함을 피하기 위해 그 속에 작은 변화를 주었다. 창주의 생애와 우언작품을 이해하는 것은 손자인 洛渚 李柱天(1662 ~1711)의 <詞場白戰誌>와 같은 우언소설의 형성배경을 연구하는 데 일정한 의의가 있고, 무엇보다 영남학파의 우언작품 발굴 및 연구에 일정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tudied Changjin Lee (1619~1684), the Pseudonym of Changju's biography and his allegorical Works. Changju's family belonged to the academic group of Hangang, forming a literary tradition. Without being taught by specific masters, he was edu...

      This study studied Changjin Lee (1619~1684), the Pseudonym of Changju's biography and his allegorical Works. Changju's family belonged to the academic group of Hangang, forming a literary tradition. Without being taught by specific masters, he was educated by his own father, Eonyeong Lee. At the age of thirty two, he gave up applying for the national examination, Gwageo, and for the rest of his life he was completely satisfied with studying at his private residence, Wanseokjeong without getting any official positions. He associated with literary men belonging to the Hangang group and those of the Namin group in the area neighboring the capital, Hanyang. Heungbyeok Choi reviewed Changju's proses as follows: Changju's writings were well narrated with such appropriate figures of speech that they could lead people to an awakening, helping to form generous habits. Changju had a relatively elegant taste for literature, which was the basis on which he could write such allegorical works as Bangtakmokjoseol (A Tale of a Woodpecker Liberated ) and Chuknaenghomun (A Story of a Harsh Tiger Expelled ). The first tale satirized absurd reality and exhorted people by using a fictional situation in which Changjuja (a fictionalized figure) and Takmokjo (a woodpecker) had an argument. The second story humorously expressed the author's unyielding life and criticized absurd reality by using a fictional situation with an argument between Changjuja and Naengho (a harsh tiger). Particularly Chuknaenghomun (A Story of a Harsh Tiger Expelled ) dug into the internal psychology of vicious politicians and the meaninglessness of power and wealth, and metaphorically criticized that reality, showing his more sophisticated sense of criticism. His allegorical works showed his great pride in his unyielding life and the clear purpose of criticizing absurd reality. Using a fictional method of question and answer, these works had three characters such as Changjuja, Takmokjo, and Naengho develop an argument, showing their allegorical characteristics. Allegorical works include 'narration' and 'figurative speech', which were characteristics of Changju's writings. When writers do not express their intention and emotion directly but do so indirectly, they use figurative speech. This figurative speech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metaphorical method of allegorical works. The allegorical works by Changju described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of historical people concisely and impartially, and at the same time he tried small changes in narration to avoid simple repeated description. An understanding of Changju's life and allegorical works is important because it can help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forming allegorical works like Sajangbaekjeonji (Journals of Various Battles ), which was an allegorical work by Jucheon Lee, a grandson of Changjin Lee. The meaning of studying Changju's life and allegorical works also lies with the fact that it is part of discovering and studying allegorical works by those belonging to the Yeongnam academic grou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학문 배경과 가학
      • 3. 滄洲 李昌鎭의 생애와 문학적 취향
      • 4. 우언작품의 주제와 서술적 특징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학문 배경과 가학
      • 3. 滄洲 李昌鎭의 생애와 문학적 취향
      • 4. 우언작품의 주제와 서술적 특징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주필, "한국 우언산문 선집 1・2" 도서출판 박이정 2008

      2 "퇴계학자료총서"

      3 이성무, "조선시대당쟁사 1" (주)동방미디어북스 2000

      4 이종호, "조선 후기 영남남인의 문학관 연구-갈암(葛庵)학파의 문학관을 중심으로-" 퇴계학연구원 103 : 1999

      5 김윤수, "인산학 2집" (사)인산학연구원 2004

      6 양승민, "우언의 서사문법과 담론양상" 學古房 2008

      7 김영, "우언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4

      8 이수건, "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일조각 1995

      9 권진호, "영남문인의 문학적 경향-퇴계학자료총서 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17 : 2008

      10 윤승준, "訥隱 李光庭의 우언 창작 방식 ―『亡羊錄』 소재 창작우언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67) : 217-247, 2009

      1 윤주필, "한국 우언산문 선집 1・2" 도서출판 박이정 2008

      2 "퇴계학자료총서"

      3 이성무, "조선시대당쟁사 1" (주)동방미디어북스 2000

      4 이종호, "조선 후기 영남남인의 문학관 연구-갈암(葛庵)학파의 문학관을 중심으로-" 퇴계학연구원 103 : 1999

      5 김윤수, "인산학 2집" (사)인산학연구원 2004

      6 양승민, "우언의 서사문법과 담론양상" 學古房 2008

      7 김영, "우언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4

      8 이수건, "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일조각 1995

      9 권진호, "영남문인의 문학적 경향-퇴계학자료총서 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17 : 2008

      10 윤승준, "訥隱 李光庭의 우언 창작 방식 ―『亡羊錄』 소재 창작우언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67) : 217-247, 2009

      11 莊周, "莊子"

      12 허권수, "碧珍李氏 麗隱亭派 密陽 來進家門의 人物과" 남명학연구소 2014

      13 李昌鎭, "滄洲集"

      14 李彥英, "浣亭集" 한국고전번역원

      15 홍현성, "<詞場白戰誌> 硏究" 한국고소설학회 (25) : 151-179,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Http://Www.Daedonghanmunhak.Co.Kr -> http://www.daedonghanmun.or.kr/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1 1.49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