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자원은 모든 자원의 본원적인 요소이며 살아있는 자원으로 잠재력이 무한하다. 그리고 조직의 성과와도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전략적 자원의 가치성을 지니고 있다. 오늘날 행동과학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자원은 모든 자원의 본원적인 요소이며 살아있는 자원으로 잠재력이 무한하다. 그리고 조직의 성과와도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전략적 자원의 가치성을 지니고 있다. 오늘날 행동과학적 ...
인간자원은 모든 자원의 본원적인 요소이며 살아있는 자원으로 잠재력이 무한하다. 그리고 조직의 성과와도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전략적 자원의 가치성을 지니고 있다. 오늘날 행동과학적 관점에서 인간자원론이 모든 조직의 연구대상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도 인간자원에 대한 높은 관심과 가치성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학교조직은 일반조직과는 달리 교육의 특수성과 관련하여 인간자원의 전문지향성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는 장학활동의 핵심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인간자원의 작용은 인간의 무한한 잠재력과 역동성·책임감, 그리고 전문적 성장이라는 인간자원론적 인간성의 가정과 인성 및 욕구의 인간적 속성, 감정의 질, 그리고 공유된 지각적 능력 등의 인간자원론적 행동의 발원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학교조직의 인간자원에 대한 장학은 장학의 주요변인인 투입변인·과정변인·산출변인 등으로 연결되는 일련의 인간자원론적 체제성을 유지·발전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여기서 특히 인간자원론적 측면에서 강조되어야 할 것은 종전의 투입변인에선 산출변인이라는 획일적 관념의 배제와 과정변인으로서의 매개적 역할변인의 가치성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학교조직에서의 인간자원에 대한 장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학교 장학담당자의 효과적인 장학기술이 요구된다 할 수 있는데, 이는 앞에서도 강조된 바 있는 인간자원론적 인간성의 가정과 장학적 과정변인의 촉진 및 변화기술, 그리고 최종적으로 요구되는 학교조직목표와 개인목표간의 조화기술이라 하겠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의 논의된 내용을 인간자원론적 인간자원장학의 수행이라는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몇 가지 제시해 보고자 한다.
첫째, 학교 장학담당자는 주도변인의 조성자로서 뚜렷한 장학적 신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즉, 학교 장학담당자는 인간의 역동성·책임감·잠재력을 인정하는 발달적 인간성에 대한 신념을 지녀야 한다.
둘째, 학교 장학담당자는 주도변인의 투입자로서 실천기능을 가져야 한다. 즉, 학교 장학담당자는 학교조직의 특성을 이해하고 과업을 조절·지원·관리하며, 교사의 잠재력을 개발·활용할 수 있는 실천기능의 지도성이 요구된다.
셋째, 교사는 매개변인의 주체자로서 학교조직의 과업에 적극적인 참여와 상호작용을 해야 한다. 즉, 교사는 학교 장학담당자의 투입변인을 합리적으로 수용하고 조직과업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학교조직에 대한 충성심과 직무만족감을 나타내야 한다.
넷째, 학교 장학담당자와 교사는 주도변인과 매개변인의 주체로서 효과변인의 산출을 위한 공유된 관계성을 유지해야 한다. 즉, 학교 장학담당자와 교사의 개인적 관점에서 보면 개인이 지니고 있는 독특한 개성과 재능, 그리고 개인의 과업속에서 인간적인 힘을 완전히 개발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추구해야 한다. 그리고 학교 장학담당자와 교사의 공유된 상황적 관점에서 보면, 발전적 관심이 상호전달 되고 개인목표와 학교조직목표의 조화를 통한 효과성 증진에도 공유된 노력의 관계성을 유지·발전시켜야 한다.
이상은 학교조직의 장학을 주도하는 학교 장학담당자와 이를 수용하여 학교조직목표 달성으로 연결시켜 주는 교사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볼 때, 학교조직의 인간자원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진다 하겠다.
목차 (Table of Contents)
A Feasibility Study on the Computerized Adaptive Test using MicroCAT testing System
A Right to Access Confidential Peer Review Materials in the U. S.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