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繪畵文化財 模寫復原에 관한 고찰-英祖御眞 모사복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py Restoration of the Painting Cultural Asse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211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ltural Assets is the evidence of our history and it is our dutyto keep and preserve the cultural assets. But as time goes by, thecultural assets get harmed by heat or destroyed. Especially, incompare to the other kind of cultural assets, the painting culturalassets is one of the weakness one to get easily loss or get hurt by fireof strong sunshine. So, the field of preservation study should workand prepare for the measure to complement this sort of damage. Inaddition this, we must keep the original paintings in more agreeableand well equipped place through the work of copy paintingrestoration. Also we should open the original paintings to the publiconly once in a year. We need to replace the original paintings to thecopy paintings. In modern times,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hepicture and printing technology, there are many occasions to exhibitthe cultural asset painting-copy. However, this cultural assetpainting-copy is just a helping aid, it can not be the cultural assets.
      Making brand another kind of new cultural asset through the copyrestoration is inherit the tradition and it is also to strengthen the cultural capacity.
      In this thesis, ‘the King, Yeongjo’s (英祖) Portrait (designated as atreasure #932)’ was drawn by Jang Kyung-ju(張景周, 1710∼?) andKim Du-ryang(金斗樑, 1696∼1763) and it was transplant-copied byChae Yong-shin(蔡龍臣, 1850∼1941) and Jo Seok-jin(趙錫晉, 1853∼1920) in the 4th year of Gwangmu,1900 A.D. We described thecourse of transplant-copying of the King Yeongjo’s portrait whichwas transplant-copied one by Chae Yong-shin and Jo Seok-jin. Werecorded the scientific and experiential facts about the procedure,expression techniques, materials of the painting restoration.
      In the skillfully course of restoration work of the King Yeongjo’sportrait, we felt that the study of the cultural assets’ restorationmethod, materials, techniques should be well inherited and settledas one kind of study field. In this point of view, we wish our theorythesis would be a reference material to reduce the trial and error inanother kind of copy-restoration work of the cultural assets.
      번역하기

      The Cultural Assets is the evidence of our history and it is our dutyto keep and preserve the cultural assets. But as time goes by, thecultural assets get harmed by heat or destroyed. Especially, incompare to the other kind of cultural assets, the pai...

      The Cultural Assets is the evidence of our history and it is our dutyto keep and preserve the cultural assets. But as time goes by, thecultural assets get harmed by heat or destroyed. Especially, incompare to the other kind of cultural assets, the painting culturalassets is one of the weakness one to get easily loss or get hurt by fireof strong sunshine. So, the field of preservation study should workand prepare for the measure to complement this sort of damage. Inaddition this, we must keep the original paintings in more agreeableand well equipped place through the work of copy paintingrestoration. Also we should open the original paintings to the publiconly once in a year. We need to replace the original paintings to thecopy paintings. In modern times,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hepicture and printing technology, there are many occasions to exhibitthe cultural asset painting-copy. However, this cultural assetpainting-copy is just a helping aid, it can not be the cultural assets.
      Making brand another kind of new cultural asset through the copyrestoration is inherit the tradition and it is also to strengthen the cultural capacity.
      In this thesis, ‘the King, Yeongjo’s (英祖) Portrait (designated as atreasure #932)’ was drawn by Jang Kyung-ju(張景周, 1710∼?) andKim Du-ryang(金斗樑, 1696∼1763) and it was transplant-copied byChae Yong-shin(蔡龍臣, 1850∼1941) and Jo Seok-jin(趙錫晉, 1853∼1920) in the 4th year of Gwangmu,1900 A.D. We described thecourse of transplant-copying of the King Yeongjo’s portrait whichwas transplant-copied one by Chae Yong-shin and Jo Seok-jin. Werecorded the scientific and experiential facts about the procedure,expression techniques, materials of the painting restoration.
      In the skillfully course of restoration work of the King Yeongjo’sportrait, we felt that the study of the cultural assets’ restorationmethod, materials, techniques should be well inherited and settledas one kind of study field. In this point of view, we wish our theorythesis would be a reference material to reduce the trial and error inanother kind of copy-restoration work of the cultural asse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문화재는 우리가 살아왔던 역사의 증거물이다. 그러한 문화재를 보존하고 지켜나가는 것이 전통을 이어나가는 우리의 일이다. 그러나 문화재는 세월이 지나면서 열화가 되고, 또 소멸되어버린다. 특히 회화문화재는 다른 장르의 문화재에 비해 열화나 손실이 가장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위해서는 보존과학의 분야에서 끊임없이 연구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또 하나의 방법으로 모사복원을 통해원화는 보다 더 쾌적한 환경에 보관을 하면서 한시적인 공개를원칙으로 하고, 일반 공개 및 전시 등은 모사복원 작품이 대신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대에는 사진과 인쇄기술의 발달로 회화문화재를 복제하여 전시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는 전시를 위한 보조물이지 역사성을 갖는 또 다른 차원의 이모 문화재라고할 수는 없다. 모사복원을 통하여 또 하나의 새로운 문화재를 만드는 것이 전통을 계승하는 것이고, 문화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본 논고의 대상이 되는 영조어진(英祖御眞, 보물 제932호)은영조 20년(1744)에 장경주(張景周, 1710∼?), 김두량(金斗樑,1696∼1763)이 그린 것을 광무4년(1900)에 이모(移模)한 것이다.
      이때의 주관화사는 채용신(蔡龍臣, 1850∼1941), 조석진(趙錫晉, 1853∼1920)이다. 필자는 채용신과 조석진이 이모(移模)한영조어진을 다시 모사복원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즉 모사복원의 단계, 표현 기법, 재료 등에 대한 과학적이고도 경험적인사실들을 기록한 것이다.
      실제 영조어진을 모사복원하면서 그 방법이나 재료, 기법, 그리고 전통 심미안 등이 연구, 계승되어 뚜렷한 하나의 학문으로자리 잡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 점에서 영조어진을 모사복원하면서 그에 따른 이론을 정리하여 이후에 행해질 또 다른 모사복원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참고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번역하기

      문화재는 우리가 살아왔던 역사의 증거물이다. 그러한 문화재를 보존하고 지켜나가는 것이 전통을 이어나가는 우리의 일이다. 그러나 문화재는 세월이 지나면서 열화가 되고, 또 소멸되어...

      문화재는 우리가 살아왔던 역사의 증거물이다. 그러한 문화재를 보존하고 지켜나가는 것이 전통을 이어나가는 우리의 일이다. 그러나 문화재는 세월이 지나면서 열화가 되고, 또 소멸되어버린다. 특히 회화문화재는 다른 장르의 문화재에 비해 열화나 손실이 가장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위해서는 보존과학의 분야에서 끊임없이 연구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또 하나의 방법으로 모사복원을 통해원화는 보다 더 쾌적한 환경에 보관을 하면서 한시적인 공개를원칙으로 하고, 일반 공개 및 전시 등은 모사복원 작품이 대신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대에는 사진과 인쇄기술의 발달로 회화문화재를 복제하여 전시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는 전시를 위한 보조물이지 역사성을 갖는 또 다른 차원의 이모 문화재라고할 수는 없다. 모사복원을 통하여 또 하나의 새로운 문화재를 만드는 것이 전통을 계승하는 것이고, 문화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본 논고의 대상이 되는 영조어진(英祖御眞, 보물 제932호)은영조 20년(1744)에 장경주(張景周, 1710∼?), 김두량(金斗樑,1696∼1763)이 그린 것을 광무4년(1900)에 이모(移模)한 것이다.
      이때의 주관화사는 채용신(蔡龍臣, 1850∼1941), 조석진(趙錫晉, 1853∼1920)이다. 필자는 채용신과 조석진이 이모(移模)한영조어진을 다시 모사복원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즉 모사복원의 단계, 표현 기법, 재료 등에 대한 과학적이고도 경험적인사실들을 기록한 것이다.
      실제 영조어진을 모사복원하면서 그 방법이나 재료, 기법, 그리고 전통 심미안 등이 연구, 계승되어 뚜렷한 하나의 학문으로자리 잡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 점에서 영조어진을 모사복원하면서 그에 따른 이론을 정리하여 이후에 행해질 또 다른 모사복원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참고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선미, "초상화 연구" 문예출판사 2007

      2 유혜선, "조선시대 초상화Ⅱ" 그라픽네트 2008

      3 국립전주박물관, "왕의 초상-경기전과 태조 이성계" 그라픽네트 2005

      4 조선미, "왕의 얼굴" 사회평론 2012

      5 이성미, "어진의궤와 미술사: 조선국왕 초상화의 제작과 모사" 소와당 2012

      6 전경미, "문화재 보존과학의 원리" 한언 2004

      7 "高宗實錄"

      8 조선미, "韓國肖像畵 硏究" 열화당 1983

      9 "英祖實錄"

      10 "正祖實錄"

      1 조선미, "초상화 연구" 문예출판사 2007

      2 유혜선, "조선시대 초상화Ⅱ" 그라픽네트 2008

      3 국립전주박물관, "왕의 초상-경기전과 태조 이성계" 그라픽네트 2005

      4 조선미, "왕의 얼굴" 사회평론 2012

      5 이성미, "어진의궤와 미술사: 조선국왕 초상화의 제작과 모사" 소와당 2012

      6 전경미, "문화재 보존과학의 원리" 한언 2004

      7 "高宗實錄"

      8 조선미, "韓國肖像畵 硏究" 열화당 1983

      9 "英祖實錄"

      10 "正祖實錄"

      11 宋時烈, "大老遺稿"

      12 劉義慶, "世說新語"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Reserch Institute for The Wonbuddhist Thoughts -> The Research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76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