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탈여성들이 증가하며 북한이탈여성의 건강은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가임기 여성의 건강관리는 북한이탈여성들이 남한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을 돕고, 통일 이후 북한이탈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이탈여성들이 증가하며 북한이탈여성의 건강은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가임기 여성의 건강관리는 북한이탈여성들이 남한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을 돕고, 통일 이후 북한이탈주...
북한이탈여성들이 증가하며 북한이탈여성의 건강은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가임기 여성의 건강관리는 북한이탈여성들이 남한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을 돕고, 통일 이후 북한이탈주민 전체의 변화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북한이탈여성들은 자궁경부암, 피임 등과 같은 생식건강 지식수준이 낮으며, 교육에 대한 요구를 가지고 있다. 이에 북한이탈여성의 특수성을 고려한 생식건강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을 대상으로 IMB 모델을 기반으로 통합적 생식건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생식건강지식, 자기효능감, 지각된 장애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자는 가임기 북한이탈여성으로 G시 소재 북한이주민지원센터의 협조를 얻어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통합적 생식건강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실험설계를 이용하였고, 통합적 생식건강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자료수집은 2018년 9월 1일부터 29일까지 실험군 16명과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군에게 매주 1회씩 4주간 총 4회기에 걸쳐 질병예방, 갱년기 특성, 여성암의 특성과 자기관리에 대해 통합적 생식건강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대조군에게는 교육을 진행하지 않았다.
자료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정은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로, 종속변수의 정규분포 검정은 Shapiro-Wilk test로 검정하였다. 가설은 independent t-test와 Mann-Whitney U test, 각 군간 사전 사후 비교는 paired t-test와 Wilcoxon signed-rank test, 나이, 한국거주 기간, 지각된 장애성 점수를 공변량으로 처리한 후 ANCOVA로 분석하였다.
통합적 생식건강 프로그램의 결과 생식건강지식(t=2.672, p=.011), 자기효능감(t=3.004, p=.005)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지각된 장애성은 사전 지각된 장애성 점수가 동질성 검증에 차이가 있어 사전 지각된 장애성 점수를 공변량으로 설정한 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9.207, p=.005). 생식건강 지식의 하부영역에서 피임, 질염, 성 전파성 질병과 폐경기 영역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기효능감의 하부영역에서 영양, 건강책임 영역이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북한이탈여성을 위한 통합적 생식건강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한 결과 이들의 생식건강 지식과 자기효능감의 증가, 지각된 장애성의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통합적 생식건강 프로그램은 북한이탈여성들이 생식건강에 자신감을 가지고 이를 이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충분한 수의 대상자를 대상으로 하지 못하였으므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일반화하는데 무리가 있으며, 통합적 생식건강 프로그램의 효과를 교육 종료 시점에서 확인하여 장기간의 효과를 검증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실험군과 대조군의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이 확보되어 가설 검증에 문제는 없으며, 규칙적인 건강교육 프로그램에 참석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특성을 가진 북한이탈여성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평가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연령대의 북한이탈여성에게 통합적 생식건강 교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 북한이탈주민정책, 통일부, http://www.unikorea.go.kr/unikorea/business/NKDefecto rsPolicy/status/lately/, , 2018
2. 공감학 :어제와 오늘, 박성희, 서울 : 학지사, , 2004
3. 교수-학습 이론의 이해, 권낙원, 서울 : 문음사, , 2006
4. (신뢰중심의) 인간관계론, 송운석, 서울 : 탑북스, , 2012
5. 국내 탈북자의 건강 및 의료, 윤인진, 김숙희, 보건과 사회과학, 17, 149-182, , 2005
6. 북한이탈여성의 여성건강 경험, 오지현, 유은광, 한양대학교 간호과 학연구소지, 22(1), 72-83, , 2018
7. 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의 분석, 정재삼, 교과교육학연구, 2(2), 80-97, , 1998
8. 알기 쉬운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장선영, 조형정, 이신동, 정종원, 파 주: 양서원, , 2012
9. 북한이탈여성의 성지식 실태 연구, 오선경, 한인영, 구현자, 한국심리학 회지: 여성, 15(1), 87-102, , 2010
10. 탈북 여성들의 남한 사회 적응 문제, 조영아, 전우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1), 17-35, , 2005
1. . 북한이탈주민정책, 통일부, http://www.unikorea.go.kr/unikorea/business/NKDefecto rsPolicy/status/lately/, , 2018
2. 공감학 :어제와 오늘, 박성희, 서울 : 학지사, , 2004
3. 교수-학습 이론의 이해, 권낙원, 서울 : 문음사, , 2006
4. (신뢰중심의) 인간관계론, 송운석, 서울 : 탑북스, , 2012
5. 국내 탈북자의 건강 및 의료, 윤인진, 김숙희, 보건과 사회과학, 17, 149-182, , 2005
6. 북한이탈여성의 여성건강 경험, 오지현, 유은광, 한양대학교 간호과 학연구소지, 22(1), 72-83, , 2018
7. 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의 분석, 정재삼, 교과교육학연구, 2(2), 80-97, , 1998
8. 알기 쉬운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장선영, 조형정, 이신동, 정종원, 파 주: 양서원, , 2012
9. 북한이탈여성의 성지식 실태 연구, 오선경, 한인영, 구현자, 한국심리학 회지: 여성, 15(1), 87-102, , 2010
10. 탈북 여성들의 남한 사회 적응 문제, 조영아, 전우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1), 17-35, , 2005
11. 북한이주여성의 건강권에 관한 연구, 임현지, 여성건강, 8(2), 151-177, , 2007
12. 2015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 실태조사, 남북하나재단, 서울: 남북하나 재단, , 2015
13. 건강증진프로그램 이용과 관련된 요인, 이숙경, 이혜영, 윤희상, 보건사 회연구, 28(2), 157-184, , 2008
14. 북한이주민의 건강과 경제적응의 관계, 윤인진, 보건과 사회과학, 21, 65-96, , 2007
15. 백형의. 북한이탈여성들의 성적 외상 경험, 강향숙, 한인영, 사회과학연 구, 29(3), 187-207, , 2013
16. 새터민여성의 유방자 가검진 수행 관련요인, 송효정, 이창현, 김성엽, 현미열, 홍성철, 이은주,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15(1), 9-15, , 2015
17. (간호과정을 적용한) 보건교육 (Vol. 개정3판.), 이갑순, 서울 : 현문사, , 2006
18. 북한이탈주민의 우울과 PTSD에 관한 메타분석, 김현아, Crisisonomy, 12(1), 105-124, , 2016
19.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PTSD 프로그램 효과 검증, 최빛내, 김승현, 한국 심리학회지 여성, 18(4), 533-548, , 2013
20. 한국 체류 난민여성의 인권 실태에 관 한 연구, 김소영, 송효진, 이인선, 한지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 2016
21.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성기능 실태 및 영향요 인, 한인영, 이영선, 구혜완,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0(2), 55-69, , 2013
22.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공학의 3차원적 이해, 김선연, 조규락, 서울 : 학지사, , 2006
23. 북한이탈 주민의 건강정보이해능력 및 관련 요인, 이지영, 황인영, 김현준, 손윤정, 이수형, 김무영, 정혜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 17(2), 71-79, , 2017
24.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사회정착 현황과 조기정착 방안, 이애란, JPI 정 책포럼, 2010(19), 1-20, , 2010
25. 학술논문분석을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특수성, 구혜완, 한인영, 이영선, 통일문제연구, 23(2), 147-193, , 2011
26. 북한이탈주민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건강증진생 활양식, 하영미, 은영, 강영실,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3(3), 231-243, , 2012
27. 중년여성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과 인지요인과의 관 계, 김명희, 김명숙,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1(1), 52-57, , 2005
28. 초기 거주 북한이탈여성의 정신건강 고위험군 예측요 인, 김연희, 조영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3), 509-527, , 2010
29. 하나원 진료를 통해 바라본 북한이주민 여성의 건강문제, 권민수, 하나 원 11주년 기념 세미나 자료, 45∼49, , 2010
30. 북한이탈 청소년을 위한 통합적 건강증진 프 로그램 개발, 최슬기, 정효지, 박상민,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2(1), 73-83, , 2009
31.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 용, 박정숙, 서인주, 성인간호학회지, 27(2), 198-210, , 2015
32. . 북한이탈주민의 기능적 헬스리터러시 현황 및 관련요인, 이진선, 서울 대학교 대학원, , 2014
33.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생식건강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최소영, 박명남, 한국간호과학회지, 44(3), 248-258, , 2014
34. 난민신청자에 대한 각국의 지원시설과 사회통 합제도 연구, 형수진, 이호택, 김종철, Retrieved from 법무부:, , 2009
35. 일부 대학생의 자기 효능감이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최정미, 문인옥, 대한보건연구, 31(2), 105-113, , 2005
36. 폐경관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송애리, 한국간호과학회지, 28(2), 280-290, , 1998
37.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건강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안양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2(2), 200-210, , 2008
38. 북한이탈여성의 성지 식, 성태도, 스트레스 대처와 자아탄력성, 전정희, 김혜원, 정유미, 권명옥, 황세민, 하범만, 군진간호연구, 36(1), 22-34, , 2018
39. 새터민 중고령자의 남한에서의 치료추구행위 경험에 대한 연구, 최정안, 최명애, 통일과 평화, 1(1), 285-316, , 2009
40. 다문화가족 여성과 아동의 건강실태 및 건강서비스 지원방안 연구, 정진주, 여지영, 김혜련, 백소혜,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12
41. 통일 후 북한지역 영ㆍ유아 대상 예방접종체계 수복을 위한 선행연구, 방준석, 송슬기, 한국임상약학회지, 25(4), 223-230, , 2015
42. 북한이탈 학령전기 아동을 위한 건강교육 프로그램 개 발 및 중재효과, 이인숙, 박호란, 대한간호학회지, 43(4), 478-485, , 2013
43. 성인의 건강신념 측정도구 개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연세 대학교, 문정순, 서울, , 1990
44. 북한이탈여성의 성지식과 성태도 조사. 국내석사학위논문, 아 주대학교, 신연덕, 수원, , 2013
45. 고등학생들의 성의식, 생식건강지식, 성 관련 경험에 대한 상관관계연구, 김증임, 조미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0(1), 59-65, , 2004
46. 독일의 이주민 통합정책과 사회통합 교육. 국내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이철용, 청주, , 2012
47. 북한이탈여성의 보건교육 요구도. 국내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 교 보건대학원, 박윤정, 서울, , 2018
48.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지식, 건강증진행 위 및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이명선, 최정안, 신기수, 최명애, 대한간호학회지, 42(5), 622, , 2012
49. 북한이탈 여성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따른 월경 문제의 비교 스트레스연구, 김현경, 김희숙, 대한스트레스학회지, 25, 294-298, , 2017
50. 북한이탈주민의 건강 관련 행태 조사 - 북한 거주 및 제3국 체류 시기를 중심으로, 이호진, 이순영, 권명옥, 김혜원, 군진간호연구, 35(1), 1-14, , 2017
51.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상태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및 국민 정체성의 조절효과, 전병주, 인문사회과학연구, 18(1), 333-367, , 2017
52.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적응 예측모형. 국내박사학위논문, 경 희대학교 대학원, 임소희, 서울, , 2013
53. 북한이탈 여성의 자궁경부암 및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 염에 대한 지식과 예방태도, 전정희, 이인숙, 가정간호학회지, 23(2), 166, , 2016
54. 하나원 입소 북한 이탈주민의 개인적 특성과 건강 신 념이 건강 행위에 미치는 영향, 전정희, 박영숙,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3(1), 82-90, , 2012
55. 유방자가검진 교육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교육의 효과. 국내박 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최경옥, 서울, , 1996
56. 감성디자인이 적용된 치유환경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 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정주희, 서울, , 2009
57. 박보라, 이은실, 최규연, 이정재, 이임순, 이준환. 탈북여성 및 결혼이주여성 건강 실태 조사, 문가을,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9, 103-109, , 2015
58. 이주민ㆍ북한이탈주민 건강정보 문해력 관련 행정서비 스 실태 및 개선방안. 국회입법조사처, 김주경, 이승현, 46호 현장조사서, , 2016
59. 일부 여대생의 자궁경부암 지식과 인유두종바이러스 지식 및 감염 예방행위의도에 관한 연구, 김정효, 박미경,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5(2), 225-231, , 2009
60. 북한이탈여성의 정착과 건강증진에 관한연구. 국내석사학위논 문,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박상배, 경산, , 2016
61.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증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국내석사 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허세미, 서울, , 2016
62. 북한이탈여성의 피임인식 및 피임교육의 필요성. 국내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한소희, 서울, , 2018
63. 범이론적 모형과 ADDIE 모형을 이용한 치과 금연프로그램 개 발. 국내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전보혜, 서울, , 2016
64.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신념이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 학위논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전정희, 서울, , 2010
65. 결혼이주베트남여성을 위한 자궁경부암 예방교육프로그램 개 발과 효과검증. 국내박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구상미, 대전, , 2015
66. 탈북여성의 정신건강과 부부적응을 위한 TSL 가족프로그램 개 입 효과. 국내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김희진, 서울, , 2013
67. Medical illustration의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교육과정 설 계.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박지수, 서울, , 2010
68. 학령기 후기 아동의 암 예방 건강생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국내박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대학원, 조미혜, 진주, , 2011
69. 한국 거주 조선족 노인이주자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국내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김향란, 서울, , 2018
70. 스티븐 홀의 교육시설건축에 나타난 감성적 공간의 표 현요소에 관한 연구 : 대학교육시설의 공공공간을 중심으로, 전유창, 김도식, 교육시설 논문지, 18, 15-23, , 2011
71. 북한이탈여성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연계 자궁경부암 예방 교육의 효과.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안소연, 서울, , 2016
72. 북한 이탈 흡연 청소년을 위한 자아존중감 증진 금연 프로그 램 중재 효과. 국내박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전은경, 서울, , 2015
73. 북한이탈여성의 생식건강을 위한 모바일 동영상 교육프로그램 개발. 국내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이민경, 서울, , 2017
74. 건강증진교육이 중년여성의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염희연, 서울, , 2015
75.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임신/분 만관리 교육프로그램이 임신관련지식, 신생아 양육지식 및 산후관리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미조, 이은주, 박동영, 이성희, 김은희, 대한간호학회지, 40(1), 78-87, ,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