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50년대 ‘현대극’으로서 사실주의 연극의 양상 - 차범석의 장막극과 제작극회의 공연을 중심으로 = Aspects of the theatrical realism as “contemporary theatre” in 1950s Korea - focused on Cha beomseok’s plays and the productions of Jejackgeukhoe(The Production Theatre Circ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797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check to one aspect of the realistic theater performances in 1950s through the contents of the drama and production of Cha beomseok and Jajackgeukhoe. The discussion of contemporary theatre is actively developed in the late 1950s, South Korea. Cha beomseok and Jajackgeukhoe was advocating a theatrical activities for the "theatrical modern". To consider the aspect that is realized in Playwriting and performances is meant to check the pattern of seeking to establish a contemporary drama. Cha beomseok and Jajackgeukhoe were against the emission of feelings and tried to conform the realistic style on the stage. Cha beomseok sought the realistic aesthetics by the character looking at the distance between himself and the reality. In the 1950s’ play works, however,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re found. In <Bulmoji>(The Wasteland), <Gongsangdosi>(The Fancy City), <Ggepjilijjaejineunapeumoepsineun>(The Shell can not be torn without Pain), the characters with the subjective inner regions which is not encompassed into the objective world in the drama were appeared in his play.
      These figures are to be critical for the social reality reflected in the works by the awareness of the negative reality of the drama surrounding them. Their critical awareness of the dramatic reality raises the need for a sound social ethic that will enable the successful joining to that reality, and social reality also. In this way, the Cha Beomseok’s plays of this period is beyond the level of simple reproduction of reality. It is to carry out the functions of the social edification. This can be called theatrical response to the reality in the 1950s.
      Jajackgeukhoe’ production developed and pursued realistic reproduction aesthetics. They were seeking restraint of emotion in acting, the stage setting was trying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meets the contemporary life. Sometimes The subjectivity of a person was reflected on the stage set, or the memory of a person was visually represented. But it was entirely without departing from the borders of the factual representation. However, the subjectivity of the characters that appear in the drama of Cha beomseok seems to conflict with such reproduction. Subjective validity of the characters in realistic reproduction had not been specifically staged, but are channeled into madness and rage. This was contrary to the acting route to pursue a disciplined behavior. It was easy to buy a reluctant of audience. And in between stage and audience, brought the inconsistency of intention and outcome.
      The achievement in realistic style of Cha beomseok and Jajackgeukhoe was not complete it. These activities, however, were the foundation of the contemporary realism theater in 1960’s as <Fire> shows well it.
      번역하기

      In this paper, we check to one aspect of the realistic theater performances in 1950s through the contents of the drama and production of Cha beomseok and Jajackgeukhoe. The discussion of contemporary theatre is actively developed in the late 1950s, So...

      In this paper, we check to one aspect of the realistic theater performances in 1950s through the contents of the drama and production of Cha beomseok and Jajackgeukhoe. The discussion of contemporary theatre is actively developed in the late 1950s, South Korea. Cha beomseok and Jajackgeukhoe was advocating a theatrical activities for the "theatrical modern". To consider the aspect that is realized in Playwriting and performances is meant to check the pattern of seeking to establish a contemporary drama. Cha beomseok and Jajackgeukhoe were against the emission of feelings and tried to conform the realistic style on the stage. Cha beomseok sought the realistic aesthetics by the character looking at the distance between himself and the reality. In the 1950s’ play works, however,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re found. In <Bulmoji>(The Wasteland), <Gongsangdosi>(The Fancy City), <Ggepjilijjaejineunapeumoepsineun>(The Shell can not be torn without Pain), the characters with the subjective inner regions which is not encompassed into the objective world in the drama were appeared in his play.
      These figures are to be critical for the social reality reflected in the works by the awareness of the negative reality of the drama surrounding them. Their critical awareness of the dramatic reality raises the need for a sound social ethic that will enable the successful joining to that reality, and social reality also. In this way, the Cha Beomseok’s plays of this period is beyond the level of simple reproduction of reality. It is to carry out the functions of the social edification. This can be called theatrical response to the reality in the 1950s.
      Jajackgeukhoe’ production developed and pursued realistic reproduction aesthetics. They were seeking restraint of emotion in acting, the stage setting was trying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meets the contemporary life. Sometimes The subjectivity of a person was reflected on the stage set, or the memory of a person was visually represented. But it was entirely without departing from the borders of the factual representation. However, the subjectivity of the characters that appear in the drama of Cha beomseok seems to conflict with such reproduction. Subjective validity of the characters in realistic reproduction had not been specifically staged, but are channeled into madness and rage. This was contrary to the acting route to pursue a disciplined behavior. It was easy to buy a reluctant of audience. And in between stage and audience, brought the inconsistency of intention and outcome.
      The achievement in realistic style of Cha beomseok and Jajackgeukhoe was not complete it. These activities, however, were the foundation of the contemporary realism theater in 1960’s as <Fire> shows well i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차범석의 희곡과 제작극회의 공연 내용을 통해서 1950년대 사실주의 연극의 한 양상을 점검한다. 1950년대 후반 한국 연극계에서는 현대극 수립의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차범석과 제작극회는 ‘현대적 감각’에 맞는 연극 활동을 표방하였다. 그것이 극작과 공연에서 어떻게 드러났는가를 고찰하는 것은 현대극 수립을 위한 모색의 양상을 점검한다는 의미가 있다.
      차범석과 제작극회는 감정을 발산하는 연기에 반대하였고, 사실에 부합하는 생활상을 무대화하려 했다. 차범석은 감정의 토로를 통해 현실의 비참함을 폭로하는 방식에 반대하고 현실에 문제점을 객관화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그것은 현실과 거리를 두며 그것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인물을 통해 시도된다. 차범석의 장막극 <불모지>, <공상도시>, <껍질이 째지는 아픔 없이는>에는 객관적 극 중 세계에 포괄되지 못하는 주관적 내면의 영역을 지닌 인물이 등장한다. 이 인물들은 자신을 둘러싼 극 중 현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보임으로써 작품이 반영하고자 하는 현실에 대해 사회 비평적 역할을 수행한다. 이것은 1950년대 현실에 대한 차범석 희곡의 연극적 대응이라 할 수 있다.


      제작극회에서도 사실적 재현을 중심 미학으로 삼아 공연을 전개한다. 이들은 연기에서 감정의 절제를 추구했으며, 무대장치에서는 시대적 생활상에 부합하는 환경을 조성하려 노력했다. 차범석의 텍스트와 그 무대화에서는 때로 인물의 심리적 정황을 무대장치에 반영하거나 현재의 심적 상태를 암시하기 위해 과거 회상 장면이 도입되지만, 작품의 전체 양식은 사실적 재현의 테두리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때로 등장인물들의 주관적 정당성은 구체적인 사건 안에서 형상화되지 않고 광기나 분노로 직접 표출되는 양상을 띤다. 이것은 절제된 행동으로 인물의 심리 변화를 암시하고자 한 제작극회의 연기 노선과 모순되는 것이며, 관객에게 거부감을 사거나 무대-객석 간에 의도와 결과의 불일치를 가져오기 쉬운 것이었다.
      비록 텍스트와 공연에서 이들이 추구한 절제의 미학이 온전히 실천되지는 못했으나, 연기에서 감정보다는 정확한 극 행동을 추구하고 현실에 부합하는 재현의 충실성을 기하는 이들의 노력은 이후 사실주의 성취의 토대가 되었다. <산불>의 공연은 이점을 잘 보여준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차범석의 희곡과 제작극회의 공연 내용을 통해서 1950년대 사실주의 연극의 한 양상을 점검한다. 1950년대 후반 한국 연극계에서는 현대극 수립의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

      이 글에서는 차범석의 희곡과 제작극회의 공연 내용을 통해서 1950년대 사실주의 연극의 한 양상을 점검한다. 1950년대 후반 한국 연극계에서는 현대극 수립의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차범석과 제작극회는 ‘현대적 감각’에 맞는 연극 활동을 표방하였다. 그것이 극작과 공연에서 어떻게 드러났는가를 고찰하는 것은 현대극 수립을 위한 모색의 양상을 점검한다는 의미가 있다.
      차범석과 제작극회는 감정을 발산하는 연기에 반대하였고, 사실에 부합하는 생활상을 무대화하려 했다. 차범석은 감정의 토로를 통해 현실의 비참함을 폭로하는 방식에 반대하고 현실에 문제점을 객관화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그것은 현실과 거리를 두며 그것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인물을 통해 시도된다. 차범석의 장막극 <불모지>, <공상도시>, <껍질이 째지는 아픔 없이는>에는 객관적 극 중 세계에 포괄되지 못하는 주관적 내면의 영역을 지닌 인물이 등장한다. 이 인물들은 자신을 둘러싼 극 중 현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보임으로써 작품이 반영하고자 하는 현실에 대해 사회 비평적 역할을 수행한다. 이것은 1950년대 현실에 대한 차범석 희곡의 연극적 대응이라 할 수 있다.


      제작극회에서도 사실적 재현을 중심 미학으로 삼아 공연을 전개한다. 이들은 연기에서 감정의 절제를 추구했으며, 무대장치에서는 시대적 생활상에 부합하는 환경을 조성하려 노력했다. 차범석의 텍스트와 그 무대화에서는 때로 인물의 심리적 정황을 무대장치에 반영하거나 현재의 심적 상태를 암시하기 위해 과거 회상 장면이 도입되지만, 작품의 전체 양식은 사실적 재현의 테두리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때로 등장인물들의 주관적 정당성은 구체적인 사건 안에서 형상화되지 않고 광기나 분노로 직접 표출되는 양상을 띤다. 이것은 절제된 행동으로 인물의 심리 변화를 암시하고자 한 제작극회의 연기 노선과 모순되는 것이며, 관객에게 거부감을 사거나 무대-객석 간에 의도와 결과의 불일치를 가져오기 쉬운 것이었다.
      비록 텍스트와 공연에서 이들이 추구한 절제의 미학이 온전히 실천되지는 못했으나, 연기에서 감정보다는 정확한 극 행동을 추구하고 현실에 부합하는 재현의 충실성을 기하는 이들의 노력은 이후 사실주의 성취의 토대가 되었다. <산불>의 공연은 이점을 잘 보여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현숙, "희곡의 구조" 문학과 지성사 1990

      2 임희재, "희곡5인선집" 성문각 1958

      3 천승준, "현대한국문학전집 9" 신구문화사 1966

      4 차범석, "현대한국문학전집 9" 신구문화사 1966

      5 신봉승, "현대한국문학전집 9" 신구문화사 1966

      6 김향, "현대 연극문화와 차범석 희곡" 연극과인간 2010

      7 유영익, "해방전후사의 재인식2" 책세상 2006

      8 박명진, "한국희곡의 근대성과 탈식민성" 연극과 인간 2001

      9 유민영, "한국현대희곡사" 새미 1997

      10 김상렬, "한국전후문학연구" 성대출판부 1993

      1 신현숙, "희곡의 구조" 문학과 지성사 1990

      2 임희재, "희곡5인선집" 성문각 1958

      3 천승준, "현대한국문학전집 9" 신구문화사 1966

      4 차범석, "현대한국문학전집 9" 신구문화사 1966

      5 신봉승, "현대한국문학전집 9" 신구문화사 1966

      6 김향, "현대 연극문화와 차범석 희곡" 연극과인간 2010

      7 유영익, "해방전후사의 재인식2" 책세상 2006

      8 박명진, "한국희곡의 근대성과 탈식민성" 연극과 인간 2001

      9 유민영, "한국현대희곡사" 새미 1997

      10 김상렬, "한국전후문학연구" 성대출판부 1993

      11 박윤우, "한국전후문학연구" 삼지원 1995

      12 "한국일보"

      13 서연호, "한국연극사-현대편" 연극과 인간 2005

      14 "한국연극"

      15 오영미, "한국 전후 연극의 형성과 전개" 태학사 1996

      16 이승희, "한국 사실주의 희곡, 그 욕망의 식민성" 소명출판 2004

      17 김방옥, "한국 사실주의 희곡 연구" 가나 1988

      18 정호순, "차범석의 리얼리즘 희곡 연구-195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극예술학회 (8) : 1998

      19 박미란, "차범석 후기 희곡에 나타난 극작술의 변모 양상과 그 의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20 손화숙, "차범석 초기 희곡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5) : 1995

      21 "조선일보"

      22 김옥란, "유치진의 50년대 희곡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5) : 1995

      23 "예술세계"

      24 차범석, "예술가의 삶 6" 혜화당 1993

      25 홍재범,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과 한국 극예술의 접점" 연극과 인간 2006

      26 김태훈, "스따니슬랍스끼의 삶과 예술" 태학사 1999

      27 죤 오스본, "성난 얼굴로 돌아다 보라" 7 (7): 1960

      28 "서울신문"

      29 스타니슬라프스키, "배우수업" 성문각 1970

      30 차범석, "밀주"

      31 차범석, "리얼리즘 연극 소고"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 (2) : 1968

      32 "동아일보"

      33 차범석, "동시대의 연극인식" 범우사 1988

      34 차범석, "껍질이 째지는 아픔 없이는" 정신사 1960

      35 차범석, "공상도시, 공연대본(이화여대 도서관 소장)" 7 (7): 1958

      36 "경향신문"

      37 백 철, "‘앵그리 영 멘’에 대하여" 7 (7): 1960

      38 Constantin Stanislavski, "An Actor Prepares" Theatre Art Books 1959

      39 김미도, "1950년대 희곡의 실험적 성과" 고려대국어국문학과 (32) : 1993

      40 박윤경, "1950년대 희곡의 비사실적 특성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9

      41 김옥란, "1950년대 희곡에 나타난 전후세대의 현실인식" 한양대 한양어문연구회 (13) : 1995

      42 오영미, "1950년대 후반기 한국희곡의 변이양상" 한국극예술학회 (2) : 1992

      43 김성희, "1950년대 한국 희곡에 나타난 가정문제 고찰" 한국연극학회 (9) : 1997

      44 오영미, "1950년대 연극론 고찰" (14) : 1994

      45 백로라, "1950년대 연극론" (15) : 1999

      46 安相淑, "1950년대 韓國 實驗劇 연구"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1 1.13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