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의 목적은 조선 후기 시조의 ‘놀이적 성격’을 살피는 데에 있었다. 한시와의 비교를 통해 국문시가에 대한 인식 양상을 살피고, 놀이적 성격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시조의 역할이 전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80713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85-309(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조선 후기 시조의 ‘놀이적 성격’을 살피는 데에 있었다. 한시와의 비교를 통해 국문시가에 대한 인식 양상을 살피고, 놀이적 성격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시조의 역할이 전개...
본고의 목적은 조선 후기 시조의 ‘놀이적 성격’을 살피는 데에 있었다. 한시와의 비교를 통해 국문시가에 대한 인식 양상을 살피고, 놀이적 성격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시조의 역할이 전개되고 있음을 조선 후기의 문화적 성향과의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그러고 나서 음악적 측면과 문학적 측면으로 나누어, 그 구체적인 양상을 알아보았다.
고찰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조선 후기 이전 국문시가는 노래로 불릴 수 있어서 인정받은 장르였다. 백성 교화에 효과적이기 때문이었다. 한시처럼 詩로서의 의미는 약했던 듯 보인다. 그러다가 조선 후기에 들어서 국문시가는 천기론, 성정론, 오랜 향유 기간, 성행 등을 근거로, 풍교 기능에서 벗어나 유희의 대상로 변화하였다. 한바탕 방식의 연행을 통해 주로 향유되었고, 이로 인해 이념 전달 위주였던 연시조가 쇠퇴하는 결과를 빚었다. 문학적으로는 주제 의식이 애매한 작품이 다수 등장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study ‘the propensity of the play’ of Sijo at the late Chosun. Through comparison with Hansi[漢詩], search cognitive aspects about Korean Language Poetry. Korean Language Poetry ‘Sijo’ was strengthened ‘the pro...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study ‘the propensity of the play’ of Sijo at the late Chosun. Through comparison with Hansi[漢詩], search cognitive aspects about Korean Language Poetry. Korean Language Poetry ‘Sijo’ was strengthened ‘the propensity of the play’ at the late Chosun. This was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cultural character at the late Chosun. Then, divided into aspects of the literary and aspects of the musical study specific aspects.
Organize the study, as follows. Korean Language Poetry was recognized because song before the late Chosun. Because the lesson are easy to pass. Role of Korean Language Poetry in late Chosun is changed to not lesson but play, based on the CheonGiNon[天機論], SeongJeongNon[性情論], Long term enjoyment, Vogue. It was mainly through the enjoyment of the HanBaTang[한바탕] performance. YeonSijo[連詩調] was in decline. Literary, subject was ambiguit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