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나와 무인기뢰처리기 정보를 활용한 기뢰전 체계 설계 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229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뢰는 수중에 설치되어 수상함과 잠수함을 공격하기 위한 폭발물로서, 기뢰전은 해군의 여러 가지 성분작전중에서 매우 중요한 작전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기뢰전 일반 개념에 대한 이해...

      기뢰는 수중에 설치되어 수상함과 잠수함을 공격하기 위한 폭발물로서, 기뢰전은 해군의 여러 가지 성분작전중에서 매우 중요한 작전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기뢰전 일반 개념에 대한 이해로부터 기뢰탐색작전 및 소해작전의 소개와 본문에서 소개 할 몇 가지 기능을 통한 전반적인 기뢰전 체계 설계 방안을 제안한다. 기뢰전 체계의 기능으로는 소나 영상정보로부터 아다부스트 기법을 활용하여 기뢰영역을 탐지하는 기능과 기뢰탐색작전 및 소해작전의 수행 시 각각의 진행률을 계산하는 기능, 소나로부터 수신한 기뢰 표적으로 무인기뢰처리기를 유도하는 기능 등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aval mine is the explosives that are installed in the water in order to attack surface ships or submarines. So mine warfare is a very important component of naval operations. In this paper, first,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concept about mine w...

      The naval mine is the explosives that are installed in the water in order to attack surface ships or submarines. So mine warfare is a very important component of naval operations. In this paper, first,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concept about mine warfare. Second, introduce the mine hunting progress and mine sweeping progress. And then, suggest the system design method of mine counter measure warfare using several functions. The functions are mine area detection algorithm for side scan sonar image using Adaboost algorithm, and calculation to mine hunting progress rate and mine sweeping progress rate. And techniques that lead the mine disposal vehicle(MDV) to min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백, "무기체계를 위한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공학 프로세스" 한국통신학회 36 (36): 332-345, 2011

      2 P. Viola, "Rapid object detection using a boosted cascade of simple features" 511-518, 2001

      3 K. H. Kim, "Performance analysis of navigation and sonar system for unmanned mine disposal system" 51 : 47-55, 2011

      4 D. W. Kim, "Operation of tactical data-link between weapon systems and interoperability test and evaluation" 452-453, 2012

      5 R. Lienhart, "Empirical analysis of detection cascades of boosted classifiers for rapid object detection" 297-304, 2003

      6 R. Lienhart, "An extended set of Haar-like features for rapid object detection" 900-903, 2002

      7 H. S. Kim, "A study on the defence IT survey and the acquisition method of IT technology" 495-496, 2014

      1 김기백, "무기체계를 위한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공학 프로세스" 한국통신학회 36 (36): 332-345, 2011

      2 P. Viola, "Rapid object detection using a boosted cascade of simple features" 511-518, 2001

      3 K. H. Kim, "Performance analysis of navigation and sonar system for unmanned mine disposal system" 51 : 47-55, 2011

      4 D. W. Kim, "Operation of tactical data-link between weapon systems and interoperability test and evaluation" 452-453, 2012

      5 R. Lienhart, "Empirical analysis of detection cascades of boosted classifiers for rapid object detection" 297-304, 2003

      6 R. Lienhart, "An extended set of Haar-like features for rapid object detection" 900-903, 2002

      7 H. S. Kim, "A study on the defence IT survey and the acquisition method of IT technology" 495-496,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5-01-01 평가 학술지 통합(등재유지)
      2014-11-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C</br>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C KCI등재
      2014-08-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C</br>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 C KCI등재
      2014-08-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C</br>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 C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