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개혁정책의 도입 과정 분석을 통한 복합적 정책변동모형 검증: 로스쿨정책과 노동개혁정책을 중심으로 = A Verification Study of the Compositive Policy Change Model Utilizing Analysis of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Reform Policy in Korea: Focused on the Process of Forming Law School Policy and Labor Reform Polic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model that reasonably and effectively explains Korean policy changes. The Policy Advocacy Coalition Model and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 Model with high explanatory power were combined and the factors of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model that reasonably and effectively explains Korean policy changes. The Policy Advocacy Coalition Model and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 Model with high explanatory power were combined and the factors of the Policy Advocacy Coalition Model were arranged in the sequential process of the macroscopic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 Model for a detailed analysis of the policy changes. The phases of Korean policy changes could be explained with high validity by verifying the arrangements in each step of policy chang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three streams were independent of one another and external factors other than presidential elections did not have any direct impact. Even though the president was in full charge of the policy window, the policy entrepreneur and their approach was doctrinal and cautious, and public opinion and social discourse wer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Among opposing advocacy coalitions, the president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oalition supporting reform policies. Due to the limited role of the policy broker and policy oriented learning, the opinions of coalition supporting reform policies were unilaterally accepted in the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Since the adverse coalition severely opposed to the policy created by the policy change process and consistently maintained disobliging behavior, policy outcomes were unknown but the president acquired the power to promote administration through opposi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적 정책변동을 보다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모형을 창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정책변동 설명력이 높은 정책옹호연합모형과 다중흐름구조모형을 결합시키고, 거시...

      본 연구는 한국적 정책변동을 보다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모형을 창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정책변동 설명력이 높은 정책옹호연합모형과 다중흐름구조모형을 결합시키고, 거시적인 다중흐름구조모형의 순차적 진행과정 틀 속에 정책변동과 관련된 분석의 세분화를 가능하게 해줄 정책옹호연합모형의 요소들의 배치하였고, 각 정책변동 단계별 요소들의 배치 위치를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한국 정책변동 단계를 타당성 높게 설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세 가지 흐름이 독립적으로 진행되며 대선이라는 정치적 초점사건 이외에 외부요인들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 정책의 창을 여는 정책사업가는 대통령이 전담하여 원리주의적이고 신중하게 열었지만 여론과 사회적 담론은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 대립되는 옹호연합 중 개혁정책 찬성연합에 대통령이 적극적으로 참여했다는 점, 정책중개자의 역할과 정책지향학습이 미미하여 정책 산출을 위한 의사결정에 개혁정책 찬성연합 측 의견이 거의 일방적으로 수용되었다는 점, 정책변동 과정으로 창출된 최종정책에 대해 반대연합 측은 극렬한 반대 입장을 고수하게 되고 비협조적인 태도로 일관하여 정책의 성과가 미지수이지만 대통령은 그를 통해 국정 추진 원동력을 획득하였다는 점 등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국운, "한국의 법률가 집단은 어디로 가야 하는가?" 23 (23): 119-139, 1999

      2 신평, "한국 사법개혁작업의 평가"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4 (14): 229-262, 2008

      3 유범상, "한국 노동운동 이념의 풍경화:이념의 빈곤과 정체성의 딜레마" 한국사회과학연구회 (63) : 11-64, 2005

      4 허만형, "퇴직연금 도입과정에 관한 연구: 옹호연합모형 관점에서의 분석" 국가정책연구소 28 (28): 47-71, 2014

      5 홍영표, "참여정부 노동정책 평가 및2012년 과제 노무현 전대통령 서거 2주기 기념 토론회 보고서" 1-31, 2011

      6 김배원, "차기정부의 ‘사법개혁’ 과제" 한국공법학회 41 (41): 89-123, 2012

      7 박상원, "종합편성채널 출범에 대한 정책형성과정 분석: 정책옹호연합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135-156, 2015

      8 전진석, "정책옹호연합모형을 적용한 논문에 대한 분석: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5 (25): 1-28, 2014

      9 이재무, "정책사업가로서 한국 대통령의 자질 및 전략 형태에 따른 정책의 결정 양상과 집행 결과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행정연구소 53 (53): 153-179, 2015

      10 양승일, "정책변동론" 양서원 2006

      1 이국운, "한국의 법률가 집단은 어디로 가야 하는가?" 23 (23): 119-139, 1999

      2 신평, "한국 사법개혁작업의 평가"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4 (14): 229-262, 2008

      3 유범상, "한국 노동운동 이념의 풍경화:이념의 빈곤과 정체성의 딜레마" 한국사회과학연구회 (63) : 11-64, 2005

      4 허만형, "퇴직연금 도입과정에 관한 연구: 옹호연합모형 관점에서의 분석" 국가정책연구소 28 (28): 47-71, 2014

      5 홍영표, "참여정부 노동정책 평가 및2012년 과제 노무현 전대통령 서거 2주기 기념 토론회 보고서" 1-31, 2011

      6 김배원, "차기정부의 ‘사법개혁’ 과제" 한국공법학회 41 (41): 89-123, 2012

      7 박상원, "종합편성채널 출범에 대한 정책형성과정 분석: 정책옹호연합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135-156, 2015

      8 전진석, "정책옹호연합모형을 적용한 논문에 대한 분석: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5 (25): 1-28, 2014

      9 이재무, "정책사업가로서 한국 대통령의 자질 및 전략 형태에 따른 정책의 결정 양상과 집행 결과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행정연구소 53 (53): 153-179, 2015

      10 양승일, "정책변동론" 양서원 2006

      11 유훈, "정책변동론" 대영문화사 2009

      12 이재무, "정책변동 분석모형을 활용한 정책변화 예측에 대한 탐색적 연구: 영유아 교육복지 관리체계의 일원화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2 (52): 31-58, 2014

      13 남상민, "정책과정에서의 NGO: 정책옹호동맹체모형(ACF)과 새만금 사업에서의 NGO 역할" 한국정책학회 14 (14): 28-53, 2005

      14 김윤태, "재벌과 권력: 새로운 경제모델을 찾아서" 새로운 사람들 2000

      15 이동규, "재난사건 이후의 정책변동 모형의 시론적 연구 : 정책변동 모형의 재설계를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학회 9 (9): 143-166, 2013

      16 조성봉, "이명박 정부 정책평가 및 선진화 과제" 4 : 8-27, 2010

      17 이재무, "외부환경과 초점사건의 내재적 속성에 따른 정책변동 특성 연구: 한국 산업정책 변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3 (53): 205-238, 2015

      18 변기용, "옹호연합모형을 통한 법학전문대학원제도 도입과정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223-252, 2009

      19 이동규, "옹호연합모형(Advocacy Coalition Framework)을적용한 정책과정 연구- 온라인 게임 서비스 접근성 규제에 관한 셧다운제 제도도입(청소년 보호법 개정)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2 (22): 31-70, 2013

      20 양승일, "옹호연합모형(ACF)을 활용한 정책변동 분석-그린벨트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 8 (8): 41-52, 2005

      21 최성구, "세종시 정책변동 과정에 관한 연구 - 정책옹호연합모형과 다중흐름모형의 결합모형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3 (23): 371-412, 2014

      22 주경철, "세상을 보는 눈 기본편" 이슈투데이 2010

      23 이동진, "서울시 무상급식정책 변동요인과 과정 분석 - MSF과 ACF의 통합모형을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8 (28): 107-129, 2014

      24 민효상, "무의사결정론의 재등장?:2009년 한국 공무원연금개혁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2 (22): 127-150, 2012

      25 최창근, "대만의 원자력발전소 건설은 어떻게 중단 되었는가: 정책옹호연합모형의 적용" 한국정부학회 27 (27): 673-689, 2015

      26 정민경,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한 지방자치단체 정책과정 연구: 2012년 서울시 공공부문 비정규직 대책"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8 (28): 51-80, 2014

      27 이승길, "노동시장정책과 쟁점 검토" 한국비교노동법학회 34 : 41-84, 2015

      28 전성욱, "기초연금법 입법과정 분석: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4 (24): 119-151, 2014

      29 김인자, "과학기술 규제 정책의 형성과 변동 과정분석 -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0 (20): 111-150, 2011

      30 Sabatier, P. A., "Theories of the policy process" Westview Press 189-222, 2007

      31 Zahariadis, N., "Theories of the policy process" Westview Press 65-92, 2007

      32 Weible, C. M., "Themes and Variations : Taking Stock of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37 (37): 121-140, 2009

      33 Hofferbert, R., "The Study of Public Policy" Bobbs-Merrill 1974

      34 김순양, "The Political Dynamics of Policy Networks and Advocacy Coalitions in South Korea’s Healthcare Policymaking : The 20 Years of Debates to Inaugurate a Single‐Payer System"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61-102, 2011

      35 최인규, "SSM의 유통산업 규제정책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정책흐름모형과 옹호연합의적용을 중심으로" 2 (2): 1-19, 2011

      36 Mucciaroni, G., "Reversals of Fortune: Public Policy and Private Interests" Brooking Institution 1995

      37 Roberts, N. C., "Policy entrepreneurs: Their activity structure and function in the policy process" 1 (1): 147-175, 1991

      38 Hall, P., A., "Policy Paradigms, Social Learning, and the State : The Case of Economic Policymaking in Britain" 25 (25): 275-296, 1993

      39 May, P., "Policy Learning and Failure" 12 (12): 331-354, 1992

      40 Munro. J. E., "Policy Change and Learning: An Advocacy Coalition Approach" Westview Press 105-127, 1993

      41 Sabatier, P. A., "Policy Change and Learning : An Advocacy Coalition Approach" Westview Press 13-40, 1993

      42 Howlett, M., "Moving Policy Theory Forward : Connecting Multiple Stream and Advocacy Coalition Frameworks to Policy Cycle Models of Analysis" 1-15, 2016

      43 Gereffi, Gary., "Manufacturing Miracles: Paths of Industrialisation in Latin America and East As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1

      44 김상봉, "Kingdon의 정책 창 모형에 의한 비축임대주택 정책의 갈등관계분석 및 평가" 한국정책과학학회 15 (15): 1-27, 2011

      45 Sabatier, P. A., "Handbook of Public Policy Analysis" CRC Press 123-136, 2007

      46 Zohlnhöfer, R., "Explaining Paradigmatic Change in German Labor Market. A Multiple Streams Perspective" 11 (11): 1-19, 2012

      47 Fields, Karl. J., "Enterprise and the State in Korea and Taiwan" Cornell University Press 1995

      48 Compston, H., "Conceptual innovation and public policy : unemployment and paid leave schemes in Denmark" 11 (11): 117-132, 2001

      49 Collins, Matthew, L., "An Elaboration and Analysis of Two Policy Implementation Frameworks to Better Understand Project Exile" Virginia Tech University 2002

      50 Sabatier, P. A., "An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of Policy Change and the Role of Policy-Oriented Learning Therein" 21 : 129-168, 1988

      51 Zahariadis, N., "Ambiguity and choice in public policy: political decision making in modern democracies"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03

      52 Kingdon, K., "Agendas, Alternatives, and Public Policies" Harper Collins publishers 1984

      53 양승일, "ACPS 모형을 활용한 규제정책 변동과정 분석: 그린벨트정책의 개발허용기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0 (10): 77-101, 2006

      54 주경일, "ACF(Advocacy Coalition Framework) 모형의 발전적 재조명: CAF(Collective Action Frame)이론의 적용을 중심으로" 3 (3): 40-53, 2011

      55 Easton. D., "A framework for political analysis" Prentice-Hall 1965

      56 Travis, R, "A Multiple Streams Model of U. S. Foreign Aid Policy" 30 (30): 495-514, 2002

      57 심희기, "1990년대의 사법제도개혁의 동향과 전망" 대한변호사협회 308 : 1-16,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32 1.3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