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영환, "학술지 『사고개발』의 연구동향 분석(2005~2013)" 대한사고개발학회 10 (10): 127-147, 2014
2 이영만, "통합교과에서의 사고력 계발." 8 (8): 45-63, 1994
3 장진희, "초등학교 사고력 신장 통합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고 기능 범위와 계열 설정 기초 연구"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8 (8): 105-125, 2014
4 이종섭,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인지발달 및 논리적 사고력 형성 수준 비교" 한국영재학회 23 (23): 335-354, 2013
5 김지은, "초등 실과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아동의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15 (15): 253-268, 2002
6 주웅영, "초등 사회과 역사학습에서 다관점 인식활동 : 1ㆍ2차 사료의 경합하는 견해의 해결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5-33, 2008
7 최선녀, "초등 국어교육에서의 창의적 동시 쓰기 지도 방안 - 빙고 놀이를 활용한 아이디어 생성과 관련하여 -" 한민족어문학회 61 (61): 379-421, 2012
8 조연순, "창의적․비판적 사고력과 교과 지식의 융합을 위한 교수-학습모형으로서의 문제중심학습(PBL) 고찰" 14 (14): 295-316, 2001
9 이신동, "영재교육을 위한 사고력의 구성개념 정립과 프로그램 개발" 한국영재교육학회 8 (8): 125-147, 2009
10 오인택, "역사적 사고력 배양을 위한 박물과 학습방안" 부경역사연구소 (13) : 113-148, 2003
1 김영환, "학술지 『사고개발』의 연구동향 분석(2005~2013)" 대한사고개발학회 10 (10): 127-147, 2014
2 이영만, "통합교과에서의 사고력 계발." 8 (8): 45-63, 1994
3 장진희, "초등학교 사고력 신장 통합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고 기능 범위와 계열 설정 기초 연구"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8 (8): 105-125, 2014
4 이종섭,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인지발달 및 논리적 사고력 형성 수준 비교" 한국영재학회 23 (23): 335-354, 2013
5 김지은, "초등 실과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아동의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15 (15): 253-268, 2002
6 주웅영, "초등 사회과 역사학습에서 다관점 인식활동 : 1ㆍ2차 사료의 경합하는 견해의 해결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5-33, 2008
7 최선녀, "초등 국어교육에서의 창의적 동시 쓰기 지도 방안 - 빙고 놀이를 활용한 아이디어 생성과 관련하여 -" 한민족어문학회 61 (61): 379-421, 2012
8 조연순, "창의적․비판적 사고력과 교과 지식의 융합을 위한 교수-학습모형으로서의 문제중심학습(PBL) 고찰" 14 (14): 295-316, 2001
9 이신동, "영재교육을 위한 사고력의 구성개념 정립과 프로그램 개발" 한국영재교육학회 8 (8): 125-147, 2009
10 오인택, "역사적 사고력 배양을 위한 박물과 학습방안" 부경역사연구소 (13) : 113-148, 2003
11 류충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이 초등 영재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149-169, 2012
12 최병훈, "수학적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영재학회 22 (22): 197-215, 2012
13 이지현, "수학적 사고력과 수학적 힘의 신장을 강조하는 한국과 미국 초등 수학 교과서 곱셈단원 사례 비교 분석: 학습자 수행 용어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147-172, 2005
14 신준식, "수학적 사고력 측정을 위한 수학 평가 도구의 개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5 (15): 619-640, 2011
15 김여칠, "사회과교육의 사고력 신장방안" 7 : 29-58, 1995
16 허경철, "사고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4 (4): 163-191, 1991
17 허경철,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Ⅳ)" 한국교육개발원 1990
18 곽병선, "사고력 교육의 논리" 29 (29): 7-16, 1989
19 허경철, "사고력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평가 방안 탐색"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119-141, 2013
20 김영채, "사고력 교육 : 이론과 실제" 유원북스 2013
21 이기우, "사고력 개발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연구" 1 (1): 1-27, 1997
22 황갑진, "비판적 사고와 사회과 탐구방법"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6 (16): 83-99, 2009
23 방선희, "비판적 사고 교육의 국내 연구동향과 시사점" 원격교육연구소 7 (7): 61-83, 2011
24 김상욱, "문학적 사고력과 토론의 중요성"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4 (24): 97-124, 2004
25 고대만, "도덕과교육에서 도덕적 사고와 도덕적 판단"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8 (38): 1-48, 2012
26 노희정, "대화식 교수법을 활용한 가치갈등 해결능력의 신장" 초등교육연구원 21 (21): 141-156, 2011
27 이미숙, "내용목표와 사고기능목표를 제시한 수업이 아동의 사고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학회 42 (42): 453-474, 2004
28 정지은,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동향 분석: 창의성 교육의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659-682, 2012
29 조연순,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분석: 창의성의 범주 및 수준을 중심으로" 한국영재학회 22 (22): 333-352, 2012
30 이진남, "국내 비판적 사고 및 창의적 사고 연구 동향에 대한 검토" 인문학연구원 45 (45): 407-438, 2013
31 엄준용, "교육정책평가 연구의 경향 분석 ― 「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36) : 29-55, 2010
32 현동걸, "과학적 사고력의 신장을 위한 과학비유탐구놀이 학습방법의구안" 17 (17): 61-73, 1998
33 조현철, "과학영재교육프로그램의 과학탐구력과 자기조절학습전략에 대한 효과"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1-22, 2013
34 양혜영, "‘생각하는 과학’활동을 경험한 초등 학생들의 논리 사고력 측면의 비판적 사고력 신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2 (32): 485-494, 2013
35 Beyer, B. K., "What research tells us about teaching thinking skills" 223-232, 2008
36 Lipman, M., "Thinking in edu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37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38 이기우, "SOI 프로그램이 아동의 지능 및 사고력 개발에 미치는 영향" 7 (7): 51-76, 1997
39 김태훈, "Kodu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이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과 학습 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6 (16): 13-22, 2013
40 Nickerson, R. S., "Kinds of thinking taught in current programs" 26-36, 1984
41 Dewey, J., "How we think" Prometheus Books 1991
42 Marzano, R. J., "Dimensions of thinking: A framework for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e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88
43 Paul, R., "Critical thinking: Tools for taking charge of your learning and your life" Pearson Prentice Hall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