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등학생 대상 사고력 교육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in Thinking Education: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969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thinking education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suggest future tasks with relation to thinking education. Towards this end, 147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thinking education published in Korea from 1994 to 2013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research purpose, theme, research subject, curriculum subject, thinking category, and research methodolog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spect of research purpose,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were increased and in particular, the majority of the studies among them were about the methodologies for thinking education. Second, in terms of research themes, the studies on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ethodologies and teaching models ranked high among the articles. Third, the majority of research subjects were 4th to 6th graders. Fourth, the curriculum subjects applied frequently in studies on thinking education were science,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Fifth, the active studies were implemented evenly in six thinking categories of this study, including creative, critical, logical, problem-solving and higher-order, content-specific, and other. Six, most of articles depended upon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literature reviews. In this study, we suggested future research tasks in terms of thinking education, such as expansion of theoretical discussion,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s, a balance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and so forth.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thinking education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suggest future tasks with relation to thinking education. Towards this end, 147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thinking educati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thinking education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suggest future tasks with relation to thinking education. Towards this end, 147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thinking education published in Korea from 1994 to 2013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research purpose, theme, research subject, curriculum subject, thinking category, and research methodolog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spect of research purpose,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were increased and in particular, the majority of the studies among them were about the methodologies for thinking education. Second, in terms of research themes, the studies on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ethodologies and teaching models ranked high among the articles. Third, the majority of research subjects were 4th to 6th graders. Fourth, the curriculum subjects applied frequently in studies on thinking education were science,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Fifth, the active studies were implemented evenly in six thinking categories of this study, including creative, critical, logical, problem-solving and higher-order, content-specific, and other. Six, most of articles depended upon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literature reviews. In this study, we suggested future research tasks in terms of thinking education, such as expansion of theoretical discussion,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s, a balance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and so fort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994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연구재단(KCI) 등재 및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초등학생 대상의 사고력 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관련 연구를 위한 발전과제를 탐색하는 것이다. 분석 논문 선정 원칙에 따라 총 147편의 논문이 선정되었고, 이를 연구목적, 연구주제, 연구대상, 교과, 사고력 유형, 연구방법 등 여섯 개의 분석준거와 그에 따른 하위 준거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목적 측면에서 2002년 이후 이론적 및 실증적 연구가 증가추세였고, 특히 사고력 교육 방법론 적용 효과에 대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둘째, 연구주제 측면은 교수방법 및 수업모형 개발과 효과검증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 분석결과, 4학년부터 6학년까지 상급학년 대상의 연구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넷째, 사고력 교육 적용 교과에서는 과학, 수학 그리고 사회과에 대한 연구가 절반이상을 차지했다. 다섯째, 사고력 유형과 관련해서는 창의적 사고를 비롯한 여섯 개 분류 영역에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여섯째,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와 문헌연구 중심의 편향된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이론적 연구 확대, 사고력 평가도구 개발, 연구대상 영역 확대, 사고력 적용 교과영역 다양화, 양적 및 질적연구의 균형 등 몇 가지 연구의 발전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1994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연구재단(KCI) 등재 및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초등학생 대상의 사고력 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관련 연구를 위한 발전과제를 탐...

      본 연구의 목적은 1994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연구재단(KCI) 등재 및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초등학생 대상의 사고력 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관련 연구를 위한 발전과제를 탐색하는 것이다. 분석 논문 선정 원칙에 따라 총 147편의 논문이 선정되었고, 이를 연구목적, 연구주제, 연구대상, 교과, 사고력 유형, 연구방법 등 여섯 개의 분석준거와 그에 따른 하위 준거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목적 측면에서 2002년 이후 이론적 및 실증적 연구가 증가추세였고, 특히 사고력 교육 방법론 적용 효과에 대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둘째, 연구주제 측면은 교수방법 및 수업모형 개발과 효과검증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 분석결과, 4학년부터 6학년까지 상급학년 대상의 연구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넷째, 사고력 교육 적용 교과에서는 과학, 수학 그리고 사회과에 대한 연구가 절반이상을 차지했다. 다섯째, 사고력 유형과 관련해서는 창의적 사고를 비롯한 여섯 개 분류 영역에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여섯째,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와 문헌연구 중심의 편향된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이론적 연구 확대, 사고력 평가도구 개발, 연구대상 영역 확대, 사고력 적용 교과영역 다양화, 양적 및 질적연구의 균형 등 몇 가지 연구의 발전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환, "학술지 『사고개발』의 연구동향 분석(2005~2013)" 대한사고개발학회 10 (10): 127-147, 2014

      2 이영만, "통합교과에서의 사고력 계발." 8 (8): 45-63, 1994

      3 장진희, "초등학교 사고력 신장 통합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고 기능 범위와 계열 설정 기초 연구"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8 (8): 105-125, 2014

      4 이종섭,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인지발달 및 논리적 사고력 형성 수준 비교" 한국영재학회 23 (23): 335-354, 2013

      5 김지은, "초등 실과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아동의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15 (15): 253-268, 2002

      6 주웅영, "초등 사회과 역사학습에서 다관점 인식활동 : 1ㆍ2차 사료의 경합하는 견해의 해결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5-33, 2008

      7 최선녀, "초등 국어교육에서의 창의적 동시 쓰기 지도 방안 - 빙고 놀이를 활용한 아이디어 생성과 관련하여 -" 한민족어문학회 61 (61): 379-421, 2012

      8 조연순, "창의적․비판적 사고력과 교과 지식의 융합을 위한 교수-학습모형으로서의 문제중심학습(PBL) 고찰" 14 (14): 295-316, 2001

      9 이신동, "영재교육을 위한 사고력의 구성개념 정립과 프로그램 개발" 한국영재교육학회 8 (8): 125-147, 2009

      10 오인택, "역사적 사고력 배양을 위한 박물과 학습방안" 부경역사연구소 (13) : 113-148, 2003

      1 김영환, "학술지 『사고개발』의 연구동향 분석(2005~2013)" 대한사고개발학회 10 (10): 127-147, 2014

      2 이영만, "통합교과에서의 사고력 계발." 8 (8): 45-63, 1994

      3 장진희, "초등학교 사고력 신장 통합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고 기능 범위와 계열 설정 기초 연구"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8 (8): 105-125, 2014

      4 이종섭,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인지발달 및 논리적 사고력 형성 수준 비교" 한국영재학회 23 (23): 335-354, 2013

      5 김지은, "초등 실과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아동의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15 (15): 253-268, 2002

      6 주웅영, "초등 사회과 역사학습에서 다관점 인식활동 : 1ㆍ2차 사료의 경합하는 견해의 해결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5-33, 2008

      7 최선녀, "초등 국어교육에서의 창의적 동시 쓰기 지도 방안 - 빙고 놀이를 활용한 아이디어 생성과 관련하여 -" 한민족어문학회 61 (61): 379-421, 2012

      8 조연순, "창의적․비판적 사고력과 교과 지식의 융합을 위한 교수-학습모형으로서의 문제중심학습(PBL) 고찰" 14 (14): 295-316, 2001

      9 이신동, "영재교육을 위한 사고력의 구성개념 정립과 프로그램 개발" 한국영재교육학회 8 (8): 125-147, 2009

      10 오인택, "역사적 사고력 배양을 위한 박물과 학습방안" 부경역사연구소 (13) : 113-148, 2003

      11 류충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이 초등 영재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149-169, 2012

      12 최병훈, "수학적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영재학회 22 (22): 197-215, 2012

      13 이지현, "수학적 사고력과 수학적 힘의 신장을 강조하는 한국과 미국 초등 수학 교과서 곱셈단원 사례 비교 분석: 학습자 수행 용어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147-172, 2005

      14 신준식, "수학적 사고력 측정을 위한 수학 평가 도구의 개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5 (15): 619-640, 2011

      15 김여칠, "사회과교육의 사고력 신장방안" 7 : 29-58, 1995

      16 허경철, "사고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4 (4): 163-191, 1991

      17 허경철,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Ⅳ)" 한국교육개발원 1990

      18 곽병선, "사고력 교육의 논리" 29 (29): 7-16, 1989

      19 허경철, "사고력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평가 방안 탐색"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119-141, 2013

      20 김영채, "사고력 교육 : 이론과 실제" 유원북스 2013

      21 이기우, "사고력 개발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연구" 1 (1): 1-27, 1997

      22 황갑진, "비판적 사고와 사회과 탐구방법"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6 (16): 83-99, 2009

      23 방선희, "비판적 사고 교육의 국내 연구동향과 시사점" 원격교육연구소 7 (7): 61-83, 2011

      24 김상욱, "문학적 사고력과 토론의 중요성"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4 (24): 97-124, 2004

      25 고대만, "도덕과교육에서 도덕적 사고와 도덕적 판단"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8 (38): 1-48, 2012

      26 노희정, "대화식 교수법을 활용한 가치갈등 해결능력의 신장" 초등교육연구원 21 (21): 141-156, 2011

      27 이미숙, "내용목표와 사고기능목표를 제시한 수업이 아동의 사고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학회 42 (42): 453-474, 2004

      28 정지은,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동향 분석: 창의성 교육의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659-682, 2012

      29 조연순,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분석: 창의성의 범주 및 수준을 중심으로" 한국영재학회 22 (22): 333-352, 2012

      30 이진남, "국내 비판적 사고 및 창의적 사고 연구 동향에 대한 검토" 인문학연구원 45 (45): 407-438, 2013

      31 엄준용, "교육정책평가 연구의 경향 분석 ― 「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36) : 29-55, 2010

      32 현동걸, "과학적 사고력의 신장을 위한 과학비유탐구놀이 학습방법의구안" 17 (17): 61-73, 1998

      33 조현철, "과학영재교육프로그램의 과학탐구력과 자기조절학습전략에 대한 효과"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1-22, 2013

      34 양혜영, "‘생각하는 과학’활동을 경험한 초등 학생들의 논리 사고력 측면의 비판적 사고력 신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2 (32): 485-494, 2013

      35 Beyer, B. K., "What research tells us about teaching thinking skills" 223-232, 2008

      36 Lipman, M., "Thinking in edu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37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38 이기우, "SOI 프로그램이 아동의 지능 및 사고력 개발에 미치는 영향" 7 (7): 51-76, 1997

      39 김태훈, "Kodu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이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과 학습 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6 (16): 13-22, 2013

      40 Nickerson, R. S., "Kinds of thinking taught in current programs" 26-36, 1984

      41 Dewey, J., "How we think" Prometheus Books 1991

      42 Marzano, R. J., "Dimensions of thinking: A framework for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e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88

      43 Paul, R., "Critical thinking: Tools for taking charge of your learning and your life" Pearson Prentice Hall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7 1.48 2.19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