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은혜의 수단인 기도로서의 시편 찬송에 대한 칼빈의 이해 = Calvin’s Understanding on the Psalmody as a Means of Gr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159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칼빈은 기독교강요 초판을 쓸 때부터 찬송을 기도의 한 종류라고 생각하였다. 그는 이러한 생각을 발전시켜 1537년의 제네바 교회의 조직과 예배를 위한 초안에서 공예배에 시편 찬송을 부를 것을 제안하였다. 그는 제네바 개혁에 실패한 후에 스트라스부르그에 정착하자마자 그곳에서 개혁활동을 하던 마틴 부처의 영향을 받으면서 시편찬송가집을 발간하여 프랑스어로 시편 찬송을 불렀다. 이 때 그가 마로의 도움을 받으면서 편집했던 시편 찬송가들은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보다는 탄식과 기원의 찬송들이 주류였다. 그는 이러한 자신의 실천을 반영하여 기독교강요 2판에서는 살전 5장 17절의 쉬지 말고 기도하라는 내용을 공기도에도 적용될 있다고 해석하여 자주 모여 공적 기도를 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는 1541년 제네바로 돌아온 직후인 1542년과 1543년에 연이어 예식서를 출판하였다. 그는 이 두 예식서의 서문으로 독자에게 보내는 편지를 썼는데, 이 두 편지에서 자신의 기도로서의 찬송에 대한 견해를 더욱 발전시켰다. 1542년에 그는 그때까지의 견해와 동일하게 기도로서의 찬송이란 견해를 유지하면서, 세속 음악과 교회 음악을 나눈다. 그리고 설교, 기도, 성례를 하나님께서 명령하신 세 가지 은혜의 수단으로 언급하는데, 여기서 찬양을 기도에 포함시킨다. 그는 1543년 판에서는 찬양이 교회 밖에서도 하나님을 묵상하는 수단으로 가정과 들판에서 사용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는 기도의 수단인 찬양에서 곡조가 더 중요한데, 하나님을 찬양하는 데는 하나님께로부터 받은 것이 가장 적합하기 때문에 다윗의 영감된 시편을 사용해야 하고, 곡조로서는 무게가 있고 장엄해야 하며 부르기에 적절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곡조로 제네바에서 교회 선법이 주로 사용되어 간결하면서도 가사 전달에 적합한 단음 찬송가가 불려졌다. 이러한 칼빈의 노력들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송영으로서의 찬송의 성격과 함께 은혜의 수단으로서의 기도의 성격이 조화를 이룬 것이라 판단된다.
      번역하기

      칼빈은 기독교강요 초판을 쓸 때부터 찬송을 기도의 한 종류라고 생각하였다. 그는 이러한 생각을 발전시켜 1537년의 제네바 교회의 조직과 예배를 위한 초안에서 공예배에 시편 찬송을 부를...

      칼빈은 기독교강요 초판을 쓸 때부터 찬송을 기도의 한 종류라고 생각하였다. 그는 이러한 생각을 발전시켜 1537년의 제네바 교회의 조직과 예배를 위한 초안에서 공예배에 시편 찬송을 부를 것을 제안하였다. 그는 제네바 개혁에 실패한 후에 스트라스부르그에 정착하자마자 그곳에서 개혁활동을 하던 마틴 부처의 영향을 받으면서 시편찬송가집을 발간하여 프랑스어로 시편 찬송을 불렀다. 이 때 그가 마로의 도움을 받으면서 편집했던 시편 찬송가들은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보다는 탄식과 기원의 찬송들이 주류였다. 그는 이러한 자신의 실천을 반영하여 기독교강요 2판에서는 살전 5장 17절의 쉬지 말고 기도하라는 내용을 공기도에도 적용될 있다고 해석하여 자주 모여 공적 기도를 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는 1541년 제네바로 돌아온 직후인 1542년과 1543년에 연이어 예식서를 출판하였다. 그는 이 두 예식서의 서문으로 독자에게 보내는 편지를 썼는데, 이 두 편지에서 자신의 기도로서의 찬송에 대한 견해를 더욱 발전시켰다. 1542년에 그는 그때까지의 견해와 동일하게 기도로서의 찬송이란 견해를 유지하면서, 세속 음악과 교회 음악을 나눈다. 그리고 설교, 기도, 성례를 하나님께서 명령하신 세 가지 은혜의 수단으로 언급하는데, 여기서 찬양을 기도에 포함시킨다. 그는 1543년 판에서는 찬양이 교회 밖에서도 하나님을 묵상하는 수단으로 가정과 들판에서 사용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는 기도의 수단인 찬양에서 곡조가 더 중요한데, 하나님을 찬양하는 데는 하나님께로부터 받은 것이 가장 적합하기 때문에 다윗의 영감된 시편을 사용해야 하고, 곡조로서는 무게가 있고 장엄해야 하며 부르기에 적절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곡조로 제네바에서 교회 선법이 주로 사용되어 간결하면서도 가사 전달에 적합한 단음 찬송가가 불려졌다. 이러한 칼빈의 노력들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송영으로서의 찬송의 성격과 함께 은혜의 수단으로서의 기도의 성격이 조화를 이룬 것이라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alvin considers the Psalm singing as a kind of prayer from the first edition of the Institutes of Christian Religion. The singing as a prayer is not a private prayer, but the public prayer as the thanksgiving at the worship assembly. His opinion that the Psalm song is a kind of public prayer didn’t change until his death. Therefore we know that Calvin's Psalm songs have both side such as a doxological character and a means of grace. From the doxological side we praise the God’s glory in the presence of the God and angels. And from the side of a means of grace, the Psalm singing are to be like the needles to arouse us to pray and praise God, to mediate on his works, in order to love him, fear, honor and glory him. Calvin argued that we must use the Psalms for the letter of the song because we can‘t sing things worthy of God unless we have received them from him. He used the church mode for melody in order to transmit the meaning of the letter clearly and to have weight and majesty. Accordingly in the consideration of the music theology of Calvin, the contemporary singing’s letter will be written on the God’s words and its melody must avoid the tune to excite the human sense and use the weighty and majestic tune. Today when we praise, we have to understand prayer’s both side of the doxological character and the means of grace.
      번역하기

      Calvin considers the Psalm singing as a kind of prayer from the first edition of the Institutes of Christian Religion. The singing as a prayer is not a private prayer, but the public prayer as the thanksgiving at the worship assembly. His opinion that...

      Calvin considers the Psalm singing as a kind of prayer from the first edition of the Institutes of Christian Religion. The singing as a prayer is not a private prayer, but the public prayer as the thanksgiving at the worship assembly. His opinion that the Psalm song is a kind of public prayer didn’t change until his death. Therefore we know that Calvin's Psalm songs have both side such as a doxological character and a means of grace. From the doxological side we praise the God’s glory in the presence of the God and angels. And from the side of a means of grace, the Psalm singing are to be like the needles to arouse us to pray and praise God, to mediate on his works, in order to love him, fear, honor and glory him. Calvin argued that we must use the Psalms for the letter of the song because we can‘t sing things worthy of God unless we have received them from him. He used the church mode for melody in order to transmit the meaning of the letter clearly and to have weight and majesty. Accordingly in the consideration of the music theology of Calvin, the contemporary singing’s letter will be written on the God’s words and its melody must avoid the tune to excite the human sense and use the weighty and majestic tune. Today when we praise, we have to understand prayer’s both side of the doxological character and the means of gra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는 말
      • 2.1 부처(Martin Bucer, 1491-1551)의 기도로서의 찬양에 대한 이해
      • 2.2 칼빈의 기도로서의 찬송 이해
      • 3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1 들어가는 말
      • 2.1 부처(Martin Bucer, 1491-1551)의 기도로서의 찬양에 대한 이해
      • 2.2 칼빈의 기도로서의 찬송 이해
      • 3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영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일웅, "칼빈의제네바교회예배와예전실제에관한연구" (300) : 9-53, 2009

      2 하재송, "칼빈의교회음악사상과교회음악의개혁주의적원리" 27 : 466-495, 2008

      3 이승희, "칼빈의교회음악사상, In 정규오목사정년은퇴기념논총" 385-409, 1999

      4 오광만, "칼빈의 '제네바 시편찬송가 : 평가와 21세기 한국장로교회 찬송을 위한 제안" 개혁신학회 11 : 87-128, 2009

      5 박희석, "칼빈과음악" (275) : 72-110, 2003

      6 주성희, "교회음악역사적발전에비쳐본칼빈의음악신학" 12 : 169-206, 1993

      7 강경림, "「제네바시편성가집서문」에나타난칼빈의음악관" 14 : 139-158, 1994

      8 Calvin, John, "“The Author’s Preface,” In Commentary on the Book of Psalms. Vol. 1" Baker 1979

      9 Butler, Bartlett R., "“Hymns.”In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Reformation. Vol. 2"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0 Old, Hugh Oliphant, "Worship: Reformed According to Scriptur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2

      1 정일웅, "칼빈의제네바교회예배와예전실제에관한연구" (300) : 9-53, 2009

      2 하재송, "칼빈의교회음악사상과교회음악의개혁주의적원리" 27 : 466-495, 2008

      3 이승희, "칼빈의교회음악사상, In 정규오목사정년은퇴기념논총" 385-409, 1999

      4 오광만, "칼빈의 '제네바 시편찬송가 : 평가와 21세기 한국장로교회 찬송을 위한 제안" 개혁신학회 11 : 87-128, 2009

      5 박희석, "칼빈과음악" (275) : 72-110, 2003

      6 주성희, "교회음악역사적발전에비쳐본칼빈의음악신학" 12 : 169-206, 1993

      7 강경림, "「제네바시편성가집서문」에나타난칼빈의음악관" 14 : 139-158, 1994

      8 Calvin, John, "“The Author’s Preface,” In Commentary on the Book of Psalms. Vol. 1" Baker 1979

      9 Butler, Bartlett R., "“Hymns.”In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Reformation. Vol. 2"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0 Old, Hugh Oliphant, "Worship: Reformed According to Scriptur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2

      11 Witvliet, John D., "The Spirituality of the Psalter: Metrical Psalms in Liturgy and Life in Calvin’s Geneva" 32 : 273-297, 1997

      12 Faber, R, "The Reformers on Psalms and Hymns in Public Worship" 50 (50): 2001

      13 Quitslund, Beth, "The Reformation in rhyme: Sternhold, Hopkins and the English metrical Psalter, 1547-1603" Ashgate 2008

      14 Old, Hugh Oliphant, "The Reading and Preaching of the Scriptures in the Worship of the Christian Church: Vol. 4. The Age of Reformation"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2

      15 Deddens, K., "The Origin of our Psalm Melodies" 36 (36): 1987

      16 Garside, Jr, Charles, "The Origin of Calvin’s Theology of Music, 1536-1543" The American Philosophy Society 1979

      17 John, Terry, "The History of Psalm Singing in the Christian Church" Erskine Seminary 2009

      18 Calvin, John, "The Form of Prayers and Songs of the Church 1542: Letter to the Reader" 15 (15): 1980

      19 Roper, Cecil M., "Strasbourg and the Origin of Metrical Psalmody" 49 (49): 1998

      20 Wright, D. F., "Martin Bucer: Reforming Church and Community" Cambridge University 1994

      21 Greschat, Martin, "Martin Bucer: A Reformer and His Times"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4

      22 Calvin, John, "Joannis Calvini Opera Selecta" Kaiser 1926

      23 Calvin, Joh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1541 French Edition)"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9

      24 Pidoux, Pierre, "History of the Genevan Psalter 1" 1 (1): 1989

      25 Old, Hugh Oliphant, "Daily Prayer in the Reformed Church of Strasbourg, 1525-1530" 50 : 1978

      26 Brink, E. R., "A Reformed Approach to Psalmody: the Legacy of the Genevan Psalter" 56 :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21-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4-0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개혁신학회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Reformed Theology
      KCI등재후보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Reformed Journal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59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