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Legal Needs Survey Hyungmin Bark Jeongjae Lim Misuk Park Dokook Lee Sungho Kim 1. Background ○ Research Need ● Access to legal assistance is not the same for everyone, and the ability to resolve legal issues fairly and exercise one’s righ...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1766369
2024년
Korean
국가정책연구포털(NKIS)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2024 Legal Needs Survey Hyungmin Bark Jeongjae Lim Misuk Park Dokook Lee Sungho Kim 1. Background ○ Research Need ● Access to legal assistance is not the same for everyone, and the ability to resolve legal issues fairly and exercise one’s righ...
2024 Legal Needs Survey
Hyungmin Bark
Jeongjae Lim
Misuk Park
Dokook Lee
Sungho Kim
1. Background
○ Research Need
● Access to legal assistance is not the same for everyone, and the ability to resolve legal issues fairly and exercise one’s rights is also not the same
● In general, groups with insufficient socioeconomic resources have insufficient legal resources available and thus lack the ability to resolve problems. This can cause other problems
● The various problems that individuals face and the possibility of resolving them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lives. The demand for legal services arises when citizens or businesses demand legal service support to solve problems.
● Most of the assets of the people are concentrated in real estate such as land and housing.
●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land and housing-related problems is not absolutely high, but once they occur, serious financial losses occur.
● Large-scale transactions also occur during real estate transactions, but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legal protection or assistance for these.
●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sent practical legal policies by understanding the process and results of resolving land and housing-related problems and disputes.
○ Research Purpose
●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people with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those who face them, not from the perspective of legal experts or government agencies.
● Identify the weaknesses in legal support provided to the people and produce important basic data to supplement them.
2. Research Method
○ Survey
●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establish an empirical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how everyday problems arise, are experienced, and resolved, and how laws and institutional systems influence these processes.
● In particular, the 2024 survey focuses on examining citizen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related to housing, land, and commercial property issues.
● From September 11 to October 28, 2024, a face-to-face interview survey (TAPI, using tablet PCs) was conducted with 2,802 men and women aged 20 to 80, nationwide.
● The main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includes general perceptions of the law; experiences with acquiring and losing rights to housing, land, and commercial properties; related transaction processes; experiences with housing/land/commercial property problems and dispute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3. Research Findings
○ General Perception of the Law
● 79.6% of respondents believed that laws are well observed in our society, indicating a generally positive outlook. Among those who disagreed, the most frequently cited reason was “because the law is unfair” (31.6%).
● Additionally, as a way to avoid harm in daily life, “knowing the law well” received the highest score of 3.23 (on a 4-point scale)
○ Information Accessibility
● “Internet portal news” was the most commonly used source for useful daily-life information and legal knowledge, followed by television. These two sources show contrasting usage trends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ggesting a tendency toward media preference polarization.
○ Legal Knowledge and Trust
● At the societal level, the statement “People in our country have the capacity to respond appropriately if a legal problem arises” had the highest average score of 2.88. Meanwhile, the statement “Legal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s currently well-conducted” scored lower (2.68), indicating a recognized need to improve legal education.
● At the individual level, the statement “If I encounter a legal problem, I can obtain the necessary professional help” scored the highest (2.86), and most individual-level items scored above 2.7, reflecting a generally high level of perceived individual legal capability.
○ Experience in Acquiring and Losing Housing/Land/Commercial Property
● The rate of transaction experience was highest for housing, followed by land, and then commercial property.
● In all categories, the most common method of acquiring and losing rights was “through a licensed real estate agent,” demonstrating the key role these agents play in the process.
○ Difficulties in the Transaction Process
●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difficulties during transactions were: securing funds for housing, taxation issues for land, and obtaining property listings for commercial properties.
● During contract negotiations, the most challenging issues were negotiating the purchase price for housing and land, and negotiating lease conditions for commercial properties.
○ Experience with Support Programs Related to Housing/Land/Commercial Property
● Regarding awareness rates of government-provided programs, for housing, the Public Rental Housing Program had the highest recognition rate, for land it was the Moving Expense Support for Redevelopment, and for commercial property, the Small Business Policy Fund.
● Among those aware of each program, the highest actual usage rates were Housing Purchase Loan Support for housing, Facility Funding Support for land, and Small Business Policy Fund for commercial property.
● The most common channels for learning about government-provided programs and legal support organizations were television, followed by internet portal news, and then acquaintances.
● The primary reason for not using government-provided programs or legal support was “because I didn’t need them.” Excluding this, “I thought I wouldn’t qualify,” “I’m not interested,” and “I’m not sure how or what the procedures are” ranked high. Thus, when promoting these programs, it is essential to provide detailed guidance on eligibility, application procedures, and also emphasize the necessity and benefits of these policies.
○ Awareness of Legal Support Organizations Related to Housing/Land/Commercial Property
● The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had the highest recognition rate among legal support organizations. Television was the most common source of awareness, followed by internet portal news and acquaintances.
● Among those aware of such organizations,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had the highest usage rate, while “Real Estate Legal Home Doctor”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rate.
● In terms of the need for legal support programs and policies, there was strong demand for dispute mediation related to apartment management by both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ndicating a high need for resolving multi-family housing disputes.
○ Experiences with Housing/Land/Commercial Property Problems and Disputes
● Among all respondents, 4.1% had experienced problems related to housing, 0.8% related to land, and 2.0% related to commercial properties, all of which were very low response rates.
● Over their lifetimes, respondents most frequently experienced daily life-related issues with housing, taxation issues with land, and interior repair/renovation issues with commercial properties. The order of perceived severity of these issues matched these categories as well.
○ Main Causes of the Problems
● Across all categories, “my own lack of experience/knowledge/education” was the most commonly cited cause. Causes related to the other party—such as intentional actions or carelessness—also had relatively high response rates.
● Among social causes, conflicts between interested groups were frequently mentioned for housing and commercial properties, while long-standing social practices in Korea were more often mentioned for land issues.
○ Sources of Assistance
● Common sources of information to solve problems included acquaintances, internet portal blogs/cafes, and internet portal news. For land, the response rate for television was higher than for housing or commercial properties, while the rate for blogs/cafes was lower.
● When seeking advice or explanations, “family/relatives” was the most common source for housing and land, whereas “real estate agents” were the most common for commercial properties, indicating differences by category.
● Reasons for not seeking advice differed by category: For housing, it was “the problem was resolved without needing advice”; for land, “I was worried it would damage my relationship with the other party”; and for commercial property, “I didn’t think it would have any effect.”
○ Taking Action on the Problem
● Actions taken varied by category: for housing, reporting to judicial authorities was most common; for land, taking official action through an institution was most common; and for commercial property, participation in official mediation or arbitration was most common.
○ Outcomes of the Problem
● Across all categories, most problems arose after 2020 and were eventually resolved.
● In terms of how problems concluded, mutual agreement between the respondent and the other party was typically the most common resolution method.
● The main reason for abandoning the problem in all categories was that respondents felt “psychologically drained or stressed.”
● Overall, respondents generally perceived the resolution process as fair.
● Among those who considered it unfair, the reasons differed by category. However, in housing and land disputes,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pointed to the limitations of the law.
○ Costs of Resolving the Problem
● The most commonly reported cost was for “phone calls and correspondence,” which also appeared frequently among items requiring financial support, indicating communication costs were a significant expense.
● Regarding the total amount spent on resolving issues, for housing and commercial properties, the most common range was KRW 100,000 to less than KRW 500,000. For land, the most common range was KRW 10,000 to less than KRW 100,000.
○ Damages Experienced Due to Legal Issues
● High levels of stress, psychological problems, and property damage were commonly reported across all categories as top forms of harm experienced.
○ Focus Group Interview
●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Emphasize structural problems (lack of information, lack of legal knowledge) and emotional/psychological difficulties experienced as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 Residents of towns and villages: Rely on informal problem-solving through internet cafes, acquaintances, friends, etc., and demand quick and accessible legal support services
● Low-income residents: Hesitant to actively request public institutions such as management offices due to fear of termination of public rental contracts. Strong need for a public arbitration system
● Victims of ‘Jeonse’ fraud: Complaints of mental stress along with financial loss. Request simplification of complex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prompt administrative/legal measures after reporting damages
● Experienced gentrification: Request for systems that can protect tenants’ rights, such as regulations on rent and management fee increases and provision of standard contracts to prevent unfair conditions
● Experienced redevelopment/reconstruction: Pointed out lack of information related to redevelopment procedures, and requested public intervention for transparent operation of associations and specialized institutions to mediate disputes arising during the redevelopment process
4. Policy Recommendations
○ Housing
● Prevention of jeonse fraud and protection of victims: expansion of jeonse deposit guarantee fund, establishment of real estate transaction information disclosure platform, establishment of a center dedicated to victim relief
● Expansion of public rental housing supply and reinforcement of loan support: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tailored to youth and the elderly, rental fee linkage support program, expansion of jeonse fund loans and relaxation of conditions
● Improvement of transaction transparency and safety: provision of integrated online listing information platform, introduction of transaction verification system, introduction of blockchain-based transaction system, reinforcement of real estate agent certification
○ Land
● Support for small-scale land transactions: customized support for townships and villages, reinforcement of the role of brokers
● Improvement of compensation for land in development areas: standardization of land compensation standards, establishment of compensation dispute resolution organization
● Conservation and efficiency of agricultural land utilization: reinforcement of agricultural land bank, prevention of illegal conversion of agricultural land, idle land utilization program
● Resolution of neighboring relationship issues: adjustment center for inter-floor noise and disturbance of daily life, support for noise reduction devices
○ Commercial Sector
● Protection of key money and resolution of disputes: mandatory standard contract for commercial key money, commercial district revitalization project, commercial dispute mediation Center
● Gentrification mitigation: Designation of local commercial protection zones, introduction of rent caps
● Expansion of public rental stores
○ Strengthening Legal Accessibility
● Strengthening legal services: Expansion of village lawyers, legal mobility services, legal support centers for vulnerable groups
● Improving information accessibility: Real estate legal information platform, video-based legal education content, utilization of TV and internet news
● Strengthening legal education: Improvem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gal education, legal workshops for adults
○ Specialized Support by Gender and Age
● Youth: expanding monthly rent subsidies, integrated portal for youth housing policies
● Seniors: senior housing maintenance subsidies, shared housing programs
● Women: strengthening legal counseling for women, commercial support for female entrepreneurs
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필요성 및 연구목적 연구 필요성 ● 법률적 도움에 대한 접근 가능성은 모든 사람들에게 동일하지 않으며, 법적인 문제를 정당하게 해결하고 자신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능력 ...
1. 연구필요성 및 연구목적
연구 필요성
● 법률적 도움에 대한 접근 가능성은 모든 사람들에게 동일하지 않으며, 법적인 문제를 정당하게 해결하고 자신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능력 역시 동일하지 않음
● 일반적으로 사회경제적 자원이 부족한 집단의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법적인 자원이 부족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부족. 이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
● 개인이 겪게되는 여러 가지 문제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은 개인의 삶에 상당한 영향을 끼침. 법무 수요는 시민이나 기업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법률서비스의 지원을 요구할 때 발생
● 자산 중 대부분이 토지 및 주택 등 부동산에 집중되어 있는 국민들이 다수
● 토지 및 주택 관련 문제 발생 빈도가 절대적으로 많은 것은 아니지만, 일단 한번 발생하고 나면 심각한 재산상의 손실이 발생
● 부동산거래 과정에서도 거액의 거래가 발생하지만 이에 대한 법률적 보호나 조력에 대해서는 조사된 바가 없음
● 아울러 토지 및 주택 관련 문제 및 분쟁해결 과정과 결과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실질적인 법무정책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
연구 목적
● 사법전문가나 국가기관의 관점이 아니라 문제를 직면하는 사람들의 관점에서, 사람들에게 발생하는 문제의 경험을 파악
● 국민에게 제공되는 법무 지원의 취약점을 파악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자료 생산
연구 동향
● 국민이 일상 생활에서 주택과 관련하여 경험할 수 있는 중요한 법률관계로는 주로 주택 매매, 임대차, 증여, 상속 등이라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입법 조치 및 각종 정부정책이 시행 중인데, 학계에서의 최근 많은 문헌들은 특히 국민의 주거안정의 관점에서 문제되고 있는 주택임대차 시장의 안정화를 둘러싼 논의를 중심으로 연구되는 경향으로 파악됨
- 2020년에는 계약갱신요구권과 전월세상한제가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도입되었고 이에 따라 입법을 통한 영향을 분석하고 예견가능한 보완점을 제안하는 연구들이 상당수 진행된 것으로 확인됨
- 개정 초기에는 주로 주택임대차보호법상 개정 사항에 대한 실효성을 둘러싼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고 평가됨
-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에 따른 계약갱신요구권 행사 여부를 통한 2년 기간의 연장과 같은 법현실과 맞물려 발생가능한 여러 문제점에 착안하여 판례를 검토하며 법・정책적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분석하는 문헌연구 또는 실태조사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됨
- 2023년 이후에는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제기된 보증금 반환 지연 문제(이른바 전세사기 등)와 같은 주요 이슈에 대하여 원인분석 및 공사법적・정책적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및 개정 이후 법적 분쟁에 따라 등장한 여러 대법원 판례에 대한 평석 등이 다양하게 소개됨
● 토지 분야에서 학계 및 실무계의 정책 개선논의가 집중되고 있는 분야는 크게 토지거래허가제, 토지보상제도, 부동산등기제도 그리고 생활방해(상린관계) 등임
- 토지거래허가제와 관련해서는 토지거래허가 의무화와 거래 실무의 괴리에서 오는 문제점과 그 대안으로 일정 면적 이하의 소규모 토지에 대한 특례규정을 삭제하거나, 허가면제 범위를 축소하는 입법론을 제시한 연구들이 수행됨
- 토지수용으로 인한 손실보상과 관련해서는 현행 보상법제의 문제점과 헌법상 정당보상을 실현하기 위한 영업손실보상, 생활보상 등의 문제를 검토한 연구들이 수행됨
- 부동산 등기제도와 관련해서는 현행법상 등기의 공신력을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보완방안으로 부동산등기의 공신력 인정, 등기관에 대한 실질적 심사권 부여 등의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한 연구들이 이루어짐
- 생활방해 문제와 관련해서는 층간소음 등 현재 사회적으로 문제되는 생활방해 유형과 그 불법행위 책임의 성립요건에 관한 연구가 다수 수행됨
● 상가분야에서는 상가의 권리금과 재건축・재개발 등으로 인한 상가철거 시 영업손실보상 문제, 상가임대차분쟁조정제도 등에 관한 연구가 다수 수행됨
- 상가의 권리금과 관련해서는 권리금의 재산권성 및 권리금의 유형, 권리금 회수기회 보호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짐
- 재건축・재개발 등으로 인한 상가철거 시 상가 임차인의 영업손실 보상과 관련해서는 현행 보상법제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보완방안으로 토지보상법 등의 개정안을 제시한 연구가 수행됨
- 아울러 최근 상가임대차분쟁조정회의 분쟁 사례가 집적되면서 이에 대한 분석 및 제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짐
2. 연구방법
설문조사
● 본 조사의 목적은 사람들 일상의 문제가 어떻게 발생하고, 경험하고, 해결하는데 법과 제도적 시스템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기 위한 경험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함임.
● 특히, 2024년 조사에서는 주택, 토지, 상가 관련 문제에 관한 국민들의 경험과 인식을 조사함.
● 2024년 9월 11월부터, 10월 28일까지 전국 20세 이상-80세 이하 남녀 2,802명을 대상으로 태블릿PC를 이용한 대면면접조사(TAPI)를 실시함
● 설문지의 주요 내용은 법에 대한 일반 인식, 주택/토지/상가 권리 취득 및 상실 경험과 거래과정, 주택/토지/상가 문제 및 분쟁 경험, 사회인구학적 특성으로 구성됨.
3. 주요 연구내용
법에 대한 일반 인식
● 우리 사회의 법이 잘 지켜지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79.6%로 긍정적인 양상을 보임.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사람들 중 그 원인으로 ‘법이 불공평하기 때문에’가 31.6%로 가장 높은 응답비율을 보임
● 일상생활에서 피해를 입지 않는 방법으로는 ‘법을 잘 알아야 한다’가 3.23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정보접근성
● 생활에 유익한 정보와 법에 대한 지식을 얻는 출처 모두 ‘인터넷 포털 뉴스’의 응답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TV가 두 번째로 높았음. 두 항목은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상반된 응답 경향을 보이며, 선호매체가 양분화되는 경향을 보임
법지식과 신뢰
● 사회적 수준의 법지식과 신뢰정도를 확인한 결과, ‘우리나라 사람들은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이 있다’의 평균이 2.88으로 가장 높았음. ‘현재 초중고등학교에서의 법 교육이 잘되고 있다’의 평균점수는 낮게 나타나(2.68) 법 교육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나타남
● 개인적 수준의 법지식과 신뢰정도를 확인한 결과, ‘나는 나에게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경우 필요한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가 평균 2.86로 가장 높았으며, 대부분 2.7이상의 높은 평균점수를 보임
주택/토지/상가 권리 취득 및 상실경험
● 주택(90.9%), 토지(15.1%), 상가(11.3%) 순으로 경험비율이 높았음.
● 권리 취득 및 상실 방법은 공통적으로 ‘공인중개사를 통한’ 취득/상실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공인중개사가 그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줌
주택/토지/상가 거래과정의 어려움
● 거래과정의 어려움으로 주택은 자금마련(29.5%), 토지는 과세문제(26.8%), 상가는 매물정보 획득(40.3%)의 응답비율이 가장 높았음.
● 계약조건 협의 중 어려웠던 내용으로는 주택과 토지는 대금 협상(50.2%, 73.5%), 상가는 임대 조건 협상(47.6%)이 가장 높은 응답비율을 보임
주택/토지/상가 관련 지원 프로그램 이용경험
● 정부제공 지원 프로그램의 인지비율을 확인한 결과, 주택은 공공임대주택 사업(83.5%), 토지는 재개발 이사비(53.1%), 상가는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35.7%)의 인지비율이 가장 높았음
● 각 프로그램을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실제 이용경험을 확인한 결과, 주택은 주택 구입자금 대출 지원(30.5%), 토지는 시설자금 지원(4.7%),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7.2%)의 이용경험이 가장 높았음
● 정부제공 프로그램 및 법률지원기관 인지 방법은 공통적으로 TV가 가장 높고, 인터넷 포털 뉴스, 주위사람들 순이었음
● 정부제공 프로그램 및 법률지원기관을 사용하지 않은 이유로는 공통적으로 ‘필요하지 않아서’의 응답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이를 제외할 경우 공통적으로 ‘자격이 안될 것 같아서’, ‘관심이 없어서’, ‘신청방법과 절차를 잘 몰라서’순으로 응답비율이 높았음. 프로그램 홍보시 자격 조건, 신청 방법 및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는 물론 정책의 필요성과 혜택을 강조할 필요가 있음
주택/토지/상가 관련 법률지원기관 인지 여부
● 법률지원기관 인지 여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가 가장 높았으며(86.7%), 법률지원기관 인지 경로는 TV(68.1%), 인터넷 포털뉴스(60.4%), 주위 사람들 순(27.8%)임.
● 법률지원기관을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실제 이용 경험을 확인한 결과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이용비율이 가장 높았으며(6.7%), 이용 만족도는 부동산법률홈닥터(3.44)가 가장 높음
● 법률 지원 프로그램 및 정책의 필요성으로는 중앙정부의 공동주택관리 관련 분쟁조정(3.83), 지방자치단체의 공동주택관리 관련 분쟁조정(3.82)이 높은 점수를 보여, 공동주택 관련 분쟁조정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주택/토지/상가 관련 문제 및 분쟁경험
● 전체 응답자 중 주택 관련 문제를 경험한 사람은 4.1%, 토지 관련 문제를 경험한 사람은 0.8%, 상가 관련 문제를 경험한 사람은 2.0%로 매우 낮은 응답 비율을 보임.
● 일생동안 경험한 문제 및 분쟁의 유형 살펴보면 주택의 경우 생활문제(2.6%), 토지의 경우 과세 문제(0.5%), 상가의 경우 내부 수리 및 인테리어(0.7%) 문제 경험 비율이 가장 높음. 심각성의 순위 또한 동일하였음
문제의 주된 발생원인
● 공통적으로 ‘나의 경험/지식/교육의 부족’의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주택 48.9%, 토지 61.0%, 상가 53.3%), 상대방과 관련된 원인(상대방의 고의적 행동, 상대방의 부주의/실수)의 응답비율도 다소 높은 편이었음
● 사회적인 원인 중에서는 이해집단 간 갈등(주택, 상가)이나 한국 사회의 관행(토지)이 높은 비율을 보인 편이었음
도움의 출처
● 문제해결을 위한 정보의 출처로는 주위사람들, 인터넷 포털 블로그/카페, 인터넷 포털뉴스가 높은 응답비율을 보였음. 그러나 토지는 주택, 상가영역에 비해 TV의 응답비율은 높고, 인터넷 포털 블로그/카페의 응답비율은 낮은 경향을 보임.
● 문제 발생 시 정보, 조언, 설명을 구한 대상은 주택과 토지 영역은 ‘가족, 친인척’(33.8%, 33.6%), 상가 영역은 ‘부동산 중개인’(44.9%)의 응답비율이 가장 높아 상이한 양상을 보임
● 조언을 구하지 않은 원인으로는 주택은 ‘조언을 구할 필요 없이 문제가 해결됨’(31.8%), 토지는 ‘상대방과의 관계를 해칠 것 같아서’(51.4%), 상가는 ‘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음’(43.0%)의 응답비율이 가장 높아 영역별로 상이하였음
문제 조치 경험
● 문제 조치경험의 경우, 주택은 사법기관의 신고(9.0%), 토지는 공식적 기관을 통한 조치(8.1%), 상가는 공식적 조정·중재 참여(7.6%)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임
문제의 결과
● 모든 영역에서 문제 시작 시점으로 2020년 이후의 응답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대부분의 문제가 해결된 것으로 나타남
● 문제의 마무리 방식은 주택과 상가의 경우 ‘귀하와 상대방 간 합의’가 가장 높은 응답비율을 보임(42.6%, 52.5%). 토지는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귀하가 독립적으로 수행’이 34.9%로 가장 높았음
● 문제 해결을 포기한 경우, 그 이유는 모두 심리적으로 지치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가 높은 응답비율을 보임(주택 70.5%, 토지 100%, 상가 51.9%)
● 문제해결 과정의 공정성은 공통적으로 공정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남(주택 87.2%, 토지 97.1%. 상가 88.3%)
● 공정하지 못하다고 응답한 경우, 그 원인은 영역별로 상이하였으나 주택과 상가에서 법의 한계를 응답한 비율이 높은 편이었음(30.4%, 20.%)
문제의 해결 비용
● 문제 해결 비용 지불여부를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전화 통화 및 서신’ 비용이 가장 높은 응답비율을 보였으며(주택 17.2%, 토지 28.1%, 상가 41.0%), 금전적 지원이 필요한 항목에서도 ‘전화 통화 및 서신’의 응답비율이 전반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임(주택 31.8%. 토지 10.6%, 상가 17.7%)
● 문제 해결비용의 경우, 주택과 상가의 경우 ‘10만 원 이상~50만 원 미만’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33.7%, 32.7%), 토지의 경우 ‘1만 원 이상~10만 원 미만’(48.6%)이 가장 높았음
법무문제로 경험한 피해
● 공통적으로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주택 54.4%, 토지 30.9%, 상가 31.8%), 심리적 문제(주택 21.1%, 토지 33.6%, 상가 26.2%), 재산피해(주택 3.9%, 토지 23.2%, 상가 16.3%)의 응답비율이 상위를 차지하였음
초점집단 면접
● 청년 1인가구 : 청년 1인가구로서 겪는 구조적 문제(정보 부족, 법적 지식 부족)와 감정적/심리적 어려움을 강조
● 읍면 지역 거주자 : 인터넷 카페, 주변 지인, 친구 등 비공식적 문제해결에 의존, 신속하고 접근성 높은 법률 지원 서비스 요구
● 저소득층 주민 : 공공임대 계약 해지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관리사무소 등 공적 기관에 적극적으로 요구하는 것을 주저함. 공공 중재 시스템에 대한 욕구 큼
● 전세사기 피해자 : 금전 손실과 함께 정신적 스트레스 호소. 복잡한 행정 절차 간소화와 피해 신고 후 신속한 행정적・법적 조치 요청
● 젠트리피케에션 경험자 : 임대료 및 관리비 상승에 대한 규제와 불공정한 조건을 방지하기 위한 표준 계약서 제공 등 세입자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제도 요청
● 재개발/재건축 경험자 : 재개발 절차와 관련된 정보 부족을 지적했으며, 투명한 조합 운영을 위한 공적 개입과 재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쟁을 조정할 전문 기관 요청
4. 정책제언
주택 분야
● 전세사기 예방 및 피해자 보호 : 전세보증금 보장 기금 확대, 부동산거래 정보 공개 플랫폼 구축, 피해구제 전담 센터 설치
●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및 대출지원 강화 : 청년과 고령층 맞춤형 공공임대주택 공급, 임대료 연동 지원 프로그램, 전세자금 대출 확대 및 조건 완화
● 거래 투명성과 안전성 제고 : 온라인 매물 정보 통합 플랫폼 제공, 거래 검증 시스템 도입, 블록체인 기반 거래 시스템 도입, 부동산 중개사 인증 강화
토지 분야
● 소규모 토지 거래 지원 : 읍면 지역 맞춤형 지원, 중개사 역할 강화
● 개발지역 토지 보상 개선 : 토지 보상 기준 표준화, 보상금 분쟁 해결 기구 설립
● 농지 보전 및 활용 효율화 : 농지은행 강화, 농지 불법 전용 방지, 유휴 토지 활용 프로그램
● 상린 관계 문제 해결 : 층간소음 및 생활방해 문제 조정센터, 소음 저감 장치 지원
상가 분야
● 권리금 보호와 분쟁 해결 : 상가 권리금 표준계약서 의무화, 상권 활성화 프로젝트, 상가 분쟁 조정 센터
● 젠트리피케이션 완화 : 지역 상권 보호 구역 지정, 임대료 상한제 도입
● 공공 임대 상가 확대
법률 접근성 강화
● 법률 서비스 강화 : 마을 변호사 확대, 법률 이동 서비스, 취약계층 전용 법률 지원센터
● 정보 접근성 개선 : 부동산 법률 정보 플랫폼, 영상 기반 법률 교육 콘텐츠, TV 및 인터넷 뉴스 활용
● 법교육 강화 : 초・중・고등학교 법교육 개선, 성인 대상 법률 워크숍
젠더 및 연령별 특화 지원
● 청년 : 전월세 지원금 확대, 청년 주택 정책 통합 포털
● 고령자 : 고령자 주택 유지 보조금, 공유 주택 프로그램
● 여성 : 여성 대상 법률 상담 강화, 여성 창업자를 위한 상가 지원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