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해설가(家)’와 ‘해설사(士)’의 의미로 보는 환경교육자(者)의 전문성에 관한 고찰 = Study on the Professionality of Environmental Educator Based on the Meaning of Job Tit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932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사회에 환경교육이라는 용어가 등장한 이래, 다양한 명칭을 가진 환경교육자(者)들이 환경교육을 이끌어 왔다. 특히 사회환경교육에서는 관련분야 전문가가 국가주도의 자격으로 제도화되기 이전에는, 각각의 생태환경교육단체들에 의해 생태지도자, 환경지도자, 에코가이드, 환경해설가, 생태해설가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활동했다.
      최근에는 일부 민간과 공공기관의 특별한 분야와 영역에서 활동하는 전문가의 명칭을 제외하고는 법과 제도에 의해 자격화된 명칭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산림청의 경우는 숲해설가, 유아숲지도사, 숲길등산지도사가 있고, 환경부의 경우 자연환경해설사, 사회환경교육지도사가 있다.
      전문적인 직업을 나타내는 접미사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거기에는 지식의 전문성을 나타내거나, 기술의 전문성 그리고 지명도나 성향 그리고 존대의 의미 등 다양한 의미와 뉘앙스의 차이를 포함한다. "가(家)"와 "사(士)"의 경우도 그 중의 하나이지만, 분명한 차이와 의미를 식별하지 못한 채, ‘숲 해설가’와 ‘숲해설사’라는 용어로 혼재되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자격개념의 차이와 혼돈은 물론 전문가 정체성에 있어서도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와 사의 의미구조를 통해 "해설가"와 "해설사"의 차이를 식별했으며, 아울러 직업 전문성의 의미를 살펴보고, 특히 시대변화에 따른 직업전문성 속에서의 전문가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환경교육지도자는 자격수준으로서의 사(士)의 전문성은 물론, 체화된 경험과 지식 그리고 문제해결 능력을 갖는 암묵지적 가(家)의 전문성도 요구되고 있음을 고찰했다,
      번역하기

      한국사회에 환경교육이라는 용어가 등장한 이래, 다양한 명칭을 가진 환경교육자(者)들이 환경교육을 이끌어 왔다. 특히 사회환경교육에서는 관련분야 전문가가 국가주도의 자격으로 제도...

      한국사회에 환경교육이라는 용어가 등장한 이래, 다양한 명칭을 가진 환경교육자(者)들이 환경교육을 이끌어 왔다. 특히 사회환경교육에서는 관련분야 전문가가 국가주도의 자격으로 제도화되기 이전에는, 각각의 생태환경교육단체들에 의해 생태지도자, 환경지도자, 에코가이드, 환경해설가, 생태해설가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활동했다.
      최근에는 일부 민간과 공공기관의 특별한 분야와 영역에서 활동하는 전문가의 명칭을 제외하고는 법과 제도에 의해 자격화된 명칭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산림청의 경우는 숲해설가, 유아숲지도사, 숲길등산지도사가 있고, 환경부의 경우 자연환경해설사, 사회환경교육지도사가 있다.
      전문적인 직업을 나타내는 접미사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거기에는 지식의 전문성을 나타내거나, 기술의 전문성 그리고 지명도나 성향 그리고 존대의 의미 등 다양한 의미와 뉘앙스의 차이를 포함한다. "가(家)"와 "사(士)"의 경우도 그 중의 하나이지만, 분명한 차이와 의미를 식별하지 못한 채, ‘숲 해설가’와 ‘숲해설사’라는 용어로 혼재되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자격개념의 차이와 혼돈은 물론 전문가 정체성에 있어서도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와 사의 의미구조를 통해 "해설가"와 "해설사"의 차이를 식별했으며, 아울러 직업 전문성의 의미를 살펴보고, 특히 시대변화에 따른 직업전문성 속에서의 전문가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환경교육지도자는 자격수준으로서의 사(士)의 전문성은 물론, 체화된 경험과 지식 그리고 문제해결 능력을 갖는 암묵지적 가(家)의 전문성도 요구되고 있음을 고찰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nvironmental education as non formal education in Korea is carried out by educators classified by various job titles. Before the introduction of governmental certification systems, e.g.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Educator", "Forest Education Specialist" and "Guide on Natural Environment", environmental educator worked under the titl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structor, forest interpreter, ecological education instructor, eco guide, etc.
      In this paper, I focus on suffixes used in the various job titles of environmental educator in connection with professional identity, focused on "Forest Education Specialist".
      Suffixes used in job titles generally divided into "-er/or" and "-ist", which imply different meaning respectively, depending on degrees of ability required to perform certain job duties, relation with certain principles or doctrines, social customs, etc. As looking into examples of practical usage, "-er/or" or "-ist" tend to be chosen at random by customs or individual preference. I consider ambiguity like this would affect to build professional identity of environmental educators in general.
      Through the study, I analyze the structure of meaning that two most confusedly used suffixes "-er" and "-ist" involved, and seek to establish the significance of "professionality" and "specialist" based on the findings. Therefore, come to a conclusion that suffix "-ist" denote person who perform a specific action or specialized skill, and closely engaging tacit knowledge is more suitable to define environmental educator"s occupa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번역하기

      Environmental education as non formal education in Korea is carried out by educators classified by various job titles. Before the introduction of governmental certification systems, e.g.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Educator", "Forest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as non formal education in Korea is carried out by educators classified by various job titles. Before the introduction of governmental certification systems, e.g.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Educator", "Forest Education Specialist" and "Guide on Natural Environment", environmental educator worked under the titl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structor, forest interpreter, ecological education instructor, eco guide, etc.
      In this paper, I focus on suffixes used in the various job titles of environmental educator in connection with professional identity, focused on "Forest Education Specialist".
      Suffixes used in job titles generally divided into "-er/or" and "-ist", which imply different meaning respectively, depending on degrees of ability required to perform certain job duties, relation with certain principles or doctrines, social customs, etc. As looking into examples of practical usage, "-er/or" or "-ist" tend to be chosen at random by customs or individual preference. I consider ambiguity like this would affect to build professional identity of environmental educators in general.
      Through the study, I analyze the structure of meaning that two most confusedly used suffixes "-er" and "-ist" involved, and seek to establish the significance of "professionality" and "specialist" based on the findings. Therefore, come to a conclusion that suffix "-ist" denote person who perform a specific action or specialized skill, and closely engaging tacit knowledge is more suitable to define environmental educator"s occupa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호칭의 난과 정명의 가치
      • Ⅲ. 가(家)와 사(士)의 해석
      • Ⅳ. 전문성의 의미와 해설가와 해설사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호칭의 난과 정명의 가치
      • Ⅲ. 가(家)와 사(士)의 해석
      • Ⅳ. 전문성의 의미와 해설가와 해설사
      • Ⅴ. 개념의 시대와 가(家)
      • Ⅵ. 맺으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