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ssessment of Turbulence Closure Models For Prediction of a Reattaching Shear Layer = 再附着 剪斷層의 豫測을 위한 亂流 모델들의 評價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284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亂流 再附着 流動을 豫測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사용되어 오던 亂流 모델들을 定量的으로 比較 分析하였다. 比較을 위한 實驗値와 모델式에 대입하는 基本量들은 2次元 垂直壁 下流의 亂流 流動場에 대한 實驗結果를 使用하였다.
      亂流 2次 모우멘트에 대한 適合性은 流線의 曲率效果를 考慮한 修正 모델들이 k-ε亂流 모델 보다 우수하였다. 3次 모우멘트의 경우는 單純 勾配 擴散 모델인 경우 運動 領域에 따라 잘 맞는 부분과 맞지 않은 부분이 관찰되는 地域的 適用 限界性을 보였으며, 曲率 修正을 考慮한 3次 相關關係 모델이 單純 勾配 擴散 모델보다는 더욱 物理的 상황을 잘 반영하고 있음이 판명되었다.
      번역하기

      亂流 再附着 流動을 豫測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사용되어 오던 亂流 모델들을 定量的으로 比較 分析하였다. 比較을 위한 實驗値와 모델式에 대입하는 基本量들은 2次元 垂直壁 下流의 亂流 ...

      亂流 再附着 流動을 豫測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사용되어 오던 亂流 모델들을 定量的으로 比較 分析하였다. 比較을 위한 實驗値와 모델式에 대입하는 基本量들은 2次元 垂直壁 下流의 亂流 流動場에 대한 實驗結果를 使用하였다.
      亂流 2次 모우멘트에 대한 適合性은 流線의 曲率效果를 考慮한 修正 모델들이 k-ε亂流 모델 보다 우수하였다. 3次 모우멘트의 경우는 單純 勾配 擴散 모델인 경우 運動 領域에 따라 잘 맞는 부분과 맞지 않은 부분이 관찰되는 地域的 適用 限界性을 보였으며, 曲率 修正을 考慮한 3次 相關關係 모델이 單純 勾配 擴散 모델보다는 더욱 物理的 상황을 잘 반영하고 있음이 판명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要約
      • 1. Introduction = 47
      • 2. Assessment of standard k-ε model and its curvature correction models = 48
      • 3. Assessment of third-order closure models = 50
      • 4. Conclusion = 52
      • 要約
      • 1. Introduction = 47
      • 2. Assessment of standard k-ε model and its curvature correction models = 48
      • 3. Assessment of third-order closure models = 50
      • 4. Conclusion = 52
      • References = 5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