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종교와 언어 독립을 통한 몬테네그로 민족 정체성 확립 연구 = A study on Establishing Montenegro Ethnic Identity through the Independence of Language and Religi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002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몬테네그로는 발칸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공화국중 가장 작은 공화국이며, 세르비아와 역사적으로 항상 같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공화국이다. 몬테네그로는 구유고연방의 해체 시기에도 마지막까지 세르비아와 연방을 함께 구성하였으며 다른 공화국의 독립과 달리 세르비아와 평화로운 해체와 독립을 이루었다.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를 민족적으로 다른 민족으로 구분하는 것은 논쟁의 여지가 있는 문제이다. 역사적, 문화적, 종교적으로 몬테네그로는 항상 세르비아와 함께했으며 현재도 두 국가의 일반 민중은 서로가 다른 민족이라는 것을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세르비아인에게 몬테네그로인은 세르비아 방언을 쓰고, 세르비아 정교를 믿는 지역적으로 몬테네그로 지역에 거주하는 또 다른 세르비아인일 뿐이다. 일반 몬테네그로 민중 또한 자신들의 언어는 세르비아어이고, 종교는 세르비아 정교라 답하고 있다. 일부는 자신들을 민족적으로 세르비아인이라 답하기도 한다. 그러나 2006년 독립과 함께 몬테네그로 민족주의 엘리트 집단은 몬테네그로가 세르비아와 차별화되는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는 독자적인 민족임을 내세우고 있다. 몬테네그로 민중이 가장 정체성의 혼란을 격고 있는 것이 세르비아와 차별화하기 어려운 언어와 종교의 문제이다. 언어와 종교의 차별성은 발칸지역에서 민족을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다. 몬테네그로는 민족 정체성의 혼란과 세르비아와의 차별성 문제에 대한 해법을 종교독립과 언어독립에서 찾고자 한다. 이 연구는 몬테네그로 민족 정체성 문제를 종교와 언어 문제를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고, 현재 몬테네그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언어와 종교의 독립을 통한 몬테네그로 민족 정체성 확립 문제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해 보았다.
      번역하기

      몬테네그로는 발칸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공화국중 가장 작은 공화국이며, 세르비아와 역사적으로 항상 같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공화국이다. 몬테네그로는 구유고연방의 해체 시기에도 ...

      몬테네그로는 발칸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공화국중 가장 작은 공화국이며, 세르비아와 역사적으로 항상 같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공화국이다. 몬테네그로는 구유고연방의 해체 시기에도 마지막까지 세르비아와 연방을 함께 구성하였으며 다른 공화국의 독립과 달리 세르비아와 평화로운 해체와 독립을 이루었다.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를 민족적으로 다른 민족으로 구분하는 것은 논쟁의 여지가 있는 문제이다. 역사적, 문화적, 종교적으로 몬테네그로는 항상 세르비아와 함께했으며 현재도 두 국가의 일반 민중은 서로가 다른 민족이라는 것을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세르비아인에게 몬테네그로인은 세르비아 방언을 쓰고, 세르비아 정교를 믿는 지역적으로 몬테네그로 지역에 거주하는 또 다른 세르비아인일 뿐이다. 일반 몬테네그로 민중 또한 자신들의 언어는 세르비아어이고, 종교는 세르비아 정교라 답하고 있다. 일부는 자신들을 민족적으로 세르비아인이라 답하기도 한다. 그러나 2006년 독립과 함께 몬테네그로 민족주의 엘리트 집단은 몬테네그로가 세르비아와 차별화되는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는 독자적인 민족임을 내세우고 있다. 몬테네그로 민중이 가장 정체성의 혼란을 격고 있는 것이 세르비아와 차별화하기 어려운 언어와 종교의 문제이다. 언어와 종교의 차별성은 발칸지역에서 민족을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다. 몬테네그로는 민족 정체성의 혼란과 세르비아와의 차별성 문제에 대한 해법을 종교독립과 언어독립에서 찾고자 한다. 이 연구는 몬테네그로 민족 정체성 문제를 종교와 언어 문제를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고, 현재 몬테네그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언어와 종교의 독립을 통한 몬테네그로 민족 정체성 확립 문제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해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ntenegro was the smallest republic among the republics in the Balkans and in particular, it was always together with Serbia historically. Montenegro and Serbia formed a federation after the breakup of Yugoslavia and different from the independence of other republics, the isolation and independence from Serbia were peaceful. It is controversial to distinguish Serbia and Montenegro as different ethnic groups. Montenegro was always together with Serbia in history, culture, and religion and the people of both nations do not clearly see themselves ethnic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Serbians, the people of Montenegro are just another Serbian using Serbian dialects, following Serbian Orthodox Church, and geographically living in the regions of Montenegro. General people of Montenegro also say the Serbian as their language and the Serbian Orthodox Church as their religion. Some people even consider them ethnically Serbian. However, Nationalist elite group of Montenegro asserts that Montenegro is ethnically independent having its own history and culture differentiated from Serbia’s. The core of their nationalistic movement is the independence of the religion and language with which the people of Montenegro mostly confused about their identity. This study organiz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ethnic identity confusion of the general people of Montenegro focusing on the issues in religion and language. It also organized and objectively evaluated the issues of the ethnic identity establishment through the independence of its language and religion currently pursued by the Montenegro government.
      번역하기

      Montenegro was the smallest republic among the republics in the Balkans and in particular, it was always together with Serbia historically. Montenegro and Serbia formed a federation after the breakup of Yugoslavia and different from the independence o...

      Montenegro was the smallest republic among the republics in the Balkans and in particular, it was always together with Serbia historically. Montenegro and Serbia formed a federation after the breakup of Yugoslavia and different from the independence of other republics, the isolation and independence from Serbia were peaceful. It is controversial to distinguish Serbia and Montenegro as different ethnic groups. Montenegro was always together with Serbia in history, culture, and religion and the people of both nations do not clearly see themselves ethnic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Serbians, the people of Montenegro are just another Serbian using Serbian dialects, following Serbian Orthodox Church, and geographically living in the regions of Montenegro. General people of Montenegro also say the Serbian as their language and the Serbian Orthodox Church as their religion. Some people even consider them ethnically Serbian. However, Nationalist elite group of Montenegro asserts that Montenegro is ethnically independent having its own history and culture differentiated from Serbia’s. The core of their nationalistic movement is the independence of the religion and language with which the people of Montenegro mostly confused about their identity. This study organiz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ethnic identity confusion of the general people of Montenegro focusing on the issues in religion and language. It also organized and objectively evaluated the issues of the ethnic identity establishment through the independence of its language and religion currently pursued by the Montenegro gover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개요
      • Ⅰ. 들어가는 말
      • Ⅱ. 몬테네그로 정체성 문제
      • Ⅲ. 맺는말
      • 참고문헌
      • 국문개요
      • Ⅰ. 들어가는 말
      • Ⅱ. 몬테네그로 정체성 문제
      • Ⅲ. 맺는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혁재, "몬테네그로 언어상황과 어문정책 연구"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9 (9): 3-23, 2007

      2 Dragšević, Sekula, "The newest Old State in Europa. Montenego Regaining Independence" Zentrum für Europäische Intergrationsforschungen 2007

      3 "Serb Land of Montenegro"

      4 Bremer, Thomas, "Religion and conceptual boundary in Central and Eastern Europa" Basingstoke 2008

      5 Nikčević, Vijslav, "Pravopis crnogorskog jezika" Cetinje 1997

      6 Nikčević, Vijslav, "Piši kao što zboriš" Podgorica 1993

      7 Hockenos, Paul, "Neubeginn mit Altlasten. Montenegros jeunge Herausforderung: Erfolg und Herausforderungen" (12) : 108-113, 2007

      8 Grabić, Daniel, "Montenergisität: Sprache und Kirsche im Spiegel des Identitätsdiskurses in der Republik Montenegro 1990-2007" Frankfurt am Main 2010

      9 Okuka, Miloš, "Lexical norm and national language : lexicography and language policy in South-Slavic languages after 1991" 2002

      10 Oschies, Wolf, "Gross-Staaten auf dem Balkan. Ursprünge, Formen und Folgen des ethnischen Imperialsimus in Südosteuropa" (30) : 2002

      1 권혁재, "몬테네그로 언어상황과 어문정책 연구"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9 (9): 3-23, 2007

      2 Dragšević, Sekula, "The newest Old State in Europa. Montenego Regaining Independence" Zentrum für Europäische Intergrationsforschungen 2007

      3 "Serb Land of Montenegro"

      4 Bremer, Thomas, "Religion and conceptual boundary in Central and Eastern Europa" Basingstoke 2008

      5 Nikčević, Vijslav, "Pravopis crnogorskog jezika" Cetinje 1997

      6 Nikčević, Vijslav, "Piši kao što zboriš" Podgorica 1993

      7 Hockenos, Paul, "Neubeginn mit Altlasten. Montenegros jeunge Herausforderung: Erfolg und Herausforderungen" (12) : 108-113, 2007

      8 Grabić, Daniel, "Montenergisität: Sprache und Kirsche im Spiegel des Identitätsdiskurses in der Republik Montenegro 1990-2007" Frankfurt am Main 2010

      9 Okuka, Miloš, "Lexical norm and national language : lexicography and language policy in South-Slavic languages after 1991" 2002

      10 Oschies, Wolf, "Gross-Staaten auf dem Balkan. Ursprünge, Formen und Folgen des ethnischen Imperialsimus in Südosteuropa" (30) : 2002

      11 Ostojić, Branislav, "Gerhart Neweklowsky, Bosanski-Hrvatski-Srpski: Actuelna pitanja jezika Bošnjaka, Hrvata, Srbi i Crnogoraca" Wiener Slawistischer Almanach Sonderband 2003

      12 Schoch, Bruno, "Gegen weitere staatliche Zerspliterung: Plädoyer für multinationale Vielfalt in Belgrad, Podgorica. HSFK-Report 2/2003" Frankfurt am Main 2003

      13 Okuka, Miloš, "Eine Sprache viele Eeben" Klagenfurt 1998

      14 Bryner, Erich, "Die Ostkirchen vom 18 bis zu 20" Jahrhundert. Leipzig 1996

      15 "Deklaracija crnogorskog P.E.N. centra o ustavnom polozaju crnogorskog jezika"

      16 Nikčević, Vijslav, "Crnogorski jezik: genez, tipologija, razvoj, strukturne osobine, funkcija" Cetinje 1993

      17 Andrijašević, Živko M., "Crnogorska crkva 1852-1918" Nikšić 2008

      18 Đurović, Žarko, "Band crogorskog jezika" Cetinje 2005

      19 Rastoder, Šerbo, "A short review of the history of Montenegro. In: Bieber, Florian: Montenegro in Transition-problems of identity and statehood" Baden-Baden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
      2013-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5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