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다양한 종교적 전통을 갖고 있는 구 유고지역에서 각각의 보편종교와 구비문학이 보여주는 상관관계에 대해 고찰한다. 정교문화권이나 이슬람문화권의 구비문학과 차별될 수 있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00223
2014
-
유고구비문학 ; 구비문학과 종교 ; 구비문학의 발전단계 ; 구비문학 갈래와 종교문화 ; 가톨릭문화권 ; 정교문화권 ; 이슬람문화권 ; 음유시인의 노래 ; 구비영웅서사시 ; 10음절 구비시가 ; 부가르슈띠짜 ; 세브달린카 ; Yugoslav Oral Literature ; Oral Literature and Religion ; Genre of Oral Literature and Religious Culture ; Cultural Area of Catholicism ; Cultural Area of Orthodox Church ; Cultural Area of Islam ; Songs of Troubadours ; Oral Epic Heroic Poetry ; Decasyllabic Poetry ; Bugarš ; tica ; Sevdalinka
920
KCI등재
학술저널
83-102(2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다양한 종교적 전통을 갖고 있는 구 유고지역에서 각각의 보편종교와 구비문학이 보여주는 상관관계에 대해 고찰한다. 정교문화권이나 이슬람문화권의 구비문학과 차별될 수 있는 ...
본고는 다양한 종교적 전통을 갖고 있는 구 유고지역에서 각각의 보편종교와 구비문학이 보여주는 상관관계에 대해 고찰한다. 정교문화권이나 이슬람문화권의 구비문학과 차별될 수 있는 가톨릭문화권에 속하는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민족의 ‘음유시인의 노래(Trubadurska pjesma)’, 정교문화권에서 나타나는 ‘구비영웅서사시(narodna epska junačka pesma)’의 두 하위 갈래인 ‘10음절 구비시가(Deseterac)’와 ‘부가르슈띠짜(Bugarštica)’, 그리고 이슬람문화권인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에서 발생한 구비서정시 갈래인 ‘세브달린카(Sevdalinka)’의 특징과 이 갈래가 다른 종교문화권 민족에서 전이, 동화, 대체의 현상을 거치며 변화되어 나타나는 모습에 대해 고찰한다. 우리는 구전이라는 현상을 거치며 발생하는 그러한 변화의 양상들이 또 다른 종교문화권이나 구비문학의 하위갈래들에서도 발생할 수 있음을 기억해야만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has focused on the correlations between universal religions (Catholic, Orthodox and Islam) and the oral literature in Former Yugoslavia, which has a variety of religious traditions. That is, this paper has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
This paper has focused on the correlations between universal religions (Catholic, Orthodox and Islam) and the oral literature in Former Yugoslavia, which has a variety of religious traditions. That is, this paper has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Songs of troubadours at slovenian and croatian ethnic nations, who are belonging to the Catholic culture. And, has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Decasyllabic poetry and Bugarštica of the cultural area of Orthodox Church, which are sub-genres of the oral epic heroic poetry. And lastly, has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Sevdalinka, which had occurred at the cultural area of Islam (Bosnia-Herzegovina). Particularly, in conclusion has emphasized that Sevdalinka could be changed through the diffusion, transition and assimilation in other religious cultures. But we’ll have to remember that such phenomena caused by oral transmission may occur in other religious cultures and in other oral literary genr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철민, "문화와 사회로 발칸유럽 들여다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3
2 Исаковић, Алија, "Српске народне пјесме из Босне и Херцеговине(Сакупио Богољуб Петрановић)[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세르비아 구비시가(보고류브 뻬뜨라노비치 채록)]" Свјетлост 1989
3 Караџић, Стефановић Вук, "Српске народне пјесме I [세르비아 구비시가 I]" Просвета 1975
4 Петровић, Сретен, "Српска митологија(Систем српске митологије)I књига [세르비아신화(세르비아 신화체계)1권]" Просвета 1999
5 Толстој, М. Светлана, "Словенска митологија [슬라브민족의 신화]" Zepter Book World 2001
6 Станисављевић, Вукашин, "Наша Народна Књижевност [우리 구비문학]" Србоштампа 1968
7 Недић, Владан, "Народна књижевност [구비문학]" НОЛИТ 1966
8 Ивић, Павле, "Историја српске културе [세르비아문화사]. Горњи Милановац : Дечје новине /" Удружење издавача и књижара Југославије 1996
9 Lord, B. Albert, "The Singer of Tales"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10 Solar, Milivoj, "Teorija književnosti [문학이론]" Školska knjiga 1996
1 김철민, "문화와 사회로 발칸유럽 들여다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3
2 Исаковић, Алија, "Српске народне пјесме из Босне и Херцеговине(Сакупио Богољуб Петрановић)[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세르비아 구비시가(보고류브 뻬뜨라노비치 채록)]" Свјетлост 1989
3 Караџић, Стефановић Вук, "Српске народне пјесме I [세르비아 구비시가 I]" Просвета 1975
4 Петровић, Сретен, "Српска митологија(Систем српске митологије)I књига [세르비아신화(세르비아 신화체계)1권]" Просвета 1999
5 Толстој, М. Светлана, "Словенска митологија [슬라브민족의 신화]" Zepter Book World 2001
6 Станисављевић, Вукашин, "Наша Народна Књижевност [우리 구비문학]" Србоштампа 1968
7 Недић, Владан, "Народна књижевност [구비문학]" НОЛИТ 1966
8 Ивић, Павле, "Историја српске културе [세르비아문화사]. Горњи Милановац : Дечје новине /" Удружење издавача и књижара Југославије 1996
9 Lord, B. Albert, "The Singer of Tales"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10 Solar, Milivoj, "Teorija književnosti [문학이론]" Školska knjiga 1996
11 Botica, Stipe, "Povijest hrvatske usmene književnosti [크로아티아 구비문학사]" Školska knjiga 2013
12 Maglajlić, Munib, "Od zbilje do pesme : ogledi o usmenom pjesništvu [현실에서 시가까지 : 구비시가에 관한 에세이]" Glas 1983
13 Maretić, Tomo, "Naša narodna epika [우리 구비서사시가]" NOLIT 1966
14 Maglajlić, Munib, "Muslimanska usmena balada [무슬림의 구비 발라드]" Veselin Masleša 1985
15 Sazdov, Tome, "Makedonska književnost [마케도니아 문학]" Školska knjiga 1988
16 Barac, Antun, "Jugoslavenska književnost [유고슬라비아 문학]" Matica hrvatska 1954
17 Lord, B. Albert, "Epic Singers and Oral Tradition. Ithaca and" Cornell University Press 1991
효율적인 마케도니아어 교육을 위한 불가리아어와의 비교언어학적 연구
미르체아 엘리아데 연작소설에서 나타난 청년담론과 문화 정치적 역할 연구 I
종교와 언어 독립을 통한 몬테네그로 민족 정체성 확립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3-01-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 ![]()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3 | 0.13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6 | 0.15 | 0.459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