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차쓰 기저(Csáth Géza)의 단편소설 “검은 침묵”(Fekete csönd)과 샬롯 퍼킨스 길먼(Charlotte Perkins Gilman, 1860~1935)의 『누런 벽지』(The Yellow Wallpaper), 그리고 진 리이스(Jean R...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00221
2014
-
헝가리문학 ; 차쓰 기저 ; 검은 침묵 ; 누런 벽지 ; 광막한 사르가소 바다 ; Csá ; th Gé ; za ; <Fekete csö ; nd> ; The Yellow Wallpaper ; The Madwoman in the Attic ; Wide Sargasso Sea
920
KCI등재
학술저널
35-60(2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차쓰 기저(Csáth Géza)의 단편소설 “검은 침묵”(Fekete csönd)과 샬롯 퍼킨스 길먼(Charlotte Perkins Gilman, 1860~1935)의 『누런 벽지』(The Yellow Wallpaper), 그리고 진 리이스(Jean R...
본고에서는 차쓰 기저(Csáth Géza)의 단편소설 “검은 침묵”(Fekete csönd)과 샬롯 퍼킨스 길먼(Charlotte Perkins Gilman, 1860~1935)의 『누런 벽지』(The Yellow Wallpaper), 그리고 진 리이스(Jean Rhys, 1894-1979)의 『광막한 사르가소 바다』(Wide Sargasso Sea)에 나타난 작중 중심인물의 광기와 그 해소, 혹은 치유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세 작품 중 유일하게 “검은 침묵”은 남성작가가 바라보는 화자의 광기를 다루었고, 『누런 벽지』에서는 우울증을 경험한 여성작가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여성의 광기를 다루었으며, 『광막한 사르가소 바다』는 『제인 에어』에서 침묵당하고 감금당한 주변부 인물인 버사를 중심에 내세워, 그녀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풀어나가도록 장치한 작품이다. 세 작품 각각 개인적, 여성적, (탈)식민지적이라는 기저를 바탕에 두고 서사를 이어가지만 광기라는 공히 공통의 소재를 가지고 그 치유, 혹은 해소의 문제를 나름 독특한 서사와 문체로 풀어가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manuscript, I examined Csáth Géza(1887-1919)'s short story, <Black silence(Fekete csönd)>, Charlotte Perkins Gilman(1860~1935)'s novel, The Yellow Wallpaper, and Jean Rhys(1894-1979)'s novel, Wide Sargasso Sea. with th...
In this manuscript, I examined Csáth Géza(1887-1919)'s short story, <Black silence(Fekete csönd)>, Charlotte Perkins Gilman(1860~1935)'s novel, The Yellow Wallpaper, and Jean Rhys(1894-1979)'s novel, Wide Sargasso Sea. with the viewpoint of the solution of the insanities and its process which the protagonists wore in the novels respectively. Among these three novels, only the <Black silence> deals with the insanity of the narrator from the sight of man writer, and others are from the women writers with the psychiatrical narrative. In case of Wide Sargasso Sea, Berta Mason who performed a dependant personality(character) in Jane Eyre, was brought to the fore as a protagonist by the writer, and the its narrative is also developed from her standpoint into main story. However, Charlotte Perkins Gilman who was once hypochondria deals with the insanity of woman on the base of her experience. All three works have other bases of their narratives separately, in other words, the personality in <Black silence>, the postcoloniality in Wide Sargasso Sea, and the femininity in The Yellow Wallpaper, but with the common motive called the insanity the writers worked out the problems of healing or the reconciliation of the characters showing unique narratives and polished styl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명희, "현대는 상호텍스트성의 시대" 244-255, 2013
2 한기욱, "필경사 바틀비" 창비 157-186, 2010
3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과 예술" 도서출판 청하 45-109, 1991
4 권택영, "역사, 그 억압으로부터의 해방" (153) : 62-67, 1992
5 송명희, "샤갈과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의 상호텍스트성 – 김춘수의 시와 박상우의 소설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7 (17): 49-75, 2013
6 김도남, "상호텍스트성과 텍스트 이해 교육" 박이정 2003
7 박오복, "다락방의 미친 여자" 도서출판 이후 1058-1062, 2009
8 산드라 길버트, "다락방의 미친 여자" 도서출판 이후 2009
9 진리스, "광막한 사르가소 바다" 임프린트 펭귄클래식 코리아 2008
10 Csáth, Géza, "Válogatott elbeszélések" Európa Könyvkiadó 2003
1 송명희, "현대는 상호텍스트성의 시대" 244-255, 2013
2 한기욱, "필경사 바틀비" 창비 157-186, 2010
3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과 예술" 도서출판 청하 45-109, 1991
4 권택영, "역사, 그 억압으로부터의 해방" (153) : 62-67, 1992
5 송명희, "샤갈과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의 상호텍스트성 – 김춘수의 시와 박상우의 소설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7 (17): 49-75, 2013
6 김도남, "상호텍스트성과 텍스트 이해 교육" 박이정 2003
7 박오복, "다락방의 미친 여자" 도서출판 이후 1058-1062, 2009
8 산드라 길버트, "다락방의 미친 여자" 도서출판 이후 2009
9 진리스, "광막한 사르가소 바다" 임프린트 펭귄클래식 코리아 2008
10 Csáth, Géza, "Válogatott elbeszélések" Európa Könyvkiadó 2003
11 Žindžiuvienė, Ingrida, "Transtextual bridge between the postmodern and the modern: The theme of the “otherness” in Monique Truong's novel the Book of Salt (2003) and GERTRUDE STEIN’S The Autobiography of Alice B. Toklas (1932)" 49 (49): 2007
12 Csáth, Géza, "Mesék, amelyek rosszul végződnek" Magvető kiadó 1994
13 Kristeva, Julia, "Literaturwissenschaft und Linguistik. Ergebnisse und Perspektiven. Bd. 3: Zur linguistischen Basis der Literaturwissenschaft II. Ed. Jens Ihwe" Athenäum 345-375, 1972
14 Szajbély, Mihály, "A varázsló halála : In memoriam Csáth Géza" Nap Kiadó 2004
15 Nemeskürty, István, "A magyar irodalom története 1000-1945" Akadémiai kiadó 1993
16 Klaniczay, Tibor, "A history of hungarian literature" Corvina Kiadó 1983
효율적인 마케도니아어 교육을 위한 불가리아어와의 비교언어학적 연구
미르체아 엘리아데 연작소설에서 나타난 청년담론과 문화 정치적 역할 연구 I
유고슬라비아 구비문학의 발전과 종교적 다양성의 상관관계
종교와 언어 독립을 통한 몬테네그로 민족 정체성 확립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3-01-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 ![]()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3 | 0.13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6 | 0.15 | 0.459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