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효율적인 마케도니아어 교육을 위한 불가리아어와의 비교언어학적 연구 = Teaching Bulgarian and Macedonian with Comparative Metho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002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불가리아어는 기원 후 863년 불가리아 출신 키릴과 메토디 형제가 최초의 슬라브 문자를 창제한 것을 기점으로 세계 언어사에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언어가 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변화를 통하여 슬라브어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언어이다. 이 언어는 고대불가리아어 혹은 고대교회슬라브어로 불리는 고대 슬라브어적 전통을 만들고 유지하면서도, 주변의 루마니아어, 그리스어, 터키어, 알바니아어 등 어족이 다른 언어들과의 언어교류를 통하여 발칸언어연합이라는 독특한 언어군을 만들었고, 현재도 새로운 언어적 특징을 만들어가고 있는 남 슬라브어이다. 반면 마케도니아어는 구 유고연방에서 해체된 일곱 개의 나라 중 하나인 마케도니아에서 사용되는 표준어이다. 이 표준어는 제 2차 세계대전 말인 20세기 중반에 형성되어 슬라브어 가운데 가장 뒤늦게 규격을 갖춘 언어가 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마케도니아 영토는 9세기 슬라브어의 문자가 창제된 곳이며 왕성한 문자보급 활동이 있었던 곳이다. 마케도니아는 비교적 남부유럽에서 발전하여 이웃하고 있는 불가리아나 세르비아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마케도니아어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특히 불가리아 국경과 맞닿고 있는 지역인 남동부 마케도니아어 방언은 남서부 불가리아 방언과 자연스러운 언어적 연결고리를 맺음으로써 이러한 관계를 증명하기도 한다. 또한 마케도니아 북부 방언은 세르비아 남부 방언의 복합적인 형태를 지니고 있기도 한다. 반면에 중부 마케도니아(Prilep-Bitola-Veles) 방언은 비교적 전형적인 마케도니아 방언의 형태를 띠고 있는 것이 오늘의 마케도니아 언어지형도이다. 한국인, 한국 학생들에게 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 그 문화는 여전히 낯설고 새로운 것일 것이다. 물론 현재까지 한국에서 다양한 슬라브 언어와 문화를 공부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슬라브어를 공부할 수 있는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도 아직 마케도니아어를 독립적으로 배울 수 있는 기회는 마련되어 있지 않고 있으며 이는 전국을 통틀어 보아도 전무하다. 현실적 필요에 비하여 교육기회가 전무한 마케도니아어의 교육을 같은 언어 군에 속하는 불가리아어와의 비교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본 논문의 연구목적이다.
      번역하기

      불가리아어는 기원 후 863년 불가리아 출신 키릴과 메토디 형제가 최초의 슬라브 문자를 창제한 것을 기점으로 세계 언어사에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언어가 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변화를 통...

      불가리아어는 기원 후 863년 불가리아 출신 키릴과 메토디 형제가 최초의 슬라브 문자를 창제한 것을 기점으로 세계 언어사에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언어가 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변화를 통하여 슬라브어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언어이다. 이 언어는 고대불가리아어 혹은 고대교회슬라브어로 불리는 고대 슬라브어적 전통을 만들고 유지하면서도, 주변의 루마니아어, 그리스어, 터키어, 알바니아어 등 어족이 다른 언어들과의 언어교류를 통하여 발칸언어연합이라는 독특한 언어군을 만들었고, 현재도 새로운 언어적 특징을 만들어가고 있는 남 슬라브어이다. 반면 마케도니아어는 구 유고연방에서 해체된 일곱 개의 나라 중 하나인 마케도니아에서 사용되는 표준어이다. 이 표준어는 제 2차 세계대전 말인 20세기 중반에 형성되어 슬라브어 가운데 가장 뒤늦게 규격을 갖춘 언어가 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마케도니아 영토는 9세기 슬라브어의 문자가 창제된 곳이며 왕성한 문자보급 활동이 있었던 곳이다. 마케도니아는 비교적 남부유럽에서 발전하여 이웃하고 있는 불가리아나 세르비아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마케도니아어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특히 불가리아 국경과 맞닿고 있는 지역인 남동부 마케도니아어 방언은 남서부 불가리아 방언과 자연스러운 언어적 연결고리를 맺음으로써 이러한 관계를 증명하기도 한다. 또한 마케도니아 북부 방언은 세르비아 남부 방언의 복합적인 형태를 지니고 있기도 한다. 반면에 중부 마케도니아(Prilep-Bitola-Veles) 방언은 비교적 전형적인 마케도니아 방언의 형태를 띠고 있는 것이 오늘의 마케도니아 언어지형도이다. 한국인, 한국 학생들에게 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 그 문화는 여전히 낯설고 새로운 것일 것이다. 물론 현재까지 한국에서 다양한 슬라브 언어와 문화를 공부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슬라브어를 공부할 수 있는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도 아직 마케도니아어를 독립적으로 배울 수 있는 기회는 마련되어 있지 않고 있으며 이는 전국을 통틀어 보아도 전무하다. 현실적 필요에 비하여 교육기회가 전무한 마케도니아어의 교육을 같은 언어 군에 속하는 불가리아어와의 비교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본 논문의 연구목적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eking the proper methods of teaching Bulgarian and Russian languages on the comparative linguistic basis. As it is well known, Macedonian and Bulgarian languages are in the same language family. They are south slavic languages together with Serbian, Croation and Slovenian. But, due to the latest language identification process of Macedonian, many foreign scholars regard it as the dialect of Bulgarian or branch language of Serbian. For this purpose, the author, first, investigates the identity of Macedonian language. After that, the author compares the Macedonian with Bulgarian and Serbian languages. And on the basis of these comparisons, the author proposes the proper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Macedonian and Bulgarian languages. They are phonetic o'kanie, less important accent, consonant pronunciation shift, falling case system in noun, post-located article system, productive uses of short form pronoun, et al. In the end of the main body, the author also proposes the inter-cultural approach, add to the comparative method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eking the proper methods of teaching Bulgarian and Russian languages on the comparative linguistic basis. As it is well known, Macedonian and Bulgarian languages are in the same language family. They are south slavic 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eking the proper methods of teaching Bulgarian and Russian languages on the comparative linguistic basis. As it is well known, Macedonian and Bulgarian languages are in the same language family. They are south slavic languages together with Serbian, Croation and Slovenian. But, due to the latest language identification process of Macedonian, many foreign scholars regard it as the dialect of Bulgarian or branch language of Serbian. For this purpose, the author, first, investigates the identity of Macedonian language. After that, the author compares the Macedonian with Bulgarian and Serbian languages. And on the basis of these comparisons, the author proposes the proper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Macedonian and Bulgarian languages. They are phonetic o'kanie, less important accent, consonant pronunciation shift, falling case system in noun, post-located article system, productive uses of short form pronoun, et al. In the end of the main body, the author also proposes the inter-cultural approach, add to the comparative metho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개요
      • Ⅰ. 들어가는 말
      • Ⅱ. 중심 말
      • Ⅲ. 맺는말
      • 참고문헌
      • 국문개요
      • Ⅰ. 들어가는 말
      • Ⅱ. 중심 말
      • Ⅲ. 맺는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원회, "효율적인 불가리아어 학습론 연구-러시아어와의 비교 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7 : 431-456, 2002

      2 김원회, "마케도니아어 표준어 생성과정에서 불가리아어의 영향 연구" 동유럽발칸연구소 25 : 45-75, 2010

      3 기연수, "러시아인의 문화코드와 의사소통 방식"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19 (19): 225-254, 2004

      4 Рајс, P, "Чујте Срби!(editors: Милић Ф. Петровић и Слађана Бојковић), Историјски музеј Србије - Дечје новине" Београд 1-110, 1998

      5 Христова-Симоновска, Ан, "Речник Българско-македонски, Македонско-български с къса граматика" Венециjа 2005

      6 Мисирков, К, "Крсте Мисирков, За македонцките работи" 1903

      7 Рајс, P, "Аустро-бугаро-немачке повредератних закона и правила,Краљевина Србија" Крф 1918

      8 Friedman, V, "The Sociolinguistics of Literary Macedonian, in Thomas F. Magner, ed. Yugoslavia in Sociolinguistic Perspective" 52 : 31-57, 1985

      9 Carmichael, C., "Language and Nationalism in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221-236, 2000

      10 Ivić, P, "Hijerarhija srodstva među jezičkim I dijalekatskim tipovima na slovenskom jugu" Нови Сад 15-38, 1973

      1 김원회, "효율적인 불가리아어 학습론 연구-러시아어와의 비교 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7 : 431-456, 2002

      2 김원회, "마케도니아어 표준어 생성과정에서 불가리아어의 영향 연구" 동유럽발칸연구소 25 : 45-75, 2010

      3 기연수, "러시아인의 문화코드와 의사소통 방식"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19 (19): 225-254, 2004

      4 Рајс, P, "Чујте Срби!(editors: Милић Ф. Петровић и Слађана Бојковић), Историјски музеј Србије - Дечје новине" Београд 1-110, 1998

      5 Христова-Симоновска, Ан, "Речник Българско-македонски, Македонско-български с къса граматика" Венециjа 2005

      6 Мисирков, К, "Крсте Мисирков, За македонцките работи" 1903

      7 Рајс, P, "Аустро-бугаро-немачке повредератних закона и правила,Краљевина Србија" Крф 1918

      8 Friedman, V, "The Sociolinguistics of Literary Macedonian, in Thomas F. Magner, ed. Yugoslavia in Sociolinguistic Perspective" 52 : 31-57, 1985

      9 Carmichael, C., "Language and Nationalism in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221-236, 2000

      10 Ivić, P, "Hijerarhija srodstva među jezičkim I dijalekatskim tipovima na slovenskom jugu" Нови Сад 15-38, 1973

      11 de Bray, R. G. A., "Guide to the South Slavonic Languages" Slavica 1980

      12 Stojanović, T, "Balkanski svetovi: Prva I poslednja Evropa" Beograd 1-522,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
      2013-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5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