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각국 지리교육에서 위치학습의 내용과 방법 분석 연구 -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의 초·중학교 지리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 = Analysis on content and method of location learning in geography education of other countries - Centered on Analysis of Elementary and Middle Geography Curriculum in USA, UK, Australia and Canad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9569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ocation has been used as a core concept of geography education. This is because it is a basic knowledge for explaining the spatial situation of geographical phenomena, understand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recognizing spatial relationships. Nevertheless, in Korean geography education, location learning has been criticized as causing `memorizing product knowledge` and `memorizing place name knowledge`. In this study, the content and method of location learning in other advanced countries are analyzed, and implications for location learning in Korean geography education are derived.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to supplement learning of the location. Students should do know the spatial location, express the spatial location, and analyze the location attributes. Second, The application of loction knowledge should be strengthened. Linking the location knowledge with locality, spatial relationship, and geographic problem cause and situation is needed.
      번역하기

      Location has been used as a core concept of geography education. This is because it is a basic knowledge for explaining the spatial situation of geographical phenomena, understand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recognizing spatial relationships. Neverth...

      Location has been used as a core concept of geography education. This is because it is a basic knowledge for explaining the spatial situation of geographical phenomena, understand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recognizing spatial relationships. Nevertheless, in Korean geography education, location learning has been criticized as causing `memorizing product knowledge` and `memorizing place name knowledge`. In this study, the content and method of location learning in other advanced countries are analyzed, and implications for location learning in Korean geography education are derived.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to supplement learning of the location. Students should do know the spatial location, express the spatial location, and analyze the location attributes. Second, The application of loction knowledge should be strengthened. Linking the location knowledge with locality, spatial relationship, and geographic problem cause and situation is need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승희, "초등 지리교육에 적합한 위치 학습의 내용과 방법 모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221-236, 2010

      2 심광택, "지역인식과 지리교과서의 지역기술"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4 (14): 359-371, 2006

      3 이간용, "지리학습의 설계" 교육과학사 2014

      4 박선미, "지리교육 목표와 내용의 국제 비교" 교육연구소 10 : 209-233, 2004

      5 송언근, "지리 영역에서 바라 본 사회과 교육과정의 반성과 설계"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2 (12): 229-245, 2004

      6 이경한, "지리 문해력을 통한 국제이해교육 실천하기, 모두를 위한 국제이해교육" 살림터 326-342, 2015

      7 조철기, "지리 교과내 융합 교육과정 및 융합적 사고에 대한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4 (24): 47-63, 2016

      8 심승희, "지도 퍼즐을 활용한 초등 위치 학습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9 (19): 1-17, 2011

      9 손명철, "중학교 사회교과서의 학습활동 분석과 재구성 - 현행 중학교 「사회 ①」 교과서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61-70, 2014

      10 박승, "일상의 지리학" 책세상 2009

      1 심승희, "초등 지리교육에 적합한 위치 학습의 내용과 방법 모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221-236, 2010

      2 심광택, "지역인식과 지리교과서의 지역기술"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4 (14): 359-371, 2006

      3 이간용, "지리학습의 설계" 교육과학사 2014

      4 박선미, "지리교육 목표와 내용의 국제 비교" 교육연구소 10 : 209-233, 2004

      5 송언근, "지리 영역에서 바라 본 사회과 교육과정의 반성과 설계"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2 (12): 229-245, 2004

      6 이경한, "지리 문해력을 통한 국제이해교육 실천하기, 모두를 위한 국제이해교육" 살림터 326-342, 2015

      7 조철기, "지리 교과내 융합 교육과정 및 융합적 사고에 대한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4 (24): 47-63, 2016

      8 심승희, "지도 퍼즐을 활용한 초등 위치 학습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9 (19): 1-17, 2011

      9 손명철, "중학교 사회교과서의 학습활동 분석과 재구성 - 현행 중학교 「사회 ①」 교과서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61-70, 2014

      10 박승, "일상의 지리학" 책세상 2009

      11 박승규, "인문지리학의 시선" 사회평론 2012

      12 류재명, "우리의 삶터를 아름답게" 한울 1991

      13 Harm de Blij, "왜 지금 지리학인가" 사회평론 2015

      14 이경한, "어린이의 지리학 : 초등 지리 교육을 위한 어린이의 지리적 사고에 대한 이해" 푸른길 2016

      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세계교육과정"

      16 김다원, "세계 지역에 대한 위치 지식과 위치 학습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17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18 Jared Diamond, "나와 세계" 김영사 2016

      19 IGU, "국제 지리 교육 헌장" 3 (3): 85-97, 1994

      20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the Ontario Curriculum"

      21 Drake, C., "educating for responsible global citizenship" 86 (86): 300-306, 1987

      22 Yager, R. E., "The constructivist learning model" 67 (67): 44-45, 2000

      23 Gonzalez, J.,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geography" Penguin Group 2004

      24 Whitehead, A.N., "The aims of Education" The Free Press 1967

      25 Department for education,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26 Gersmehl, P., "Teaching Geography" The guilford press 2005

      27 Wise, J., "Student deficiency in basic world knowledge" 74 : 477-488, 1975

      28 Metz, H. M., "Sketch Maps: Helping students get the big picture" 89 : 114-118, 1990

      29 Marshall, T., "Prisoners of Geography" Scribner 2015

      30 Boehm, R. G., "Middle America : Location and Place" 51 : 479-484, 1987

      31 Gould, P, "Mental Maps" Penguin 1974

      32 Dunn, J. M., "Location Knowledge: Assessment, Spatial Thinking and New National Geography Standards" 110 : 81-89, 2011

      33 Tener, M., "Learning multiculturalism through the study of geography" 6 (6): 36-37, 1999

      34 Stimpson, P. G., "Is it a long way to Tipperary?: suggestions for improving students locational knowledge" 90 (90): 78-82, 1991

      35 Cetis, A., "Introduction to Geography" McGraw Hill Higher Education 2004

      36 Fellman, J.D., "Human Geography: Landscapes of human activities" Mcgraw-Hill 2001

      37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Guidelines for Geographic Educ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38 GENIP, "Geography for life: National Geography Standards" GENIP Member Organizations 2012

      39 Hardwick, S.W., "Geography for educators" Prentice-Hall 1996

      40 Reynolds, R., "Geographical locational knowledge as an indicator of children’s views of the world: research from Sweden and Australia" 25 (25): 68-83, 2016

      41 Rogers, L.K., "Geographic literacy through children’s literature" Teacher Ideas Press 1997

      42 Gritzner, C.F., "Geographic Education- Where have we failed?" 80 (80): 264-266, 1981

      43 Jo, I., "Evaluating Geography Textbook Questions from a Spatial Perspective: Using Concepts of Space, Tools of Representation, and Cognitive Processes to Evaluate Spatiality" 108 : 4-13, 2009

      44 Stoltman, J., "Editors’ thoughts about the meaning of “international” in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3 : 279-280, 2014

      45 Hart, R., "Children’s Experience of Place: A Developmental Study" Halstead 1978

      46 Wiegand, P., "Children and Primary Geography" Cassell 1997

      47 Acara, "Australian Curriculum V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01 1.112 0.6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