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혁규, "초등학교 수업 지도안 특성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1-29, 2012
2 조성욱, "지리 지식의 유형별 교수학적 변환 방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7 (17): 211-224, 2009
3 양찬호,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의 수업 계획에서 나타나는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187-195, 2014
4 강창숙, "좋은 수업을 위한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 관찰과 반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59-75, 2010
5 송언근, "이론과 실제, 그 협력의 새로운 지평을 위한 교육 실습의 재구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1 (11): 8-117, 2003
6 배성아, "예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서 나타난 수업시연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의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393-417, 2014
7 권선미,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셀프내러티브 탐구" 과학교육연구소 52 (52): 63-78, 2013
8 강창숙,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특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9 (19): 19-34, 2011
9 이새암, "사범대학 학생들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3 (13): 95-129, 2010
10 한재영, "사범대학 예비교사의 삶과 정체성 변화 연구" 과학교육연구소 51 (51): 75-89, 2012
1 이혁규, "초등학교 수업 지도안 특성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1-29, 2012
2 조성욱, "지리 지식의 유형별 교수학적 변환 방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7 (17): 211-224, 2009
3 양찬호,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의 수업 계획에서 나타나는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187-195, 2014
4 강창숙, "좋은 수업을 위한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 관찰과 반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59-75, 2010
5 송언근, "이론과 실제, 그 협력의 새로운 지평을 위한 교육 실습의 재구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1 (11): 8-117, 2003
6 배성아, "예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서 나타난 수업시연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의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393-417, 2014
7 권선미,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셀프내러티브 탐구" 과학교육연구소 52 (52): 63-78, 2013
8 강창숙,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특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9 (19): 19-34, 2011
9 이새암, "사범대학 학생들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3 (13): 95-129, 2010
10 한재영, "사범대학 예비교사의 삶과 정체성 변화 연구" 과학교육연구소 51 (51): 75-89, 2012
11 정주원, "교육실습에서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의 수업계획과 실제수업의 불일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435-443, 2016
12 강창숙, "교육실습생의 실천적 지식 구성에 대한 관찰 - 지리 수업조직을 사례로 -" 대한지리학회 44 (44): 577-603, 2009
13 Elbaz, F.,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report of a case study" 11 (11): 43-71, 1981
14 Baylor, A., "The Instructional Planning Self-Reflective Tool: A Method for Promoting effective Lesson Planning" 41 (41): 56-59, 2001
15 Alsup, J., "Teacher identity discourse: Negotiating personal and professional spaces" NJL Lawrence Erlbaum 2006
16 Shulman, L.,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57 : 1-22, 1987
17 Shulman, L. S.,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Macmillan 3-36,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