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별 고용형태별 임금격차 현황과 요인 분해 = The Decomposition of Wage Gap due to Gender and Employment Patter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657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 wage level of irregular female workers is 52.4% of regular male workers. It is some possibility that irregular female workers are faced multiple discrimination based on sex and employment pattern because of the spread of gender discrimination or employment pattern discrimination in labor market. Until now most of papers have been discussing on pay gap and decomposition of wage gap due to gender or employment pattern respectively . Thus, even though average wage of irregular female worker is 52.4% of that of regular male worker, there are few paper to analyse the wage gap based on both gender and employment pattern,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y between gender pay gap and employment pattern pay gap.
      This paper estimates wage equations and attempts decomposition of wage gap based on gender and employment pattern respectively. In this paper the wage gap is measured on the basis of hourly wages. A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using Oaxaca and Ransom’s two-fold decomposition method, 44.9% of gender gap is an unexplained part due to discrimination etc. On the other hand, 18.9% of total pay gap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rker is due to discrimination. This means that the parts of gender pay gap due to discrimination are ar larger than that of pay gap between regular worker and irregular worker. According to this results, to improve low wage of irregular female workers, the measures to eliminate gender discrimination in labor market should be implemented effectively.
      번역하기

      In Korea, wage level of irregular female workers is 52.4% of regular male workers. It is some possibility that irregular female workers are faced multiple discrimination based on sex and employment pattern because of the spread of gender discriminatio...

      In Korea, wage level of irregular female workers is 52.4% of regular male workers. It is some possibility that irregular female workers are faced multiple discrimination based on sex and employment pattern because of the spread of gender discrimination or employment pattern discrimination in labor market. Until now most of papers have been discussing on pay gap and decomposition of wage gap due to gender or employment pattern respectively . Thus, even though average wage of irregular female worker is 52.4% of that of regular male worker, there are few paper to analyse the wage gap based on both gender and employment pattern,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y between gender pay gap and employment pattern pay gap.
      This paper estimates wage equations and attempts decomposition of wage gap based on gender and employment pattern respectively. In this paper the wage gap is measured on the basis of hourly wages. A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using Oaxaca and Ransom’s two-fold decomposition method, 44.9% of gender gap is an unexplained part due to discrimination etc. On the other hand, 18.9% of total pay gap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rker is due to discrimination. This means that the parts of gender pay gap due to discrimination are ar larger than that of pay gap between regular worker and irregular worker. According to this results, to improve low wage of irregular female workers, the measures to eliminate gender discrimination in labor market should be implemented effective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비정규직 여성근로자의 임금수준은 정규직 남성근로자의52.4%에 불과하다. 노동시장 우리나라 여성은 성차별, 비정규직은 고용형태차별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여성 비정규직은 성별과 고용형태에 기반을 둔 복합차별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여성 비정규직근로자의 임금 및 근로조건을 보면 다른 근로자집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임금 및 근로조건 등이 상당히 열악하다. 그 동안 임금격차와 요인분해 연구들은 기본적으로 성별임금격차 혹은 격차분해를 연구하거나 혹은 고용형태별 임금격차 혹은 격차분해를 연구함에 따라, 성별 임금격차와 고용형태별임금격차의 특성 비교, 성 및 고용형태로 인해서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는임금격차 정도와 요인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증대하고 있는 여성근로자, 비정규근로자 그리고 비정규직인 여성근로자의 열악한 임금수준의 현황과 그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성별 고용형태별 임금격차 현황과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분석 결과에 의하면 성별임금격차의 44.9%는 차별 등 설명할 수 없는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고, 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보면 차별 등에 의한임금격차부분은 18.9%이었다. 즉, 고용형태별 임금격차의 경우 차별 등에의한 임금격차부분은 성별임금격차보다 훨씬 적었다. 이에 따라 여성 특히비정규직 여성의 임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차별 해소와 함께, 여성근로자집단에서 더 심각하게 나타나는 정규직과 비정규직간의 임금차별을 해소하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우리나라 비정규직 여성근로자의 임금수준은 정규직 남성근로자의52.4%에 불과하다. 노동시장 우리나라 여성은 성차별, 비정규직은 고용형태차별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여성 비정규...

      우리나라 비정규직 여성근로자의 임금수준은 정규직 남성근로자의52.4%에 불과하다. 노동시장 우리나라 여성은 성차별, 비정규직은 고용형태차별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여성 비정규직은 성별과 고용형태에 기반을 둔 복합차별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여성 비정규직근로자의 임금 및 근로조건을 보면 다른 근로자집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임금 및 근로조건 등이 상당히 열악하다. 그 동안 임금격차와 요인분해 연구들은 기본적으로 성별임금격차 혹은 격차분해를 연구하거나 혹은 고용형태별 임금격차 혹은 격차분해를 연구함에 따라, 성별 임금격차와 고용형태별임금격차의 특성 비교, 성 및 고용형태로 인해서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는임금격차 정도와 요인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증대하고 있는 여성근로자, 비정규근로자 그리고 비정규직인 여성근로자의 열악한 임금수준의 현황과 그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성별 고용형태별 임금격차 현황과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분석 결과에 의하면 성별임금격차의 44.9%는 차별 등 설명할 수 없는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고, 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보면 차별 등에 의한임금격차부분은 18.9%이었다. 즉, 고용형태별 임금격차의 경우 차별 등에의한 임금격차부분은 성별임금격차보다 훨씬 적었다. 이에 따라 여성 특히비정규직 여성의 임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차별 해소와 함께, 여성근로자집단에서 더 심각하게 나타나는 정규직과 비정규직간의 임금차별을 해소하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광영, "한국의 성별 임금격차: 차이와 차별" 한국사회학회 45 (45): 97-127, 2011

      2 정진화, "한국 노동시장에서의 성별 임금격차 변화-혼인상태 및 직종특성별 비교-" 한국노동경제학회 30 (30): 33-60, 2007

      3 안주엽, "정규근로와 비정규근로의 임금격차" 24 (24): 67-96, 2001

      4 박기성, "정규-비정규근로자의 임금격차 비교: 2003년과 2005년" 한국노동연구원 7 (7): 35-61, 2007

      5 김용민, "정규-비정규근로자 임금격차" 한국노동경제학회 29 (29): 25-48, 2006

      6 김태홍, "여성 고용구조의 변화와 향후 정책과제" 여성가족부 2000

      7 금재호, "성별 임금격차의 현상과 원인에 대한 연구" 한국국제경제학회 17 (17): 161-184, 2011

      8 김태홍, "비정규직 여성근로자의 임금실태분석 및 동일임금원칙 적용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01

      9 남재량, "비정규 근로와 정규 근로의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패널자료를 사용한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30 (30): 1-31, 2007

      10 남재량, "비정규 근로와 정규 근로의 임금격차 연구 : 고용형태와 종사상 지위를 중심으로" 2008

      1 신광영, "한국의 성별 임금격차: 차이와 차별" 한국사회학회 45 (45): 97-127, 2011

      2 정진화, "한국 노동시장에서의 성별 임금격차 변화-혼인상태 및 직종특성별 비교-" 한국노동경제학회 30 (30): 33-60, 2007

      3 안주엽, "정규근로와 비정규근로의 임금격차" 24 (24): 67-96, 2001

      4 박기성, "정규-비정규근로자의 임금격차 비교: 2003년과 2005년" 한국노동연구원 7 (7): 35-61, 2007

      5 김용민, "정규-비정규근로자 임금격차" 한국노동경제학회 29 (29): 25-48, 2006

      6 김태홍, "여성 고용구조의 변화와 향후 정책과제" 여성가족부 2000

      7 금재호, "성별 임금격차의 현상과 원인에 대한 연구" 한국국제경제학회 17 (17): 161-184, 2011

      8 김태홍, "비정규직 여성근로자의 임금실태분석 및 동일임금원칙 적용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01

      9 남재량, "비정규 근로와 정규 근로의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패널자료를 사용한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30 (30): 1-31, 2007

      10 남재량, "비정규 근로와 정규 근로의 임금격차 연구 : 고용형태와 종사상 지위를 중심으로" 2008

      11 김영미, "분포적 접근으로 본 한국 성별임금격차 변화, 1982~2004년" 비판사회학회 (84) : 206-229, 2009

      12 김선애, "데이터 매칭을 이용한 비정규직의 임금격차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34 (34): 53-77, 2011

      13 조동훈, "노동조합과 성별임금격차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연구학회 24 : 83-108, 2009

      14 김장호, "노동조합 임금효과의 변화: 1988~2007" 한국노동경제학회 31 (31): 75-105, 2008

      15 고용노동부,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보고서" 고용노동부 2011

      16 浅倉 むつ子 外, "男女間の賃金格差問題に関する研究. 厚生労働省" 平成14年 2002

      17 厚生労働省, "変化する賃金・雇用制度の下における 男女間賃金格差 に関する研究会 報告書." 2010

      18 Blinder, A. S, "Wage Discrimination: Reduced Form and Structural Estimates" 8 : 436-455, 1973

      19 O’Neill, June, "The Trend in the Male-Female Wage Gap in the United States" 3 : 91-116, 1985

      20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5 : 570-579,

      21 Cecilia Machado, "Selection, Heterogeneity and the Gender Wage Gap" IZA 2012

      22 Cotton, J, "On the Decomposition of Wage Differentials" 70 (70): 236-243, 1988

      23 Oaxaca, Ronald L., "On discrimination and the decomposition of wage differentials" 61 : 5-21, 1994

      24 Oaxaca. Ronald L, "Male–female wage differentials in urban labor markets" 14 : 693-709, 1973

      25 Reimers, C. W, "Labor Market Discrimination Against Hispanic and Black Men"

      26 Neumark, D, "Employers’ Discriminatory Behavior and the Estimation of Wage Discrimination" 23 : 279-295, 1988

      27 OECD, "Closing the Gender Gap: Act Now" OECD 2013

      28 Johnes, G, "Changes in gender wage discrimination in the 1990s: A tale of three very different economies" 20 : 97-113, 2008

      29 Ben Jann, "A Stata implementation of the Blinder-Oaxaca decomposition" ETH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8-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여성개발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6 1.42 1.55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