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위험임산부의 병태생리 규명 및 치료기술 개발 = Investigation of pathophysiology for high-risk pregnancy and development of treatment modality based on i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62516

      • 저자
      • 발행기관
      • 발행연도

        2019년

      • 작성언어

        Korean

      • KDC

        510

      • 자료형태

        국립의과학지식센터(NCMIK)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Contents
      1. Elaborate/investigate immunologic pathophysiology of normal pregnancy and high risk pregnancy to establish new diagnostic, therapeutic, preventive technique
      2.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by analyzing the diversity of vaginal microorganisms of normal or preterm delivery patients
      3. Analyze the pattern of microbial colonization in the vagina according to viral infection
      4. Isolation of vaginal normal flora and discovery of related standard microorganism
      5. Apply treatment methods to high risk pregnancy patients such as preterm labor, by developing techniques to control vaginal microbiome
      Results
      1. Articles: 10 SCI, 4 Non-SCI, 2 others (Total 16) + accepted 1 SCI
      2. Patent application: Domestic 12 case, international 13 case
      3. Patent registration: Domestic 4 case
      4. Manpower training: 4 Master degree, 1 Doctoral degree, 5 employment
      5. Technology transfer: 2 case
      ...[중략] 원문참조
      번역하기

      Purpose & Contents 1. Elaborate/investigate immunologic pathophysiology of normal pregnancy and high risk pregnancy to establish new diagnostic, therapeutic, preventive technique 2.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by an...

      Purpose & Contents
      1. Elaborate/investigate immunologic pathophysiology of normal pregnancy and high risk pregnancy to establish new diagnostic, therapeutic, preventive technique
      2.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by analyzing the diversity of vaginal microorganisms of normal or preterm delivery patients
      3. Analyze the pattern of microbial colonization in the vagina according to viral infection
      4. Isolation of vaginal normal flora and discovery of related standard microorganism
      5. Apply treatment methods to high risk pregnancy patients such as preterm labor, by developing techniques to control vaginal microbiome
      Results
      1. Articles: 10 SCI, 4 Non-SCI, 2 others (Total 16) + accepted 1 SCI
      2. Patent application: Domestic 12 case, international 13 case
      3. Patent registration: Domestic 4 case
      4. Manpower training: 4 Master degree, 1 Doctoral degree, 5 employment
      5. Technology transfer: 2 case
      ...[중략] 원문참조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의 목적 및 내용
      1. 정상 임신과 고위험임신의 면역학적 병태생리를 규명하여 이를 근간으로 하는 새로운 진단, 치료, 예방 기술을 확립함
      2. 정상 및 조산 환자의 질내 미생물 다양성 분석을 통한 미생물 군집 구조 차이 규명
      3. 자궁내 바이러스감염에 따른 질내 상재 미생물 군집 변화 분석
      4. 질내 주요 상재 미생물 분리/동정 및 관련 표준균주 확보
      5. 질내 마이크로비옴 조절 기술 개발을 통한 조산 등 고위험임신 치료기술 적용
      연구개발성과
      1. 논문실적 : SCI 10건, Non-SCI 4건, 기타 2건 (총 16건) + accepted SCI 1건
      2. 특허출원 : 국내출원 12건, 국외출원 13건
      3. 특허등록 : 국내등록 4건
      4. 인력배출 : 석사 4명, 박사 1명 배출, 취업 5명
      5. 기술이전 : 2건
      ...[중략] 원문참조
      번역하기

      연구의 목적 및 내용 1. 정상 임신과 고위험임신의 면역학적 병태생리를 규명하여 이를 근간으로 하는 새로운 진단, 치료, 예방 기술을 확립함 2. 정상 및 조산 환자의 질내 미생물 다양성 분...

      연구의 목적 및 내용
      1. 정상 임신과 고위험임신의 면역학적 병태생리를 규명하여 이를 근간으로 하는 새로운 진단, 치료, 예방 기술을 확립함
      2. 정상 및 조산 환자의 질내 미생물 다양성 분석을 통한 미생물 군집 구조 차이 규명
      3. 자궁내 바이러스감염에 따른 질내 상재 미생물 군집 변화 분석
      4. 질내 주요 상재 미생물 분리/동정 및 관련 표준균주 확보
      5. 질내 마이크로비옴 조절 기술 개발을 통한 조산 등 고위험임신 치료기술 적용
      연구개발성과
      1. 논문실적 : SCI 10건, Non-SCI 4건, 기타 2건 (총 16건) + accepted SCI 1건
      2. 특허출원 : 국내출원 12건, 국외출원 13건
      3. 특허등록 : 국내등록 4건
      4. 인력배출 : 석사 4명, 박사 1명 배출, 취업 5명
      5. 기술이전 : 2건
      ...[중략] 원문참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