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도시와 산촌의 교류의 사업시행자인 지방자치단체 산림공무원을 대상으로 도시와 산촌 교류의 인식을 설문조사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시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514885
2010
Korean
526
KCI등재
학술저널
17-26(1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도시와 산촌의 교류의 사업시행자인 지방자치단체 산림공무원을 대상으로 도시와 산촌 교류의 인식을 설문조사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시와 ...
본 연구는 도시와 산촌의 교류의 사업시행자인 지방자치단체 산림공무원을 대상으로 도시와 산촌 교류의 인식을 설문조사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시와 산촌의 교류 동기는 민박 등 농외소득 증대, 홍보, 판로 확보의 응답이 높았다. 도시와 산촌의 교류를 위한 지역운영위원회 구성은 마을주민에 의존한 형태였다. 도농교류사업의 효과를 보면, 판로확보(69.5%), 홍보, 소비자교육(26.8%)의 순으로 높았다.
현행, 도시와 산촌 교류의 문제점은 산촌의 지역특색 부족, 이용시설과 서비스 부족, 인력부족이었다. 개선사항을 보면, 휴식 및 여가시설(31.7%), 운영프로그램 및 서비스(29.3%), 교육 및 체험장(19.5%)의 순으로 차지하였다.
향후 도시와 산촌의 교류의 발전방향은 교류시기별, 지역별 특성에 맞는 휴양 여가활동, 교육 문화체험 등의 육성모델이 필요하다. 산촌 지역운영위원회의 역할은 마을 운영, 관리에 관한 교육 및 업무지원, 임산물, 생산, 가공, 유통 관련 정보수집, 대외홍보, 마케팅 등 교류시기와 지역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운영 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클러스터 구축, 전문컨설팅 등 도시 산촌 네트워크 연계체제의 구축이 요구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forest officers’ perception in the local government about the Exchange between urban and mountain villages and to suggest future course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motives of Exchange betw...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forest officers’ perception in the local government about the Exchange between urban and mountain villages and to suggest future course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motives of Exchange between urban cities and mountain villages, many respondents referred to generating revenues in rural sector by running guest houses for tourists and so on and promoting and maintaining market positions. Members of Local Management Committees for Exchange between urban and mountain villages were generally composed of local residents. The effect of Exchange businesses were the highest in ‘maintaining market position’ (69.5%), then ‘advertizing and consumer education’ (26.8%).
Currently, problems in the Exchange of urban area and mountain villages are identified as ‘lack of characteristics, facilities and services for tourist in mountain villages, and limited human resources. According to the survey, necessary improvements were defined in three factors, leisure facilities (31.7%), management programs and services (29.3%) and places for education and practical experience (19.5%).
Future courses should be followed in finding activation models for leisure activities and education and cultural experience programs specifically designed according to the locality and period of time. The role of Local Management Committee is devising appropriate programs supporting in the education of village operation and management, supporting in services, collecting information on forest products, their production, processing methods and distribution, public advertizing and marketing suitable for the time and lo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an urban-rural network connection system that includes cluster establishment and professional consultation is also necessary.
목차 (Table of Contents)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활용한 대구광역시 도시 관광의 전략
산촌주민의 산림노동 활동 증대를 위한 산림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