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은 모든 법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헌법을 직접 가르치는 경우가 극히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헌법을 초등학생들이 잘 배우고, 현장 교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헌법은 모든 법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헌법을 직접 가르치는 경우가 극히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헌법을 초등학생들이 잘 배우고, 현장 교사...
헌법은 모든 법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헌법을 직접 가르치는 경우가 극히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헌법을 초등학생들이 잘 배우고, 현장 교사들이 잘 활용할 수 있는 교재를 개발하기 위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학생들도 헌법에서 인간에게 부여된 기본 권리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학교 교육과정에도 헌법의 핵심적인 내용을 삽입해야한다. 셋째, 현장 교사들이 쉽게 가르칠 수 있는 헌법 교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장 교사들이 잘 가르칠 수 있는 교수학습 과정안 및 참고자료, 학습지 등에 대한 교재 개발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번 헌법 교재에서는 초등학생들을 위해 법교육에서 사용되는 사례학습, 역할놀이, 모의재판 등의 방법들이 동일하게 사용되었다. 특히 귀납식 사례 학습을 많이 고려하였는데, 그 이유는 교사가 헌법의 내용을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교사들은 처음부터 ‘이 헌법의 내용은 ~이다’가 아니라 ‘이 사례를 보고 여러분은 어떻게 해결하였으면 좋겠습니까? 그리고 이권리의 이름을 생각하여 보세요.’라는 발문을 많이 사용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한 헌법교육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헌법교육은 현장 교사들의 헌법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헌법교육은 초등학생들이 헌법을 알고 생활 속에서 관심을 갖게 하였다. 셋째, 헌법교육은 이론적 교육만이 아닌 실제적인 헌법교육을 가능하게 하였다. 즉 게임, 토론, 역할놀이, 사례학습 등 현장에서 많이 쓰이는 학습 방법들이 많고, 학생들이 경험하는 사례와 헌법을 관련지어 적용한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철,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9
2 김현철, "헌법교육에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한국법교육학회 4 (4): 89-101, 2009
3 황남기, "헌법" 찬글 2006
4 허종렬, "함께하는 법 이야기" 법무부 2008
5 "한국교과서연구재단"
6 허종렬, "초등학교 법교육의 방법과 실제-초등학교 법교육의 성격과 내용, 방법" 서울교육대학교 부설 초등교육연수원 2007
7 허종렬, "우리들의 인권이야기"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4
8 김대환, "시민을 대상으로 한 헌법교육" 2009
9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2007
10 허종렬, "법교육과 인권교육의 관계"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2 (2): 73-91, 2009
1 이상철,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9
2 김현철, "헌법교육에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한국법교육학회 4 (4): 89-101, 2009
3 황남기, "헌법" 찬글 2006
4 허종렬, "함께하는 법 이야기" 법무부 2008
5 "한국교과서연구재단"
6 허종렬, "초등학교 법교육의 방법과 실제-초등학교 법교육의 성격과 내용, 방법" 서울교육대학교 부설 초등교육연수원 2007
7 허종렬, "우리들의 인권이야기"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4
8 김대환, "시민을 대상으로 한 헌법교육" 2009
9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2007
10 허종렬, "법교육과 인권교육의 관계"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2 (2): 73-91, 2009
11 성낙인, "민주법치국가 정립을 위한 법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법교육학회 4 (4): 123-154, 2009
12 "미국사회과교육학습지주소"
13 곽한영, "만화로 배우는 우리나라 헌법" 법무부 2009
14 이향숙, "내가 처음 만난 대한민국 헌법" 을파소 2004
15 서채언, "고등학교 사회과에 나타난 헌법교육 내용 변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7
16 Charles N. Quigley, "we the people: the Citizen and the Constitution" Center for Civic Education 2003
2009년 개정 10학년 사회의 ‘인권’ 내용 관련 쟁점과 과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2 | 1.22 | 1.1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6 | 1.07 | 1.505 | 0.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