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교 신입생을 위한 내러티브 기반 교육과정 개발: 기독교대학 교양교과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Curriculum based on Narrative for Freshmen in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34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urriculum based on narrative for freshmen in university. The narrative includes one’s identity that integrates one’s past, present, and future. The theoretical basis and educational principle for this curriculum are the following three. First, identity formation is a developmental psychological task of university students, and narrative identity can be explored and formed through a narrative inquiry as curriculum. Second, self-narrative writing curriculum is required to support a holistic maturity of freshmen in university. The writing includes an ontological insight into one’s own life as an educational content. Third, a curriculum based on the mentoring community principle is needed for freshmen to form critical and inner-dependent meanings in university. Based on these principles, the educational purpose,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criteria have been designed. And Curriculum based on Narrative for Freshmen have been develop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process. This curriculum will contribute to support a holistic maturity and adulthood design for freshmen in univers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urriculum based on narrative for freshmen in university. The narrative includes one’s identity that integrates one’s past, present, and future. The theoretical basis and educational principle for this curr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urriculum based on narrative for freshmen in university. The narrative includes one’s identity that integrates one’s past, present, and future. The theoretical basis and educational principle for this curriculum are the following three. First, identity formation is a developmental psychological task of university students, and narrative identity can be explored and formed through a narrative inquiry as curriculum. Second, self-narrative writing curriculum is required to support a holistic maturity of freshmen in university. The writing includes an ontological insight into one’s own life as an educational content. Third, a curriculum based on the mentoring community principle is needed for freshmen to form critical and inner-dependent meanings in university. Based on these principles, the educational purpose,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criteria have been designed. And Curriculum based on Narrative for Freshmen have been develop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process. This curriculum will contribute to support a holistic maturity and adulthood design for freshmen in univers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신입생이 자기정체성 내러티브를 생성해내는 내러티브 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이론적 근거 및 교육원리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대학생의 발달심리학적 과제인 정체성 형성을 위해 자신의 경험을 말하고 성찰하는 내러티브 탐구의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교가 전인적으로 성숙한 인간을 형성하기 위해 자신의 삶에 대한 존재론적 통찰을 실제 교육내용으로 다루는 자기 내러티브 글쓰기 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비평적이고 내면 의존적인 성인기적 의미 형성을 위해 멘토링 공동체 원리에 기반한 교과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위의 세 가지를 원리를 기반으로 교육목적,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 평가 기준을 설계하였고, 3회 차의 실행과 평가 및 개선과정을 거쳐 개발한 교양교과를 소개하였다. 본 교과는 전인적으로 건강하고 성숙한 성인의 삶은 물론 대학생활과 성인기 설계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신입생이 자기정체성 내러티브를 생성해내는 내러티브 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이론적 근거 및 교육원리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대학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신입생이 자기정체성 내러티브를 생성해내는 내러티브 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이론적 근거 및 교육원리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대학생의 발달심리학적 과제인 정체성 형성을 위해 자신의 경험을 말하고 성찰하는 내러티브 탐구의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교가 전인적으로 성숙한 인간을 형성하기 위해 자신의 삶에 대한 존재론적 통찰을 실제 교육내용으로 다루는 자기 내러티브 글쓰기 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비평적이고 내면 의존적인 성인기적 의미 형성을 위해 멘토링 공동체 원리에 기반한 교과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위의 세 가지를 원리를 기반으로 교육목적,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 평가 기준을 설계하였고, 3회 차의 실행과 평가 및 개선과정을 거쳐 개발한 교양교과를 소개하였다. 본 교과는 전인적으로 건강하고 성숙한 성인의 삶은 물론 대학생활과 성인기 설계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분석자료집"

      2 한병철,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2012

      3 김기숙, "코메니우스의 인간성 교육론과 기독교 대학" 한들출판사 2003

      4 최현실,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273-286, 2021

      5 Erikson, E. H., "청년 루터"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7

      6 서근원 ; 이미종, "질적연구로의 질적 전환: 내러티브 정체성 연구를 사례로" 한국교육인류학회 20 (20): 1-48, 2017

      7 전명남, "정체성을 중심으로 본 대학 신입생의 이야기치료 상담"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461-471, 2017

      8 성은혜, "자기 내러티브 글쓰기에 대한 고찰 : 대학 글쓰기 교재 및 수업 현황을 중심으로"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8 (8): 111-131, 2020

      9 강기수, "입학사정관전형 신입생의 대학적응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교육사상학회 26 (26): 1-35, 2012

      10 McAdams, D. P., "이야기 심리학" 학지사 2015

      1 통계청,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분석자료집"

      2 한병철,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2012

      3 김기숙, "코메니우스의 인간성 교육론과 기독교 대학" 한들출판사 2003

      4 최현실,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273-286, 2021

      5 Erikson, E. H., "청년 루터"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7

      6 서근원 ; 이미종, "질적연구로의 질적 전환: 내러티브 정체성 연구를 사례로" 한국교육인류학회 20 (20): 1-48, 2017

      7 전명남, "정체성을 중심으로 본 대학 신입생의 이야기치료 상담"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461-471, 2017

      8 성은혜, "자기 내러티브 글쓰기에 대한 고찰 : 대학 글쓰기 교재 및 수업 현황을 중심으로"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8 (8): 111-131, 2020

      9 강기수, "입학사정관전형 신입생의 대학적응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교육사상학회 26 (26): 1-35, 2012

      10 McAdams, D. P., "이야기 심리학" 학지사 2015

      11 Pinar, W. F., "윌리엄 파이너와 교육과정이론" 아카데미프레스 2013

      12 Erikson, E. H., "아동기와 사회: 인간발달 8단계 이론" 중앙적성출판사 1994

      13 박향숙, "신학대학교 새내기의 대학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9 : 23-52, 2015

      14 임병노, "생활-학습공동체에서의 학습경험과 대학 1학년 교육을 위한 설계원칙: 교수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2 (22): 705-731, 2016

      15 Polkinghorne, D. E., "내러티브, 인문과학을 만나다" 학지사 2009

      16 Clandinin, J. D., "내러티브 탐구의 이해와 실천" 교육과학사 2015

      17 전명남, "남자 대학 신입생의 군입대 문제에 대한 내러티브 치료 경험"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6 (6): 111-130, 2018

      18 Holmes, A. F., "기독교대학의 이념" 기독교대학설립동역회 출판부 1989

      19 이은실, "기독교대학 정체성을 위한 교수개발의 방향"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35) : 33-67, 2012

      20 이은실, "기독교 대학교육을 통해 경험하는 성장이야기: 학생 에세이 분석 사례"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37) : 61-94, 2013

      21 김정민, "교육목표분류학을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발전방안 탐색: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25 (25): 31-54, 2019

      22 조용환, "교육다운 교육" 바른북스 2021

      23 Pinar, W. F., "교육과정이론이란 무엇인가?" 문음사 2005

      24 한국교양기초교육원, "교양교육표준안"

      25 Pascarella, E. T., "How college affects students" Jossey-Bass 2005

      26 Huebner, D. E., "From theory to practice: Curriculum" 77 (77): 362-374, 1982

      27 Arnett, J. J., "Emerging adulthood : The winding road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28 Parks, S. D., "Big questions, worthy dreams: Mentoring emerging adults in their search for meaning, purpose, and faith" Jossey-Bass 2011

      29 Chang, H., "Autoethnography as method" Walnut Creek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9 0.65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