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성흠의 동화구연론과 의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947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제강점기에 연성흠은 소년단체의 동화회와 경성방송국의 ‘아동시간’을 통해 오랫동안 동화구연 활동에 참여하였다. 활동이 많아지자 동화구연 이론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었을 것이고, 「동화구연방법의 그 이론과 실제」는 여기에 호응한 것이다. 이 글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동화구연의 이론과 실제를 살핀 글이다. 도합 19회에 걸쳐 연재한 것으로 동화구연에 관한 여러 가지 내용을 담고 있다. 이론과 실제에 걸쳐 12항목을 논한 다음, 동화구연의 실제에 있어서 7개의 참고사항을 담고 있다. 동화구연에는 형용(몸짓)이 중요한데, 비애, 실망, 공포, 경악, 탄원, 사색, 결단, 감사, 분노, 제지, 조소(嘲笑), 희열, 해학, 감탄 등 14가지나 되는 형용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덧붙여 놓았다.
      그러나 이 글은 연성흠이 집필한 것처럼 했지만, 실은 기시베 후쿠오의 저서 『お伽噺の仕方の理論と實際』 (東京: 明治の家庭社, 1909)를 발췌⋅번역한 것이다. 그러나 번역임을 밝히지 않고 자신이 집필한 것처럼 하였다. 그래서 일본의 작품명, 인명과 지명 등은 조선의 것으로 대체하였고, 불가피한 것은 번역하지 않았다. 동화구연에 도움을 주고자 하면 구체적인 작품에다 형용(몸짓)을 부기하고 주의사항을 첨부하여야 한다. 기시베 후쿠오는 「新桃太郞」, 「犬少尉」, 「勇ましき姉妹」, 「あはれな金二郞」 등 4편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구체적인 형용(身振り)과 주의사항을 꼼꼼하게 제시하였으나 연성흠의 글에는 이 부분이 없다. 번역임이 드러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였거나, 조선의 작품으로 대체하여 구체적인 형용과 주의사항을 부기하는 일이 여의치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번역을 집필로 위장한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연성흠의 노력에 일정한 평가를 할 부분도 있다. 1922년경부터 1930년대에 걸쳐 당시 조선의 동화구연 열풍은 거셌으나 이렇다 할 이론서나 구체적인 구연 방법에 관한 안내서조차 없는 형편이었다. 이러한 사정을 타개하기 위해 비록 기시베 후쿠오의 저서를 저본으로 하였지만, 조선의 사정을 감안하여 동화구연의 이론과 실제를 설명하고자 한 점은 평가할 만한 부분이다.
      무릇 새로운 문화의 창출은 “양자의 교섭의 결과로서 제3의 자(者)를 산출하는 방향”이라고 한 임화(林和)의 말처럼 앞선 외국의 문화를 이식하면서도 주체적인 노력을 통해 수용하려고 애쓴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일제강점기에 연성흠은 소년단체의 동화회와 경성방송국의 ‘아동시간’을 통해 오랫동안 동화구연 활동에 참여하였다. 활동이 많아지자 동화구연 이론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었...

      일제강점기에 연성흠은 소년단체의 동화회와 경성방송국의 ‘아동시간’을 통해 오랫동안 동화구연 활동에 참여하였다. 활동이 많아지자 동화구연 이론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었을 것이고, 「동화구연방법의 그 이론과 실제」는 여기에 호응한 것이다. 이 글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동화구연의 이론과 실제를 살핀 글이다. 도합 19회에 걸쳐 연재한 것으로 동화구연에 관한 여러 가지 내용을 담고 있다. 이론과 실제에 걸쳐 12항목을 논한 다음, 동화구연의 실제에 있어서 7개의 참고사항을 담고 있다. 동화구연에는 형용(몸짓)이 중요한데, 비애, 실망, 공포, 경악, 탄원, 사색, 결단, 감사, 분노, 제지, 조소(嘲笑), 희열, 해학, 감탄 등 14가지나 되는 형용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덧붙여 놓았다.
      그러나 이 글은 연성흠이 집필한 것처럼 했지만, 실은 기시베 후쿠오의 저서 『お伽噺の仕方の理論と實際』 (東京: 明治の家庭社, 1909)를 발췌⋅번역한 것이다. 그러나 번역임을 밝히지 않고 자신이 집필한 것처럼 하였다. 그래서 일본의 작품명, 인명과 지명 등은 조선의 것으로 대체하였고, 불가피한 것은 번역하지 않았다. 동화구연에 도움을 주고자 하면 구체적인 작품에다 형용(몸짓)을 부기하고 주의사항을 첨부하여야 한다. 기시베 후쿠오는 「新桃太郞」, 「犬少尉」, 「勇ましき姉妹」, 「あはれな金二郞」 등 4편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구체적인 형용(身振り)과 주의사항을 꼼꼼하게 제시하였으나 연성흠의 글에는 이 부분이 없다. 번역임이 드러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였거나, 조선의 작품으로 대체하여 구체적인 형용과 주의사항을 부기하는 일이 여의치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번역을 집필로 위장한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연성흠의 노력에 일정한 평가를 할 부분도 있다. 1922년경부터 1930년대에 걸쳐 당시 조선의 동화구연 열풍은 거셌으나 이렇다 할 이론서나 구체적인 구연 방법에 관한 안내서조차 없는 형편이었다. 이러한 사정을 타개하기 위해 비록 기시베 후쿠오의 저서를 저본으로 하였지만, 조선의 사정을 감안하여 동화구연의 이론과 실제를 설명하고자 한 점은 평가할 만한 부분이다.
      무릇 새로운 문화의 창출은 “양자의 교섭의 결과로서 제3의 자(者)를 산출하는 방향”이라고 한 임화(林和)의 말처럼 앞선 외국의 문화를 이식하면서도 주체적인 노력을 통해 수용하려고 애쓴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Yeon Seong-heum participated in storytelling activities for a long time through ‘Children’s Time(아동시간)’ from Gyeongseong Broadcasting Station and Storytelling Meeting(동화회) from Boy Associations. Having been as active as Bang Jeong-hwan or Lee Jeong-ho, he published an article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children’s stories, 「Theory and Practice of Storytelling Methods」. This article is the first article in Korea to examine this topic. Each of the 19 series contains various contents regarding storytelling in about 160 sheets of a squared manuscript paper for 200-characters. After discussing 12 items across both theory and practice, the article contains 7 references regarding the practice of storytelling. Because expressions(body movements) are important in storytelling, he has expounded upon 14 items of sorrow, disappointment, fear, shock, plea, contemplation, determination, gratitude, anger, restraint, jeer, joy, humor, and admiration.
      However, it turns out that this article is in fact an excerpt and translation of Fukuo, Kishibe’s 1909 book, 『Theory and Practice of Storytelling Methods』(お伽噺の仕方の理論と實際).
      He replaced Japanese work titles, names and places with those of Joseon, and omitted the translation of irreplaceable names. Famous Japanese old stories such as 「Momotaro」 and 「Hanasakajijii」 have been changed to 「Sun and Moon(해와 달)」 or 「Tale of Heungbu and Nolbu」(흥부 놀부 이야기). The term ‘otogibanashi’(お伽噺) was translated as ‘donghwa’(동화; children’s story) or ‘yetnaliyagi’(옛날이야기; old tales). The term ‘假作話’ was tactfully translated as ‘changjakdonghwa’(창작동화; children’s fictions), but terms like ‘hitokuchibanashi’(一口噺) or ‘rakugo’(落語) which pertain to unique Japanese genres were not translated.
      Fukuo, Kishibe picked four titles, 「新桃太郞」, 「犬少尉」, 「勇ましき姉妹」, 「あはれな金二郞」 and added specific body expressions and several notes to provide help to actual storytellers. However, Yeon Seong-heum did not translate these parts at all. Perhaps it was in attempt to avoid the disclosure of his plagiarism, or because it was not easy to add specific body expressions and notes for Joseon titles.
      Nonetheless, there are some areas to credit the efforts of Yeon Seong-heum. From around 1922 to the 1930s, many people in Joseon narrated children’s stories, and readers responded greatly. However, there were no books of theory or guides on specific methods of storytelling. In order to overcome such circumstances, Yeon Seong-heum took Fukuo, Kishibe’s work as his writing, but tried to offer an explanation based on Joseon’s titles. As Imhwa(임화) has said, the creation of a new culture goes “in the direction of producing a third party as a result of bilateral negotiations”. Yeon Seong-heum’s attempt to transplant the advanced foreign culture while applying independent efforts is therefore noteworthy.
      번역하기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Yeon Seong-heum participated in storytelling activities for a long time through ‘Children’s Time(아동시간)’ from Gyeongseong Broadcasting Station and Storytelling Meeting(동화회) from Boy Associations. H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Yeon Seong-heum participated in storytelling activities for a long time through ‘Children’s Time(아동시간)’ from Gyeongseong Broadcasting Station and Storytelling Meeting(동화회) from Boy Associations. Having been as active as Bang Jeong-hwan or Lee Jeong-ho, he published an article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children’s stories, 「Theory and Practice of Storytelling Methods」. This article is the first article in Korea to examine this topic. Each of the 19 series contains various contents regarding storytelling in about 160 sheets of a squared manuscript paper for 200-characters. After discussing 12 items across both theory and practice, the article contains 7 references regarding the practice of storytelling. Because expressions(body movements) are important in storytelling, he has expounded upon 14 items of sorrow, disappointment, fear, shock, plea, contemplation, determination, gratitude, anger, restraint, jeer, joy, humor, and admiration.
      However, it turns out that this article is in fact an excerpt and translation of Fukuo, Kishibe’s 1909 book, 『Theory and Practice of Storytelling Methods』(お伽噺の仕方の理論と實際).
      He replaced Japanese work titles, names and places with those of Joseon, and omitted the translation of irreplaceable names. Famous Japanese old stories such as 「Momotaro」 and 「Hanasakajijii」 have been changed to 「Sun and Moon(해와 달)」 or 「Tale of Heungbu and Nolbu」(흥부 놀부 이야기). The term ‘otogibanashi’(お伽噺) was translated as ‘donghwa’(동화; children’s story) or ‘yetnaliyagi’(옛날이야기; old tales). The term ‘假作話’ was tactfully translated as ‘changjakdonghwa’(창작동화; children’s fictions), but terms like ‘hitokuchibanashi’(一口噺) or ‘rakugo’(落語) which pertain to unique Japanese genres were not translated.
      Fukuo, Kishibe picked four titles, 「新桃太郞」, 「犬少尉」, 「勇ましき姉妹」, 「あはれな金二郞」 and added specific body expressions and several notes to provide help to actual storytellers. However, Yeon Seong-heum did not translate these parts at all. Perhaps it was in attempt to avoid the disclosure of his plagiarism, or because it was not easy to add specific body expressions and notes for Joseon titles.
      Nonetheless, there are some areas to credit the efforts of Yeon Seong-heum. From around 1922 to the 1930s, many people in Joseon narrated children’s stories, and readers responded greatly. However, there were no books of theory or guides on specific methods of storytelling. In order to overcome such circumstances, Yeon Seong-heum took Fukuo, Kishibe’s work as his writing, but tried to offer an explanation based on Joseon’s titles. As Imhwa(임화) has said, the creation of a new culture goes “in the direction of producing a third party as a result of bilateral negotiations”. Yeon Seong-heum’s attempt to transplant the advanced foreign culture while applying independent efforts is therefore noteworth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연성흠과 동화구연론
      • Ⅲ.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연성흠과 동화구연론
      • Ⅲ.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大竹聖美, "한일 아동문학 관계사 서설" 청운 2006

      2 류덕제, "한국현대아동문학비평론 연구" 역락 2021

      3 류덕제, "한국아동문학비평사를 위하여" 보고사 2021

      4 류덕제, "한국아동문학비평사 자료집 1~3" 보고사 2019

      5 이정호(李定鎬), "중 보 동창회주최 동화대회 잡감, 동창회, 연사, 심판자 제씨에게(전13회)"

      6 이종수(李鍾洙), "전조선 현상 동화대회를 보고서(전3회)"

      7 박주혜, "연성흠의 아동문학 연구"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8) : 213-243, 2021

      8 김경희, "연성흠(延星欽)의 ‘동화구연방법의 이론과 실제’" 국문학회 (21) : 191-220, 2010

      9 방정환, "연단진화(演壇珍話)"

      10 이정호(李定鎬), "어린이들과 옛날이야기,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가?(전4회)"

      1 大竹聖美, "한일 아동문학 관계사 서설" 청운 2006

      2 류덕제, "한국현대아동문학비평론 연구" 역락 2021

      3 류덕제, "한국아동문학비평사를 위하여" 보고사 2021

      4 류덕제, "한국아동문학비평사 자료집 1~3" 보고사 2019

      5 이정호(李定鎬), "중 보 동창회주최 동화대회 잡감, 동창회, 연사, 심판자 제씨에게(전13회)"

      6 이종수(李鍾洙), "전조선 현상 동화대회를 보고서(전3회)"

      7 박주혜, "연성흠의 아동문학 연구"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8) : 213-243, 2021

      8 김경희, "연성흠(延星欽)의 ‘동화구연방법의 이론과 실제’" 국문학회 (21) : 191-220, 2010

      9 방정환, "연단진화(演壇珍話)"

      10 이정호(李定鎬), "어린이들과 옛날이야기,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가?(전4회)"

      11 심의린, "실연동화(實演童話)(제일집)" 이문당 1928

      12 탐손, "신선동화법(新撰童話法)" 조선야소교장로회총회 종교교육부 1934

      13 조은숙, "식민지시기 ‘동화회(童話會)’ 연구 - 공동체적 독서에서 독서의 공동체로 -" 민족문화연구원 (45) : 225-264, 2006

      14 김광식, "식민지기 재조일본인의 구연동화 활용과 전개양상" 열상고전연구회 (58) : 11-41, 2017

      15 이원규, "순회동화를 맛치고"

      16 이원규, "순회동화 30일간(2)"

      17 연성흠, "세계명작동화보옥집" 이문당 1929

      18 김태오, "서북지방 동화순방기(전3회)"

      19 임화, "문학의 논리" 학예사 1940

      20 피득(彼得), "동화연구법" 조선주일학교연합회 1927

      21 연성흠, "동화구연방법의그이론과실제(전18회)"

      22 연성흠, "동화구연방법의 그 이론과 실제(1)"

      23 방정환, "나그네 잡긔장(전4회)"

      24 오오타케 키오미, "근대 한일 아동문화교육 관계사 연구 : 1895-1945"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25 大竹聖美, "근대 한 일 아동문화와 문학 관계사 1895~1945" 청운 2005

      26 内山憲尚, "日本口演童話史" 文化書房博文社 1972

      27 大阪国際兒童文学館, "日本兒童文学大事典" 大日本図書株式会社 1994

      28 木村小舟, "少年文學史, 明治篇, 上卷, 下卷, 別卷" 童話春秋社 1942

      29 岸邊福雄, "お伽噺仕方の理論と實際" 明治の家庭社出版 19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4 1.14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