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호주 자국어 교육과정이 학생 질문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호주자국어 교육과정은 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94701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1-91(4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호주 자국어 교육과정이 학생 질문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호주자국어 교육과정은 우...
이 연구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호주 자국어 교육과정이 학생 질문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호주자국어 교육과정은 우리나라 교육과정보다 ‘질문’이란 단어 자체 및 학생 질문을 훨씬 높은 빈도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호주 자국어 교육과정은 학생이 질문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질문의 개념, 가치와 종류, 다양한 질문 방법, 질문 활용법 등을 학습 내용으로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질문은 가르치지 않아도 잘 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질문 교육 내용을 거의 제시하지 않는 우리나라 국어과 교육과정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학생들이 의미 있는 다양한 질문을 능동적으로 하고, 질문을 활용하여 소통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힘을 기르도록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도 학생 질문 교육 내용을 체계적으로 마련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educational implica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how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Australian English curriculum deal with student questions. The Australian English curriculum systematic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educational implica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how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Australian English curriculum deal with student questions. The Australian English curriculum systematically presents the concepts, values and types of questions, various questioning methods, and how to use questions as learning content so that students can develop their ability to ask questions. It is a big difference from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assumes that students can do well without teaching questions and rarely presents the contents of question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present the contents of student question education so that students can actively ask a variety of meaningful questions and develop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and solve problems using question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백남진, "호주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제시 방식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99-128, 2015
2 류지헌, "학습자 질문생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30 : 109-129, 2007
3 송지언, "학습자 질문 중심의 문학 감상 수업 연구 -<춘향전> 감상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43) : 253-283, 2014
4 송지언, "학습자 질문 중심의 독서 교육 연구 현행 교과서의 관련 단원 검토를 바탕으로" 한국독서학회 (32) : 131-158, 2014
5 백지현, "학생질문 생성 전략을 활용한 시 감상 지도 방안 연구" 한국어문교육학회 38 : 117-160, 2009
6 정혜승, "학생이 질문하는 즐거운 수업 만들기-놀이편"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7 양미경, "학생의 질문 행동 및 내용의 특성와 그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 분석" 한국교육학회 40 (40): 99-128, 2002
8 고도연, "학생의 정교화 질문 생성이 글 내용의 재인 및 이해에 미치는 효과" 한국독서학회 (11) : 1-30, 2004
9 이기돈, "학생들의 질문하기에 의해 개념을 도입하는 수학수업의 제안 및 가능성 탐색" 교육과학연구소 20 (20): 123-153, 2018
10 신명경, "탐구 질문하기 활동을 통한 초등학생의 문제 인식과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변화"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9 (29): 124-133, 2010
1 백남진, "호주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제시 방식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99-128, 2015
2 류지헌, "학습자 질문생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30 : 109-129, 2007
3 송지언, "학습자 질문 중심의 문학 감상 수업 연구 -<춘향전> 감상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43) : 253-283, 2014
4 송지언, "학습자 질문 중심의 독서 교육 연구 현행 교과서의 관련 단원 검토를 바탕으로" 한국독서학회 (32) : 131-158, 2014
5 백지현, "학생질문 생성 전략을 활용한 시 감상 지도 방안 연구" 한국어문교육학회 38 : 117-160, 2009
6 정혜승, "학생이 질문하는 즐거운 수업 만들기-놀이편"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7 양미경, "학생의 질문 행동 및 내용의 특성와 그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 분석" 한국교육학회 40 (40): 99-128, 2002
8 고도연, "학생의 정교화 질문 생성이 글 내용의 재인 및 이해에 미치는 효과" 한국독서학회 (11) : 1-30, 2004
9 이기돈, "학생들의 질문하기에 의해 개념을 도입하는 수학수업의 제안 및 가능성 탐색" 교육과학연구소 20 (20): 123-153, 2018
10 신명경, "탐구 질문하기 활동을 통한 초등학생의 문제 인식과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변화"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9 (29): 124-133, 2010
11 박수자, "초등 읽기 단원 체제와 질문 분포 양상의 관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4) : 159-185, 2014
12 최선미, "초등 과학 수업에서의 학생 질문 유형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4 (24): 137-146, 2011
13 정혜승, "초·중·고 학생 질문 능력 계발 2015 개정 교육과정교수 학습 자료" 교육부, 대전시교육청 2017
14 민병곤, "청소년 언어문화 실태 연구" 국립국어원 2016
15 박용익, "질문이란 무엇인가?"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4 : 295-319, 2003
16 조재윤, "질문생성전략 훈련이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어교육학회 (116) : 125-149, 2005
17 박수자, "질문생성전략 강화 국어 수업이 초등학생 독해력과 질문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4) : 39-63, 2018
18 성창근, "질문 카드를 활용한 질문이 있는 수학 수업의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 19 (19): 249-260, 2016
19 양미경, "질문 창출 노력의 교육적 의의와 한계" 한국열린교육학회 15 (15): 1-20, 2007
20 고현, "질문 중심의 하브루타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53-278, 2017
21 이수진, "질문 중심 국어과 교과서의 개발 방안- 2015 초등 국어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125-1150, 2018
22 정혜승, "질문 모델로 국어 교과서 보기 - 2015 개정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7) : 179-204, 2019
23 전숙경, "수업언어로서의 ‘질문’에 대한 이해" 한국교육철학학회 (50) : 165-187, 2010
24 강헌태, "사전질문에 기반한 학생주도형 교수 학습 모형(Q-DIY)개발 및 적용"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25 최은정, "문법 탐구 질문 저해 요인과 질문 과정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문법교육학회 38 : 229-280, 2020
26 김수란,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의 질문과정 및 질문저해요인과 고차적 사고 간의 구조적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7 Rothstein, D., "단 한 가지만 바꾸기" 사회평론아카데미 2011
28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29 박정진, "국어 수업의 수준별-주체별 질문활동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1) : 71-98, 2006
30 Stokhof, H. B., "Using Mind Maps to Make Student Questioning Effective : Learning Outcomes of a Principle-Based Scenario for Teacher Guidance" 50 (50): 203-225, 2020
31 Dillon, J. T., "The Multidisciplinary Study of Questioning" 74 (74): 147-165, 1982
32 Bianchi, H., "The Many Levels of Inquiry" 46 (46): 26-29, 2008
33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The Australian Curriculum-English"
34 Chin, C., "Students’ Questions : a Potential Resource for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44 (44): 1-39, 2008
35 Dillon, J. T., "Student Questions and Individual Learning" 36 (36): 333-341, 1986
36 Good, T. L., "Student Passivity : A Study of Question Asking in K-12 classrooms" 181-199, 1987
37 Watts, M., "Questions of Understanding : Categorising Pupils’ Questions in Science" 79 (79): 57-63, 1997
38 Wong, K. Y., "Promote Student Questioning in Mathematics Lessons" 11 (11): 2-3, 2010
39 Otero, J., "PREG : Elements of a Model of Question Asking" 19 : 143-175, 2001
40 Manzo, A. V., "Improving Reading Comprehension through Reciprocal Questioning" Syracuse University 1969
41 King, A., "Guiding Knowledge Construction in the Classroom : Effects of Teaching Children How to Question and How to Explain" 31 (31): 338-368, 1994
42 Robinson, F. P., "Effective study" Harper & Row 1946
43 Burbules, N. C., "Dialogue in Teaching" Columbia University 1993
44 Marbach-Ad, G., "Can Undergraduate Biology Students Learn to Ask Higher Level Questions?" 37 (37): 854-870, 2000
45 Keeling, E. L., "A Statistical Analysis of Student Questions in a Cell Biology Laboratory" 8 (8): 131-139, 2009
46 Lanning, L. A., "4 Powerful Strategies for Struggling Readers Grade 3-8" Corwin Press 2009
일제강점기 웅변대회 연구 - 1920년대 ‘현상 웅변대회’ 보도 기사를 중심으로
구활자본 『서상기』의 어휘 연구 - 『선한쌍문 서상기』와 『대월 서상기』 를 대상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6-1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9 | 0.69 | 0.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1 | 0.64 | 1.149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