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례분석을 통한 농촌형 저탄소 녹색마을 타당성 검토 = A Study on the Validity of Rural Type Low Carbon Green Village Through Case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523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저탄소 녹색마을을 Y군의 협조를 얻어 A, B, C마을에 설치한다는 전제에서 환경성, 경제성, 에너지자립도 등을 분석하여 종합적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대상 바이오매스의 종류 및 양은 가축분뇨 28톤/일, 과수전정지 2톤/일로 하루 30톤 규모로 시설용량을 설정, 시설은 습식계(가축분뇨)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가스화 시설과 건식계(전정가지)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화목보일러 시설, 열병합발전기, 퇴비화시설 등으로 구성하였다. 구성된 시스템을 운전하였을 때, 전기생산량은 540,540 kWh/년, 열에너지 생산량은 1,762 Gcal/년으로 분석되었다. 대상마을 가구(129가구)에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전기에 너지는 309,600 kWh/년으로 시설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면 대상지역의 전기에너지 자립률은 100%가 되며, 잉여전력은 230,940 kWh/년이었다. 또한 열에너지는 대상마을의 비닐하우스에서 소요되는 양을 산정하였으며, 기존 사용량 1,415 Gcal/년으로 열에너지 자립률 역시 100%가 되며, 잉여량은 347 Gcal/년이 되었다. 경제성은 시설설치비용 504,000만원, 운영비48,509만원, 수익 33,712만원으로 연간 약 1억 4천만원 적자, 15년 동안 약 22억원의 적자이나, 환경성 분석에서 원유대체효과 약 178백만원, 온실가스감축효과 약 92백만원으로 연간 총 2억 7천만원의 환경적 편익이 발생되어, 종합적으로는 연간 약 1억 3천만원 정도의 편익이 발생되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예산지원을 통하여 진행되더라도 경제성, 환경성, 에너지자립도를 종합하여 볼 때, 충분한 타당성이 있는 사업이라고 판단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저탄소 녹색마을을 Y군의 협조를 얻어 A, B, C마을에 설치한다는 전제에서 환경성, 경제성, 에너지자립도 등을 분석하여 종합적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대상 바이오매스의 종류 및...

      본 연구는 저탄소 녹색마을을 Y군의 협조를 얻어 A, B, C마을에 설치한다는 전제에서 환경성, 경제성, 에너지자립도 등을 분석하여 종합적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대상 바이오매스의 종류 및 양은 가축분뇨 28톤/일, 과수전정지 2톤/일로 하루 30톤 규모로 시설용량을 설정, 시설은 습식계(가축분뇨)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가스화 시설과 건식계(전정가지)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화목보일러 시설, 열병합발전기, 퇴비화시설 등으로 구성하였다. 구성된 시스템을 운전하였을 때, 전기생산량은 540,540 kWh/년, 열에너지 생산량은 1,762 Gcal/년으로 분석되었다. 대상마을 가구(129가구)에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전기에 너지는 309,600 kWh/년으로 시설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면 대상지역의 전기에너지 자립률은 100%가 되며, 잉여전력은 230,940 kWh/년이었다. 또한 열에너지는 대상마을의 비닐하우스에서 소요되는 양을 산정하였으며, 기존 사용량 1,415 Gcal/년으로 열에너지 자립률 역시 100%가 되며, 잉여량은 347 Gcal/년이 되었다. 경제성은 시설설치비용 504,000만원, 운영비48,509만원, 수익 33,712만원으로 연간 약 1억 4천만원 적자, 15년 동안 약 22억원의 적자이나, 환경성 분석에서 원유대체효과 약 178백만원, 온실가스감축효과 약 92백만원으로 연간 총 2억 7천만원의 환경적 편익이 발생되어, 종합적으로는 연간 약 1억 3천만원 정도의 편익이 발생되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예산지원을 통하여 진행되더라도 경제성, 환경성, 에너지자립도를 종합하여 볼 때, 충분한 타당성이 있는 사업이라고 판단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feasibility of low carbon green village formed in rural area. The check method is analyzing its environmental and economic feasibility and energy self-reliance. The biomass of the villages was set as 28 ton/day of livestock feces and 2 ton/day of cut fruit tree branches which make up the total of 30 ton/day. The facility consisted of a bio gasfication facility using wet (livestock feces) biomass and combined heat power generator, composting facility and wood boiler using dry (cut fruit tree branches) biomass. When operating the system, 540,540 kWh/yr of electricity and 1,762 Gcal/yr of heat energy was produced. The region`s electricity energy and heat energy self-reliance rate will be 100%. The economic feasibility was found as a loss of 140 million won where the facility installation cost is 5.04 billion won, operation cost is 485.09 million won and profit is 337.12 million won. There will be a loss of about 2.2 billion won in 15 years but in the environment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crude replacement effect is about 178 million won, greenhouse gas reduction effect is about 92 million won making up the total environmental benefit of 270 million won. This means, there will be a yearly profit of about 130 million won. In terms of its environmental and economic feasibility and energy self-reliance, this project seemed to be a feasible project in overall even if it manages to get help from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feasibility of low carbon green village formed in rural area. The check method is analyzing its environmental and economic feasibility and energy self-reliance. The biomass of the villages was set as 28 ton/day of lives...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feasibility of low carbon green village formed in rural area. The check method is analyzing its environmental and economic feasibility and energy self-reliance. The biomass of the villages was set as 28 ton/day of livestock feces and 2 ton/day of cut fruit tree branches which make up the total of 30 ton/day. The facility consisted of a bio gasfication facility using wet (livestock feces) biomass and combined heat power generator, composting facility and wood boiler using dry (cut fruit tree branches) biomass. When operating the system, 540,540 kWh/yr of electricity and 1,762 Gcal/yr of heat energy was produced. The region`s electricity energy and heat energy self-reliance rate will be 100%. The economic feasibility was found as a loss of 140 million won where the facility installation cost is 5.04 billion won, operation cost is 485.09 million won and profit is 337.12 million won. There will be a loss of about 2.2 billion won in 15 years but in the environment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crude replacement effect is about 178 million won, greenhouse gas reduction effect is about 92 million won making up the total environmental benefit of 270 million won. This means, there will be a yearly profit of about 130 million won. In terms of its environmental and economic feasibility and energy self-reliance, this project seemed to be a feasible project in overall even if it manages to get help from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과학기술부, "저탄소에너지 생산․보급을 위한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 대책 실행계획" 144-172, 2009

      2 환경관리공단, "저탄소 녹색마을 시범모델 개발연구" 3-4, 2009

      3 환경부, "음식물류폐기물 처리비용 산정 지침" 2005

      4 박찬혁, "음식물류폐기물 처리비용 산정 지침" 13 (13): 51-58, 2005

      5 홍기철,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를 통한 자원순환형의 녹색마을 조성" 52-72, 2008

      6 "영동군 통계연보" 2008

      7 환경부, "수생태보전과-867(가축분뇨 배설량 산출 원단위)(" 2008

      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부문 바이오매스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과 전략(2차)" 136-140, 2007

      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부문 바이오매스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과 전략(1차)" 23-, 2006

      10 홍승모, "고농도 유기성 바이오매스의 바이오가스 발전 및 자원화 동향 및 전망" 7 (7): 61-67, 2006

      1 교육과학기술부, "저탄소에너지 생산․보급을 위한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 대책 실행계획" 144-172, 2009

      2 환경관리공단, "저탄소 녹색마을 시범모델 개발연구" 3-4, 2009

      3 환경부, "음식물류폐기물 처리비용 산정 지침" 2005

      4 박찬혁, "음식물류폐기물 처리비용 산정 지침" 13 (13): 51-58, 2005

      5 홍기철,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를 통한 자원순환형의 녹색마을 조성" 52-72, 2008

      6 "영동군 통계연보" 2008

      7 환경부, "수생태보전과-867(가축분뇨 배설량 산출 원단위)(" 2008

      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부문 바이오매스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과 전략(2차)" 136-140, 2007

      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부문 바이오매스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과 전략(1차)" 23-, 2006

      10 홍승모, "고농도 유기성 바이오매스의 바이오가스 발전 및 자원화 동향 및 전망" 7 (7): 61-67, 2006

      11 윤순진, "‘저탄소 녹색성장’의 이념적 기초와 실재" 한국환경사회학회 13 (13): 219-266, 2009

      12 Kazuhiko Takeuchi, "Designing eco-villages for revitalizing Japanese rural areas" 11 : 177-197, 1998

      13 환경부, "2009년도 국고보조사업 신청지침" 225-230,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0.604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