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이 발달하면서 창의 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과정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교육부와 보건복지부에서는 개정 누리과정(2019)과 4차 표준보육과정(2020)을 구성하였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624465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23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 영유아교육학과 , 2023. 2
2023
한국어
372.21 판사항(22)
서울
Teachers' Perception of Humanoid Infant and Toddler Classrooms
v, 98 p. : 삽화 ; 26 cm
숙명여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2023년부터 인쇄본은 소장하고 있지 않습니다.
지도교수: 심숙영
참고문헌 수록
I804:11043-00000007079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4차 산업혁명이 발달하면서 창의 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과정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교육부와 보건복지부에서는 개정 누리과정(2019)과 4차 표준보육과정(2020)을 구성하였고...
4차 산업혁명이 발달하면서 창의 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과정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교육부와 보건복지부에서는 개정 누리과정(2019)과 4차 표준보육과정(2020)을 구성하였고, ‘아동 중심의 놀이를 통한 배움’을 강조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은 4차 산업혁명의 인재상에 거의 부합하지만 교육 내용에 있어 디지털 매체를 통한 놀이 교육은 미흡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휴머노이드 영유아 교실에서 인공지능 로봇 놀이를 영유아에게 제공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인터뷰를 통해 놀이에서의 영유아들의 놀이 진행과 발달 변화를 살펴보아 디지털 놀이 매체로서의 가치성을 판단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또, 인공지능 로봇 놀이의 효과성과 놀이 지속을 위한 보완점, 놀이를 제공하는 교사가 가져야 할 자세에 대하여 교사들의 현실적인 답변을 분석함으로써 영유아 미래 교육을 위한 실질적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어린이집 보육현장에서 인공지능 로봇 놀이에 대한 인식과 평가는 어떠한가”에 대한 연구 질문을 제기하였다. 또한 이 연구 질문은 세분화하여 다음의 하위 질문을 구성하였다.
첫째. 휴머노이드 교실에서 영유아들의 인공지능 로봇 놀이는 어떠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는가?
둘째. 교사들은 인공지능 로봇 놀이가 영유아들에게 어떠한 발달을 돕는다고 인식하고 있는가?
셋째. 교사들이 인식한 인공지능 로봇 놀이의 효과성과 보완점은 무엇이며, 놀이를 제공하는 교사들은 어떠한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시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시행하는 ‘2022년 어린이집 휴머노이드 지원사업’에 참여한 어린이집 중 연구 참여에 응한 기관에서 휴머노이드를 이용한 교실의 담임 선생님 4명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총 14문항의 질문을 실행하여 얻은 면담 내용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3개의 상위범주와 10개의 하위범주로 구분된 내용으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는 인공지능 로봇 놀이를 자신의 수준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놀이 하였으며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였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로봇 놀이가 디지털 놀이 매체로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인공지능 로봇 놀이를 경험한 영유아는 누리과정이 제시하는 신체운동‧건강, 사회관계, 의사소통, 예술경험, 자연탐구 영역에서 개별적 특성에 맞게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즉, 인공지능 로봇 놀이는 영유아 발달에 적절한 놀이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인공지능 로봇 놀이는 미래지향적이고 다양한 창의성을 구현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 연결, 영유아의 발달에 맞춘 기능의 보완 및 분리, 인공지능 놀이 관련 교사 교육 강좌 개설 등을 통해 영유아 미래 교육을 발전시켜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서 무엇보다 교사들이 인공지능 놀이에 열린 마음을 갖고, 적극적으로 연구해야 한다. 열정을 갖고 미래 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향상시킨다면 교사 자신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 인재로서 거듭날 것이다.
본 연구는 휴머노이드 영유아 교실을 운영하는 교사의 인공지능 로봇 놀이에 대한 인식을 통해 4차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이 제시하는 모든 영역에서의 영유아 발달을 알아봄으로써, 인공지능 로봇 놀이의 교육 가치성을 제안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인공지능 로봇 놀이의 효과성과 보완점 제시, 인공지능 로봇 놀이를 대하는 교사의 자세 제안을 통해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맞는 영유아 교육의 방향성을 안내했다는 데에 연구적 의미가 있다. 나아가 4차 산업 혁명으로 생겨난 다양한 매체들 또한 영유아의 놀이에 접근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evelops, changes in the curriculum are being demanded to nurture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re emphasizing 'learning through infant-centered play' b...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evelops, changes in the curriculum are being demanded to nurture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re emphasizing 'learning through infant-centered play' by organizing the Revised Nuri Curriculum (2019) and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2020). The human being that this curriculum aims to target is generally the same as the person sought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research is needed because digital media play education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nee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 robot play recognized by teachers. For this,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a teacher who observed infant and toddler play using humanoids. In addition, through interview analysis by teachers, we tried to propose a realistic direction for future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This study raised research questions about ‘What is the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AI robot play in daycare centers?’. And then, The sub-questions for the study questions are:
First, How did infants and toddlers pla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AI) robots in the humanoid classroom?
Second, Are teachers recognizing that playing with AI robots can help infants and toddlers develop?
Third, What do teachers perceive as the advantages and complementary point of AI robot play? then, what attitude should teachers have to study AI robot play?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4 teachers at daycare centers who participated in ‘2022 Daycare centers Humanoid Rental Project’ conducted by Seou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developed by Glaser and Strauss (1967) was applied to analyze the interviews, and the result of material collection and analysis yielded 3 higher topics and 10 lower topics. The yielded higher topics are ‘Teachers' perception of infant and toddler-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play’, ‘Developmental changes in infants and toddlers perceived by teachers in AI robot play’, ‘Directionality of AI robot play for infants and toddlers perceived by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Infants and toddlers actively played with AI robots according to their own development level. It means that AI robot play is suitable as a digital play medium. Second, Infants and toddlers who play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grew up individually in all areas presented in the Nuri Curriculum. In other words, it has been confirme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play is an appropriate play for infant and toddler growth. Finally, AI robots are future-oriented play media that embody crea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future educ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This requires troubleshooting Internet connectivity, Complementing the functions of AI robots tailored to the growth of infants and toddlers, the opening of AI Play Lectures and Education for Teachers. Above all, teachers should be open-minded and positively study in AI play. If teachers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with passion, they too will become creative talents that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nts.
Through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e educational value of AI robot play was proposed. In addition, it has research significance in that it has suggested a direc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suitable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the various media tools that appeared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approached as infant and toddler pla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