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백석 시의 번역적 관점과 현대시 창작 방법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33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백석은 그의 작품 안에서 비루하고 낡은 사물의 내력을 밝히며 그 사물의 이름을 새롭게 호명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조선 사회에서 은폐되어 있는 집단의 기억을 현재적 관점에서 시적 언어로 번역해 내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자연과 사물에 대한 백석 식의 번역을 살피고, 그 영향 관계를 논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백석 시의 번역적 관점은 후대 시의 창작 방법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치며 한국시의 주요 방법론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백석은 인간과 자연물을 평등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가난하고 외로운’ 존재들을 일일이 호명하였다. 이는 인간 세계의 고루한 구속을 벗어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려는 움직임처럼 보인다. 보편적 자연을 나만의 고유한 개성으로 번역해내는 이러한 관점은 박목월의 시선에서도 엿볼 수 있다. 자연이라는 거대한 시스템 속에서 인간다운 시선을 회복함으로써 인간적 왜소함을 벗어나려 했던 것이다.
      백석은 아무런 연관이 없는 듯한 사물들을 매개하는 시적 사유의 힘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그의 사유 공간은 낯선 도시의 한복판인 경우가 많은데, 그 속에서 백석은 세계 속에 던져진 자아의 자리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김수영 역시 근대 도시 생활 속에서 변화와 속도의 광증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았다. 이러한 시적 방법들은 파편적인 삶을 구제하고 소통의 통로를 확보하려는 노력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백석 시에 나타난 고유명사는 과거와 현재를, 이곳과 저곳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자신의 운명과 처지를 극복함으로써 미래적 삶을 추동하려고 했던 것이다. 이러한 고유명사의 사용은 김종삼의 작품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들 시에서 고유 명사의 사용은 타자의 언어를 기록하는 일이며 타자에 대한 인식은 이름 없는 세계의 폭력성에 맞서 선한 이름을 부여하고 시간의 선조성을 흩트려 삶을 재창조하는 데 기여하였다.
      백석 시의 번역적 관점은 백석 작품을 읽는데 중요한 지침으로 그의 페시미즘은 세계에 대한 언어적 해석을 통해 극복되는 경향이 있다. 시간과 공간이 다른 언어를 매개하고 접속하려는 의지는 백석 시의 주요 방법이었으며 이러한 시 창작 방식은 후대 시인들에게도 자연을 발견하고 사물을 매개하며 주체적 언어를 찾아가는 데 주요한 참조점이 되었다. 이를 백석 이후 김종삼, 박목월, 김수영의 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백석은 그의 작품 안에서 비루하고 낡은 사물의 내력을 밝히며 그 사물의 이름을 새롭게 호명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조선 사회에서 은폐되어 있는 집단의 기억을 현재적 관점에서 시적 언어...

      백석은 그의 작품 안에서 비루하고 낡은 사물의 내력을 밝히며 그 사물의 이름을 새롭게 호명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조선 사회에서 은폐되어 있는 집단의 기억을 현재적 관점에서 시적 언어로 번역해 내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자연과 사물에 대한 백석 식의 번역을 살피고, 그 영향 관계를 논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백석 시의 번역적 관점은 후대 시의 창작 방법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치며 한국시의 주요 방법론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백석은 인간과 자연물을 평등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가난하고 외로운’ 존재들을 일일이 호명하였다. 이는 인간 세계의 고루한 구속을 벗어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려는 움직임처럼 보인다. 보편적 자연을 나만의 고유한 개성으로 번역해내는 이러한 관점은 박목월의 시선에서도 엿볼 수 있다. 자연이라는 거대한 시스템 속에서 인간다운 시선을 회복함으로써 인간적 왜소함을 벗어나려 했던 것이다.
      백석은 아무런 연관이 없는 듯한 사물들을 매개하는 시적 사유의 힘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그의 사유 공간은 낯선 도시의 한복판인 경우가 많은데, 그 속에서 백석은 세계 속에 던져진 자아의 자리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김수영 역시 근대 도시 생활 속에서 변화와 속도의 광증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았다. 이러한 시적 방법들은 파편적인 삶을 구제하고 소통의 통로를 확보하려는 노력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백석 시에 나타난 고유명사는 과거와 현재를, 이곳과 저곳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자신의 운명과 처지를 극복함으로써 미래적 삶을 추동하려고 했던 것이다. 이러한 고유명사의 사용은 김종삼의 작품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들 시에서 고유 명사의 사용은 타자의 언어를 기록하는 일이며 타자에 대한 인식은 이름 없는 세계의 폭력성에 맞서 선한 이름을 부여하고 시간의 선조성을 흩트려 삶을 재창조하는 데 기여하였다.
      백석 시의 번역적 관점은 백석 작품을 읽는데 중요한 지침으로 그의 페시미즘은 세계에 대한 언어적 해석을 통해 극복되는 경향이 있다. 시간과 공간이 다른 언어를 매개하고 접속하려는 의지는 백석 시의 주요 방법이었으며 이러한 시 창작 방식은 후대 시인들에게도 자연을 발견하고 사물을 매개하며 주체적 언어를 찾아가는 데 주요한 참조점이 되었다. 이를 백석 이후 김종삼, 박목월, 김수영의 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way nature and objects are translated in Baek Seok’s poems. His translational perspectives continue to influence the poems of artists after his time, and one aspect of that influence will also be examined.
      Proper nouns occurring in Baek Seok’s poems play the role of mediating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between this place and that place. Such use of proper nouns can also be found in the works of Kim Jong-Sam. The work of using proper nouns is that of recording the language of others, and recognizing others is a process of granting “good” names against the violence of a nameless world and of recreating life by scattering the linearity of time.
      Baek Seok viewed things in nature and human beings equally and called out the names of those who were poor and lonely. His point of view, which translates universal nature into uniquely individual personalities, can also be glimpsed in Park Mok-Wol’s poetic perspective. The only way to escape from human insignificance within the immense system called nature is to restore a human perspective within that nature.
      Baek Seok’s poems express the power of poetic reasoning which mediates between things that seem entirely unrelated to each other. Kim Su-Yeong, in his poem “Street,” also looks into himself in order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way nature and objects are translated in Baek Seok’s poems. His translational perspectives continue to influence the poems of artists after his time, and one aspect of that influence will also be examined. Proper noun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way nature and objects are translated in Baek Seok’s poems. His translational perspectives continue to influence the poems of artists after his time, and one aspect of that influence will also be examined.
      Proper nouns occurring in Baek Seok’s poems play the role of mediating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between this place and that place. Such use of proper nouns can also be found in the works of Kim Jong-Sam. The work of using proper nouns is that of recording the language of others, and recognizing others is a process of granting “good” names against the violence of a nameless world and of recreating life by scattering the linearity of time.
      Baek Seok viewed things in nature and human beings equally and called out the names of those who were poor and lonely. His point of view, which translates universal nature into uniquely individual personalities, can also be glimpsed in Park Mok-Wol’s poetic perspective. The only way to escape from human insignificance within the immense system called nature is to restore a human perspective within that nature.
      Baek Seok’s poems express the power of poetic reasoning which mediates between things that seem entirely unrelated to each other. Kim Su-Yeong, in his poem “Street,” also looks into himself in order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